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d라이브러리
"
미생물
"(으)로 총 1,584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이슨의 상상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있다. 그는 과학의 스타일을 가능한 톨스토이 스타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대의
미생물
학이나 신경생물학 등의 분야에서는 톨스토이적인 창조적 혼돈이 수용되고 있는 반면, 입자물리학과 우주과학은 나폴레옹적인 완고함 때문에 벽에 부딪히고 있다고 말한다.예술과 종교에 심취한 ... ...
② 생명 탄생의 기원지 해저 열수구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일은 우리가 겪고 있는 토양의 중금속 오염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된다.또한 열수
미생물
은 부가가치가 높은 의약과 산업에 사용될 천연재료로서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어 1백℃ 이상에서도 생존이 가능한 열수의 초호열성 박테리아(Thermus균주)가 보유한 열에 강한 DNA 중합효소(polymerase)는 PCR이라 ... ...
대덕 바이오벤처 공동체의 촌장 인바이오넷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답이다. 그만큼 구사장이 대덕바이오커뮤니티에 거는 기대가 크다. 지난해 1월 한국
미생물
기술이란 회사명을 혁신(Innovative), 생명공학기술(Biotechnology), 네트워크(Network)를 뜻하는 인바이오넷으로 바꾼 것도 첨단 기술을 보유한 바이오벤처의 네트워크를 구성해 세계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의지의 ... ...
③ 1억종에 달하는 생물 다양성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생산이 아주 적을 뿐 아니라, 유기물질의 대부분은 낙하하는 과정에서 중간층에 사는
미생물
이나 생물에 의해 분해된다. 따라서 심해저에 도달하는 유기물은 영양적 가치를 고려한다면, 표면의 0.1-1% 정도에 불과하다.또 심해는 육지보다 수천배나 높은 기압이기 때문에 육지의 일반 생물이 심해에 ... ...
왜 극고진공상태를 얻으려 하나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것이다. 또한 진공포장으로 식품을 오래 저장할 수 있다. 내부 공기가 제거됐기 때문에
미생물
에 의한 부패를 막는다.커피나 페니실린 같은 의약품을 만들 때에도 진공상태에서 냉동건조를 한다. 이는 압력이 낮을 때, 물의 끊는 점이 낮아지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물은 1기압에서 1백℃에 끊는다. ... ...
콜레라균 꿀꺽 마신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돌아가고 말았다.자신과 제자의 몸을 실험에 이용19세기 중반 이후 파스퇴르에 의해
미생물
이 전염병의 원인임이 증명됐으나 페텐코퍼는 지표면의 수위와 미아즈마에 의해 전염병이 발생한다는 자신의 이론을 굽히지 않았다. 그러던 중 1883년 독일에서 이집트로 파견된 코흐의 연구팀이 콜레라의 ... ...
① 극한의 생존자
미생물
수색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첫번째 미션. ‘지구의 극한 환경에서 생명체를 수색하라.’지구 밖 우주에서 생명체를 찾으려면 먼저 지구 생명체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지 ... 연구하는 일이 필수적이다. 지금 이 시간에도 수많은
미생물
사냥꾼들이 극한의 생존자
미생물
을 찾기 위해 전세계의 땅과 바다를 뒤지고 있다 ... ...
폐수도 처리하고 전기도 얻고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급격히 늘 것”으로 전망했다.KIST 수질환경연구센터와 (주)바이오시스템은 앞으로
미생물
이 폐수를 분해하면서 발생시키는 전기로 폐수처리장의 모든 전기시설을 움직일 시스템을 공동 개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알레르기성 비염 예방할 수 있는 길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추세인데, 그 이유는 개선된 위생환경과 핵가족 시대의 출현으로 유아시기에 각종
미생물
을 접할 기회가 줄어든 데에 있다고 과학자들은 지적한다.지난 4월 6일 뉴사이언티스트지는 필란트 투르쿠 병원의 마르코 칼리오마키 박사팀의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칼리오마키 ... ...
끓는 기름과 달군 쇠로 병원균을 죽여라!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보지 못했다.파스퇴르가 ‘
미생물
학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가지게 된 것은 병원성
미생물
이 전염병의 원인임을 알아내고 백신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1885년 광견병 백신을 개발하기는 했지만 감히 임상시험 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을 때 광견병이 걸린 개에 물린 어린이 한명이 찾아 왔다.그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