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측"(으)로 총 3,778건 검색되었습니다.
- 벌레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무모해 보이지만 곤충의 입장에서는 가뭄, 혹한, 태풍, 화재, 홍수처럼 예측할 수 없는 환경에서 다음 세대를 남길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랍니다.이런 생존 전략 때문에 기온이 높아지거나 천적이 사라지는 등 환경과 생태계가 조금만 바뀌어도 곤충은 그 수가 급격하게 늘어날 수 있어요 ... ...
- Part 5. 비행기가 활주로를 뜨지 못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만들어 놓습니다. 그다음 앞서 비행기가 뜨면서 만들었을 와후류의 속도 데이터를 예측해 이 함수에 대입합니다.이때 함숫값을 가장 작게 만드는 데이터가 바로 실제 와후류에 대해 가장 잘 알려주는 데이터입니다. 이 값으로 다음 비행기가 얼마나 기다렸다가 이륙해야 하는지 알 수 있지요. ... ...
- [Tech & Fun] 중소기업 연구의 해결사 슈퍼컴, 최적의 설계를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컴퓨터를 이용해 개발 중인 제품을 원하는 환경 조건에서 실험해 보고, 그 결과를 예측해 보는 기술이다. M&S를 하기 위해서는 고성능 컴퓨터와 전문 소프트웨어, 그리고 숙련된 인력이 필요한데,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어느 것 하나 갖추기가 쉽지 않다.이 대표의 의뢰를 받은 가상설계센터 M&S ... ...
- [수학 뉴스] 반칙하는 놈 잡아내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시험장에서 커닝을 어떻게 잡을까요? 중요한 시험장은 휴대 전화를 미리 걷고 출입을 제한하는 등 여러 방법을 씁니다. 그래도 커닝은 일어나 ... 수험생처럼요. 이번 연구는 수험생과 감독관, 테러범과 안보국, 해커와 경찰의 행동을 예측해 효율적인 감시망을 짜는 데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 ...
- [지식] 자급자족 어부 라이프, 삼시세끼 어촌편3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방법으로, 새로운 일에 들어갈 때 인력이 얼마나 필요하고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지 미리 예측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중·고등학교에서는 배우지 않지만, 많은 나라에서 퍼트법을 훈련시킨다. 퍼트법의 작업 순서는 다음과 같다.이제 첫날 저녁 밥상을 떠올려 보자. 삼형제는 돌게 ...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및 폭발 잠재성 평가 기술’을 기상청 주도로 개발하고 있다. 화산재 확산 시 피해규모를 예측하고 추정하는 기술은 국민안전처(전 소방방재청)에서 맡았다. 2018년까지 백두산은 물론 동북아시아 지역의 화산 분화에 대비한 화산재해 대응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변수 1. 규모 7.0의 핵실험북한은 ... ...
- Part 3. 진단부터 치료까지 프랙탈 의학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초기에는 자각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아 조기 발견이 어렵다. 얼마나 빨리 진행될지 예측도 쉽지 않다. 게다가 한번 망가진 폐포는 되살리기가 어려워 떨어진 폐기능을 되돌리기도 어렵다. 폐기종이 심각하게 진행된 환자는 폐 이식을 기다리는 수밖에 없는데, 조건이 맞는 기증자가 턱없이 부족한 ...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땐 24~72시간 전에는 전조현상이 나타난다”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화산 재해 예측도를 작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얼마 전 경주에 지진이 났을 때 우리나라가 OECD 국가 중에 유일하게 활성단층지도가 없다는 사실이 화제가 됐습니다. 하지만 없는 것이 활성단층 지도만은 ...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연구할 계획이다. 현재 고려대 연구팀은 과, 속별로 대표적인 종자를 분석해서 수명을 예측하는 수식을 만들고 있다. 종자의 성분 함량을 이용해 저장 수명을 추정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다. 종자 저장을 준비하고 연구하는 전체 과정을 따라가던 중, 전자현미경실에서 멸종위기식물인 매미꽃을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우주거리를 동시에 관찰해 우주가 팽창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프리드만의 예측대로 우주의 공간은 동적으로 팽창하고 있었던 것이다. 우주가 등방해야 한다는 논란은 그 이후에 등장한다.1930년대와 40년대에는 우주의 초기조건이 중요한 논란 거리로 떠올랐다. 우주 팽창의 결정적인 문제점은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