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신"(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GIST 대학장 고도경_ “서류전형 70% 반영, 고교 생활 성실해야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일반전형 모집 인원이 2018학년도 125명에서 2019학년도에는 115명으로 10명이 줄어든다. 그 대신 학교장추천 전형이 30명에서 40명으로 늘었다. 선발 인원만 달라졌을 뿐 일반전형과 학교장추천전형, 고른기회전형의 전형 방법은 동일하다. 전형 방식도 작년과 유사하게 진행될 계획이다. 다만 ... ...
- [통합과학 교과서] 수상한 사람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폭발할 가능성이 높아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지상에서 모의실험을 할 때 액체수소 대신 주변의 물질과 잘 반응하지 않는 액체질소를 넣어요. 그럼 액체수소를 넣었을 때와 비슷한 환경이 만들어져 우주선이 잘 만들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답니다. # 스토리 “문제를 맞혔으니 피젯 스피너를 돌려 ... ...
- [과학뉴스] 스펀지가 물 빨아들이는 원리 찾았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물과 흡착하는 성질이 있어 기존 이론으로는 설명하기가 어려웠다. 김 교수는 “전기 대신 주변 환경이 갖고 있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소프트로봇 분야에 접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소프트로봇 제작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doi:10.1126/sciadv.aao705 ... ...
- 인공어초 파헤치기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무거울수록 안정적인 것 아니냐고요? 무작정 무겁게 만들면 파도에 쓸려가진 않겠지만 대신 갯벌 아래로 파고들 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제작하고 설치하는 데 쓸데없이 돈이 많이 들 거예요. 끝까지 책임이 따른다이렇게 만든 인공어초는 설치한 뒤에도 엄격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보통 ... ...
- 도넛 위에서 게임을? 틱택토의 무한변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틱택토’ 게임은 쉽게 말해 ‘삼목’이라고 할 수 있어요. 차이가 있다면 돌을 놓는 대신 3×3 게임판의 빈칸에 ◦, ×를 표시한다는 겁니다. 규칙이 간단한 건 장점이지만, 빈칸이 9개밖에 없고 오목과 다르게 ◦ 또는 ×를 세 개만 놓아도 이길 수 있어서 익숙해지면 무승부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는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1795년 ‘그램(gram)’이 됐다가 1799년 킬로그램(kg)이 기본단위가 됐다. 사람들은 황동 대신 백금으로 kg 원기를 제작했다. 백금은 반응성이 낮아 공기나 이물질에 노출돼도 부피나 무게 등이 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1875년 미터협약을 체결한 이후에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 1878년 경 백금 90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할 수 없는 존재, 죽은 사람이 돼버리기 때문이다.상상만 하던 오싹한 죽음의 순간을 대신 체험하게 해준다는 기발한 책이 나왔다. 책 ‘그리고 당신이 죽는다면’은 죽음을 주제로 실험한 괴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가 맞닥뜨릴 수 있는 45가지의 죽음 시나리오를 소개한다. 가장 ... ...
- [인터뷰] 정원영_광주과학고등학교 입학부장 “학교생활 최우선, 사교육 최소화”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광주과학고 재학생들도 선행학습이 합격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평가한다. 대신 광주과학고 2단계 문제는 중학교 전 과정의 개념을 다루고 있어 성실하게 공부했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해서 충분히 구분할 수 있을 만큼 변별력을 갖추고 있다. 1박2일로 진행되는 3단계 영재 다면평가에서는 ... ...
- [현장취재] 지구를 위한 과학 정기강좌 4강, 오로라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조남석 소장이 맡았어요. 무인탐사연구소에서는 사람이 가기 힘든 장소에 사람을 대신해 탐사할 수 있는 드론과 로버 등의 장비를 개발하고 있지요. “극지방에 있는 사람들 외에 누가 또 오로라를 자주 볼 수 있을까요?” 조남석 소장은 지구를 덮은 오로라 사진을 보여주며 강연을 시작했어요 ... ...
- Part 3. 블랙홀의 모습을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그 결과 가까이에 있는 블랙홀이라도 기존의 망원경으로는 관찰하기가 어렵답니다. 대신 물질이 빨려 들어가는 과정에서 빛을 내는데, 과학자들은 대형 전파망원경으로 이 빛을 감지해 블랙홀의 존재를 확인해 왔어요. 지난 2017년 4월, 블랙홀을 실제로 관측하기 위해 전 세계 34곳의 대학교와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