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영어, 책상 밖에서 배우고 싶다고? 스피킹 버스 타면 가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학습을 원하면 윤선생이 발간한 도서 8권을 참고하면 되지요. 80개 장소를 모두 여행하면 다음번엔 외국인에게 길을 잘 알려줄 수 있을까요? 여러분이 직접 해보면서 판단해 주세요 ... ...
- [한페이지 뉴스] 새가 ‘박치’가 아닌 이유, 뇌에서 찾았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뉴런과 비교적 늦게 도착하는 뉴런이 존재한다는 뜻이다. 본래 축삭돌기 말단에서 다음 뉴런으로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은 150μs(마이크로초·1μs는 100만분의 1초) 이내로 짧다.연구팀은 포유류에서도 신호 전달 지연을 확인했다. 쥐가 수염을 움직이는 행동을 할 때 운동 정보 처리를 담당하는 신피질 ...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비교해 탑재체가 인식하고 있는 각도와 실제 바라보는 각도의 오차를 추정했다.그 다음 지구로 고개를 돌려 지상과 바다를 촬영했다. 해양탑재체의 경우 촬영한 해안선과 실제 해안선의 위치를 비교해 최종 기하보정이 이뤄진다. 목표 지역을 12구역으로 나눠 찍는 해양탑재체의 특성상, 12구역의 ...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밝혔다.연구팀은 먼저 이노시톨 대사 효소가 없는 유전자 변형 쥐를 만들었다. 그 다음 강한 소리와 함께 전기 자극을 줘 쥐에게 공포 기억을 심었다. 쥐는 같은 소리만 들어도 공포감에 떨었다. 연구팀은 이후 전기 자극 없이 소리만 들려줬다. ‘소리가 나도 공포 상황(전기 자극)은 오지 ... ...
- [일본유학일기] 체감 물가 한국의 2~3배 물가 폭탄 도쿄 생존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많은 도쿄대 학생들이 유입된 덕분이라고 농담처럼 한 마디 덧붙였다.생활비 중 주거비 다음으로 지출이 큰 항목은 식비다. 예전에는 학교 바로 앞에 산다는 장점을 살려 아침, 점심, 저녁을 모두 학교 중앙식당에서 먹었다. 당시 하루 세 끼에 2000엔(약 2만 원)정도를 식비로 지출했다.그런데 올해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하루 중 가장 기온이 높을 때는 언제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돼요. 이후 지표면이 식으며 다음 날 해가 뜨기 전까지 기온이 계속 떨어지지요. 그래서 다음 날 일출 즈음이 가장 기온이 낮답니다.이렇게 하루 동안 나타나는 최고, 최저 기온의 차이를 ‘일교차’라 불러요. 이때, 맨땅보다는 물의 온도를 올리는데 더 큰 에너지가 필요해요. 그래서 건조한 ... ...
- '웃는 돌고래' 상괭이에게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확인하며 부검을 마무리한다. 이날 6마리의 고래를 부검하는 데 8시간이 걸렸으며 다음날에 바다거북 2마리와 고래의 기생충 검사를 이어서 진행했다. 부검을 통해 밝혀진 비밀은? 이번에 부검한 상괭이 두 마리는 임신 중이었다. 한 마리는 새끼의 길이가 65~70cm로 태어나기 직전의 개체였다. 이 ... ...
- [스쿨리포트 A+] 직접 할 수 없는 과학 실험, 가상 탐구 포스터 제작하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문제로 주어지고, 조원들이 이를 풀 수 있는 가설과 실험을 설계해 활동지에 적습니다. 그다음 제작 단계에서는 활동지에 작성된 내용을 포스터로 구성하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마지막 공유 단계에서는 자기 조의 포스터를 발표하고, 그와 동시에 다른 조의 포스터를 심사합니다. 산출물 평가는 ... ...
- [탐험대학]코로나19도 우리를 막을 수 없다! 한여름의 로켓 탐험기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도달 높이, 엔진 추진력 등을 분석해 기존 로켓 키트를 개선하는 작업을 할 것”이라며, 다음 계획을 살짝 밝혔답니다. 로켓을 시험발사해서 기본적인 로켓의 성능을 확인한 뒤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조금씩 개선해서 나만의 로켓을 만드는 거죠. 탐험가들은 무사히 시험발사에 성공하고 각자의 ... ...
- [과학동아 X 긱블] 태풍에 우산 작살난 사람들을 위한 잇템, 에어 우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같은 소음을 내면서 물방울을 힘차게 밀어냅니다. 오케이, 좋습니다.다음으로 바꾼 건 공기 배출구의 지름입니다. 유체역학적으로 같은 양의 공기가 흐를 때 그 통로가 넓을수록 흐르는 속도가 줄어듭니다. 압축된 공기가 배출구의 넓은 구멍으로 나오면 속도가 급격히 줄어드는 겁니다. 그래서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