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연잎에서 나온 반도체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광량이 변하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용 교수는 “빛의 입사각에 따라 저항변화 특성이
조절
되는 소자”라며 “나노소자와 생체모방기술을 접목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9월 1일자에 실렸다 ... ...
우주보다 큰 허세 중2병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과정으로 치부할 수 없을 정도로 중2병이 심해진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김영화 원장은 “
조절
하고 통제하겠다는 식으로 접근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 교육시스템이 너무 입시 위주이기 때문에 청소년이 자기가 하고 싶은 취미 생활을 해서 자연스럽게 욕구를 풀 수 있게 해줘야 한다는 ... ...
‘뱃속의 거지’ 알고 보니 장내 미생물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속속 소개됐다. 또 음식을
조절
해 장내 미생물을 제어하면 비만과 그에 따른 증세를 고칠 가능성도 제기돼, 비만 치료에 새 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아르후스대 보건학부의 올루프 페더슨 덴마크 교수팀은 체중이 정상인 123명의 ... ...
산호도 미세먼지가 싫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사와 함께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요. 대기에 가득한 미세먼지는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고 건강도 해치지요. 그런데 땅 위의 생물뿐만 아 ... 줄어든 거지요. 산호는 다른 해양 생물의 서식지이자 먹이이기 때문에, 미세먼지 농도
조절
은 바다 속 전체 생태계를 위해서도 매우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출력값과 인공뉴런이 계산한 값을 비교해 같으면 이대로 진행하고, 아니라면 가중치를
조절
해 원하는 값을 갖도록 학습시킨다.이런 원리를 이용하면 인터넷 검색뿐만 아니라 주가지수나 환율을 좀 더 빠르고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구글을 대표로 인공신경망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미세 광케이블을 통해 뇌의 여러 부위에 빛을 보내는 방법으로 뇌질환을 치료하고
조절
할 수 있을 것이다. 질병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정신의 상자 안에 갇힌 사람들에게, 광유전학이 한 줄기 ‘빛’이 돼 줄 수 있을까.4. 인지 : 뇌로 소리와 빛을 직접 읽는다 뇌과학 연구를 통해 밝혀진 재미있는 ... ...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될 것 같은 꼬리칸 사람들을 열차에 태우고 달리는 이유도 결국 폭동을 이용해 개체 수를
조절
하기 위해서였듯 말이다.그렇다면 기차를 만든 장본인도 ‘감옥’이라 부른 설국열차의 생태계는 얼마나 고립돼 있을까. 충분한 양은 아니겠지만 열차 머리는 얼음이나 눈과 충돌할 때마다 이를 흡수해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뇌의 해부학적 지식을, 백질지도는 신경의 네트워크를 알려준다”고 말했다.감정
조절
신경섬유 역시 백질지도를 이용해 공들여 찾은 것이다. 여러 명의 연구자가 몇 달 동안 데이터를 분석해 신경섬유 한가닥 한가닥을 찾아냈다. 조 소장은 “지금 이 순간에도 다른 섬유 다발을 찾는 중”이라고 ... ...
[과학뉴스] 길고양이, ‘내시’ 만들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야심한 밤 창문 너머에서 갓난아기 울음소리. 발정기를 맞은 길고양이의 짝짓기 소리다. 낮에는 쓰레기통을 뒤지고 밤에는 요상한 소리를 내는 골칫덩어리 ... 그대로 유지하면서 오로지 임신 가능성만 없애주기 때문에 인도적으로 길고양이 개체수를
조절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공룡의 아버지를 쓰러뜨린 시조새의 깃털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깃털이 새의 ‘벌레잡이 주걱’이었다는 황당한 주장도 나왔다. 지금은 체온
조절
용으로 진화됐다가 비행용으로 발전했다는 이론이 정설이다(과시와 유혹의 목적도 있었을 것이다).깃털이 체온 보호에 탁월하다는 사실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오리털이나 거위털로 겨울에 자신의 몸을 둘러싸고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