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크래프트] #13. 보신각 종을 꼭 닮은 통계학의 핵인싸 정규분포!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울리는 것만 같아요! 위가 볼록한 게 마치 밥솥을 뒤집어 놓은 것 같은 모양의 종을 보고 있으니 떠오르는 게 있어요. 바로 ‘정규분포’예요. 종 모양의 정규분포란? 동전 1개를 던져서 나올 수 있는 경우는 앞면과 뒷면 이렇게 2가지예요. 여러 번 던져도 매번 똑같이 2가지 경우만 나오기 ... ...
- [기획] 백신의 효능이 궁금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일부 나라는 백신 개발 회사가 제출한 연구 결과를 보고 백신을 승인했습니다. 12월 8일 영국은 90세 할머니에게, 14일 미국은 뉴욕의 한 종합병원 간호사에게 백신을 처음 접종했습니다. 우리나라 정부도 2021년 2~3월에 백신을 도입한다고 발표했습니다 ... ...
- [훈쌤이랑 코딩수다] 인공지능으로 얼굴 속 황금비율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여러분이 매일 쓰는 스마트폰에도 들어 있어요. 스마트폰 주인의 얼굴을 알아 보고 화면 잠금을 푸는 기능이 대표적이지요. 인공지능은 스마트폰 주인이 안경을 쓰거나 머리스타일을 바꿔도 얼굴을 잘 인식해요. 이는 인공지능이 얼굴에 대한 모델(Model)을 만들었기 때문이에요. 인공지능은 한 ... ...
- 50년 동안 풀리지 않은 단백질 퍼즐, AI가 풀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대회’가 열리는 대회장! 참가한 과학자와 인공지능(AI)은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만 보고 단백질이 어떻게 만들어질지 3차원 구조를 그려내야 합니다. 모두가 골머리를 썩이며 계산에 열중하고 있던 그때!“저요~! 저 다 풀었어요!”벌써 다 풀었다고 손을 드는 정체불명의 존재! 도대체 누구죠? 누가 ... ...
- [과동키즈] 만화가와 곤충학자 사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프린스턴대에서 공부하고 있다. 성인이 되고 나서도 과학동아를 보고 싶을 때마다 사서 보고 있다.Q2 과학동아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기사가 있다면?2015년 10월호에 실린 파브르 100주년 기념 특집 기사다. 곤충 특집 기사가 나왔길래 관심이 쏠렸다. 표지부터 예뻤다. 그리고 ‘갈로아라는 아이디로 ... ...
- [통합과학 교과서] 실러캔스의 보은을 원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변했기 때문이에요.“내가 며칠 전 잉어를 잡았는데 애원하는 듯한 잉어의 눈을 보고는 마음이 아파 도로 놓아주었다네. 그러자 꿈속에 웬 사람이 나타나, 자신이 그때 살려 준 잉어라고 하더군.알고 보니 용왕의 아들이었지. 그리하여 용궁에 초대를 받아 크나큰 환대를 받은 뒤, 인간 세상으로 ... ...
- 창원대, 제조혁신 주역 ‘스마트산단’의 스페셜리스트 꿈꾼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방문한 기억을 떠올리며 “각 공정 단계가 전 자동화돼 데이터들이 속속 모이는 모습을 보고 스마트공장으로의 전환이 거부할 수 없는 흐름이란 걸 깨달을 수 있었다”며 “세계 최초 스마트산업단지 구축을 위해 우수한 맞춤 인재를 양성하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 ...
- [기획] 미래의 ‘정상 체온’이 위험에 빠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온도가 있다!8월 26일,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보고서를 통해 기후위기가 미래세대의 건강에 직접적인 위협을 가할 것이라고 발표했어요. 우리 몸은 더위를 느끼면 피부 표면의 혈관을 확장시켜 열을 방출하고, 땀을 배출해 체온을 낮춰요. 그런데 과도한 열에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독자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소! 웅하하하하! 애니메이션 ‘명탐정 코난’을 처음 보고 들었던 생각은 ‘추리물인 줄 알았는데, 액션 장르였군!’이었습니다. 분명 명탐정이라고 했는데 범인을 잡을 땐 항상 때려잡더라고요.코난은 초등학생의 몸으로 덩치 큰 어른을 노련하게 제압합니다. 힘은 ... ...
- [과학뉴스] 반짝반짝! 신종 발광 버섯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숲에서 줄기가 초록빛을 내는 발광 버섯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학계에는 처음 보고됐지만, 현지 주민들은 예전부터 어두운 밤을 밝히는 용도로 이 버섯을 사용했지요. 이 버섯은 죽은 대나무에서만 자란다는 뜻으로 ‘로리도미세스 필로스타키디스(Roridomyces phyllostachydis)’라고 이름이 붙었어요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