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본
교재
교정
법률
법학통론
textbook
d라이브러리
"
교과서
"(으)로 총 1,390건 검색되었습니다.
교과서
실험 이의 있습니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해보지 않고 수업에 들어가면 예기치 않은 일들이 수없이 많이 발생한다.초등학교 자연
교과서
에서 예기치 않은 결과가 나타나는 대표적인 실험이 5학년 1학기 용해단원에 등장하는 '소금을 물과 아세톤에 녹였을 때의 변화'이다. 이 실험의 목표는 물과 아세톤에서 소금의 용해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 ...
교과서
실험 옴부즈맨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않음을 보여준다. 이것을 그래프로 그리면 (그림2)와 같은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즉
교과서
에서 제시된 추의 질량과 이동거리 그래프는 잘못된 것이다. 이것을 바탕으로 개정되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실험장치가 아닌 위치에너지의 개념을 제대로 설명할 수 있는 실험이 제시되길 ... ...
9월 8일은 중력의 날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많아졌다.지난해 응모한 작품들은 실현 가능성이 없거나, 물방울 덜어뜨리기 등 기존
교과서
의 실험을 그대로 채용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이번에는 간단한 예시를 제시한다. 그것은 바로 사운드카드를 속이는 것이다. 이 방법은 장치가 간단하기 때문에 집에서 해볼 수 있으며 비교적 ... ...
교과서
실험 옴부즈맨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때문에 줄어든 부피만큼의 물이 올라간다고 설명한다. 과연 그럴까.이 양초 실험은
교과서
에 나와 있지는 않지만 꽤 유명한 시범실험이다.대부분의 학생들은 물이 올라가는 이유를 산소의 소모에 의한 영향으로 설명한다. 유리병 속에서 촛불은 조금동안이지만 타다가 꺼진다. 이것이 산소의 소모에 ... ...
인터넷 과학공부방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과학동아 홈페이지에서는 다시 보고 싶은 지난 기사들을 읽어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과학
교과서
에 나오는 과학자들의 사진도 볼 수 있다. 더불어 자신이 직접 필요한 기사를 검색할 수도 있고 아직 생물에 한정돼 있지만 단원별로 관련 기사를 정리해 놓은 것을 이용해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 ...
천문학자 밴 앨런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지난해 말 미국 아이오와대학으로 과학교사 해외연수를 갔을 때였다. 그곳에서 지구과학
교과서
에서 이름만 보던 천문학자 밴 앨런(James A. Van Allen)을 만나게 된 것은 참으로 뜻밖이었고 한편으로는 영광이었다.지금으로부터 40여년 전인 1958년 1월, 미국은 자국 최초의 인공위성인 익스플로러 1호를 ... ...
④ 과학교육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통일된
교과서
에 의존하는 정도가 약해지고 각 지방별 특색을 살린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가 나올 것이다. 남북한의 과학교육도 지역적 특성을 살린 변화라는 점을 서로가 인정하는 분위기가 돼야 한다 ... ...
전인미답의 산을 오르는 화학자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선물한 실험세트를 가지고 실험을 시작해서, 12살 무렵에는 독일 대학생들의 실험
교과서
였던 루드빅 게트만의 ‘유기화학의 실제적인 방법들’에 실린 거의 모든 실험을 다 해보았을 정도였다. 이런 식의 독학을 통해 그는 19세기 독일 유기화학에 관한 백과사전적인 지식을 갖게 됐는데, 고등학교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외계인이 제작한 도시우주선 - 태양에서 삶의 에너지 얻는 라마'하드 SF'에서 또하나의
교과서
적인 모범을 보여주는 걸작인 아서 클라크의 장편 '라마와의 랑데 뷰'(1973) 역시 거대한 도시우주선을 묘사한 작품이다. 이 소설에서는 인간이 아니라 정체불명의 외계인들이 만든 원통형의 거대한 인공 ... ...
삭지도 않고 썩지도 않는 닥나무 한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펄프지처럼 화학반응을 쉽게 하지 않는 중성지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신문지나 오래된
교과서
가 누렇게 변색되는 이유도 사용된 펄프지가 산성지이기 때문이다. 오늘날에도 여러 공정을 거쳐 중성지를 만들어 내고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들어 보통의 용도에는 산성지를 쓰고, 고급 용도에만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