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땅"(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스스로 균형을 잡으며 달리는 ‘세그웨이’야. 발판에 한 발을 올리고 나머지 발로 땅을 구르며 타는 킥보드와 비슷하게 생겼지? 하지만 세그웨이는 두 발을 모두 올려놓은 채로 몸을 살짝만 움직이면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어.세그웨이 핵심 기술은 ‘균형 잡기’요즘 거리에서 세그웨이를 타고 ... ...
- [News & Issue] 명절 보낸 아내를 위한 과학 노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함께 긍정적으로 헤쳐 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다시, 명절이 가까이 다가왔다. 이 땅의 여성에게 명절은 가혹하다. 토라지거나 화를 내는 아내에게 “며칠 눈 딱 감고 견디면 될 것을!”이라고 역정을 내거나 ‘이해가 안 돼’라며 회피하지 말자. 명절의 푸념을 계기로 평소 쌓여 왔을 아내의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앞쪽에서 보면 진시황의 병마용을 재현한 레고 캐릭터가 생생하게 보입니다. 마치 땅을 파고 레고를 세워놓은 것 같아요.하지만 그림을 뒤쪽에서 보면 줄맞춰 서 있던 작은 레고가 통나무처럼 길게 늘어난 것처럼 보이지요? 자세히 보면 그림이 제대로 보이는 지점을 중심으로 그림이 변형돼 ... ...
- [수학동아클리닉]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찾아 볼 수 없게 만든 일제의 만행 때문입니다. 일제시대인 1919년, 일본이 경기전의 서쪽 땅과 부속 건물을 철거하고 일본인 소학교를 세우면서 원래 넓이의 절반 정도가 잘려 나갔습니다. 일본인 소학교는 다시 지금의 전주중앙초등학교가 됐습니다. 2004년에 경기전 부속 건물을 복원할 때 ... ...
- [Knowledge]파충류의 속사정 ➒ 익룡 中 ‘중생대 뷔페’가 만든 기기묘묘한 머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거대한 벼슬을 가지고 있는 익룡은 대부분 후기 쥐라기 이후에 등장해 진화한 종류다. 땅에 내려와 다양한 먹이를 먹었고, 따라서 제한된 먹이만 먹던 과거에 비해 더 많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게 됐다. 이 말은 번식에도 더 많은 에너지를 마음껏 이용할 수 있게 됐다는 뜻이다. 공작의 꼬리 깃털과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가져야 하는 조건과 일치했던 것이다. 단 한 번의 신호를 찾아서그런데 왜 꼭 실험실을 땅속 깊은 곳에 만들어야만 했을까. 그이유는 최대한 다른 입자들의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해서다. 매순간 지구로 들어오는 입자는 그 종류가 수백 가지나 되는데, 지하 깊은 곳까지 들어올 수 있는 입자는 ... ...
- [재미]눈사람 만들려면 가루눈보다 함박눈!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맞는 얘기랍니다. 그 이유를 알면 사연 속 궁금증도 해결할 수 있어요!함박눈은 상층대기(땅보다 2km 정도 높은 대기)의 온도가 영하 10~20℃로 비교적 따뜻하고 습도가 높을 때 생겨요. 수분을 잔뜩 머금은 눈 결정들이 서로 엉겨 붙으면서 눈송이가 되거든요.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육각형을 띠는 별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목을 덮고 있었다.그리고 글루글로스가 그녀의 머리맡에 앉아 있었다.얼마 전까지 땅 전체를 덮고 있던 괴물은 이제 아주 작고 연약해 보였다. 조금 큰 말 정도 되었을까.여섯 개의 가는 다리와 코 끝에 달린 끝이 부러진 뿔로는 아무 것도 할 수 없어 보였다. 그림으로 그렸다면 여전히 무서웠겠지만 ... ...
- [쇼킹 사이언스]눈이 두루마리처럼 둘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두루마리 눈은 눈, 바람, 기온 세 가지 기상 조건이 모두 맞을 때 생겨요. 먼저 얼어 있는 땅 위에 소복하게 쌓인 눈이 필요해요. 이때 쌓인 눈은 습도가 높아 센 바람에도 날아가지 않는 눈이어야 한답니다. 그리고 또 필요한 것은 바람~! 바람이 마치 스푼처럼 눈을 살짝 떠내면서 두루마리 눈이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헤프너 연구팀으로, 이온트랩을 이용해 8개까지 성공했다. 8개와 1097개, ‘하늘과 땅’ 차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 논문에는 전혀 없다. 배준우 한양대 응용수학과 교수는 이에 대해 “100개가 안 되는 큐빗으로도 기존 컴퓨터는 따라잡지 못할 성능의 양자컴퓨터를 만들 수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