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악
언덕
마운트
혼란
산란
해산
파산
d라이브러리
"
산
"(으)로 총 3,034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논술 - 수분 포텐셜이 일어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닫힌다. 기공을 구성하는 공변세포의 그림은 다음과 같다. 수분이 부족할 경우 앱시스
산
이라는 호르몬에 의해 기공은 신속히 닫힌다. 그림(a)와 (b)는 기공개폐시 공변세포의 변화와 K+의 역할을 나타낸 것이다. 1) [난이도 중] 제시문 (가)는 신장의 구조와 노폐물 처리과정을 설명한 글이다. 제시문 ... ...
그림자도 지우는 숨기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채집하기 위해
산
에 올랐다가 숨어 있던 가지나방 애벌레를 만지고 감짝 놀란 적이 많다.
산
속에서 나뭇가지라고 생각해 손으로 잡았을 때 ‘물컹’하는 느낌에 소스라치게 놀라곤 한다. [조팝나무가 먹이식물이다. 종령 애벌레의 몸길이는 40mm 내외. 나뭇가지처럼 서있을 때는 언제나 세 번째 ... ...
다세포생물 키운 건 고농도
산
소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속까지 도달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산
소가 풍부해지자 일부 단세포생물들은
산
화반응으로 에너지를 만드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것.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전자전달계나 크렙스 회로 같은 대사경로를 개발한 셈이다. 이 연구 결과는 유럽 분자생물학회 학술지(EMBO Reports) 1월호에 ... ...
타이탄에서 얼음화
산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지표가 갈라져 위성 내부에 있는 물질이 밖으로 쏟아져 나오는 만큼 지구의 ‘화
산
’과 모든 면에서 비슷하지만 극저온의 얼음과 메탄이 쏟아져 나오는 점이 다르다. 타이탄의 대기는 수십억 년 전 지구처럼 질소와 메탄으로 이뤄졌으며 대기, 바람과 비같은 기상현상도 관찰됐다. 원시 미생물이 ... ...
1년간 수학동아 부록 표지에서 만나는 컴퓨터 그래픽 예술가 폴 닐랜더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현재 세계적으로 유명한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디즈니랜드에 세계에서 가장 큰 인공
산
을 디자인하는 일을 하고 있다고 한다. 바쁜 와중에도 수학동아 독자들에게 자신의 작품을 소개할 수 있어서 매우 기쁘다고 전했다. 그의 또 다른 작품을 디즈니랜드에서 하루빨리 만나볼 수 있길 기대한다 ... ...
우주엘리베이터의 상상과 현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생각이 없는 듯 하늘 높이 솟아오른다. 창 밖으로 보이는 땅이 점점 멀어지면서 이윽고
산
과 구름도 아래로 사라지고 검은 우주를 배경으로 둥근 지구의 윤곽이 드러난다. 그리고 들려오는 안내원의 목소리. “잠시 후 우주 정거장에 도착합니다.” 우주엘리베이터는 말 그대로 우주까지 솟구쳐 있는 ... ...
아름다움과 슬픔의 공존 - 서해5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북한의 선전마을이다. 푸르른 논밭과 달리 마을 건물은 을씨년스러워 보인다.] [❸
산
위에서 내려다 본 연평도의 모습. 이 활기찬 마을(아래쪽)은 얼마 전 북한의 포격으로 공포와 슬픔으로 가득 찬 곳이 됐다. [❹ 연평도 북동쪽에 있는 전]망대에서는 북쪽 바다와 땅을 선명히 볼 수 있다. ... ...
뜨거운 대지에서 순박한 아픔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사는 것, 편해지는 생활이 중요해 아무도 심각성이나 대책을 생각하지 않는다. 쓰레기
산
이 높아지는 만큼 도시에는 빈민이 늘어나고, 부족들의 터전은 줄어든다. 우리를 향해 순박한 미소를 보내던 그들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 ...
PART 2-1. 째깍째깍, 수학으로 가는 시계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아니야. 만약 GPS수신기에 원자시계가 들어 있다면 위성과 수신기 사이의 거리를 직접 계
산
해 정확한 시간을 알 수 있을 텐데 말이야. 휴대전화 같은 경우에는 위성정보를 통신사 기지국에서 모아 다시 휴대전화로 보내 시간 정보를 안내한다. 하지만 통신사마다 기지국의 개수가 달라 때론 오차가 ... ...
무한도전 극한에서 살아남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2호
도착하기 전에 *오존층이나 공기 입자에 의해서 많이 흡수되는데, 공기 입자가 적은 고
산
지대와 오존층이 얇은 극지방에는 다른 곳에 비해 자외선이 많이 도달하게 돼요. 게다가 눈도 많이 쌓여 있어 자외선이 땅에서 우리 눈으로 반사돼 들어온답니다.우리 눈이 자외선을 지나치게 많이 받으면 눈이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