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수 있다”고 말했다.● 하수 │ 인간의 흔적이 더해지다한강 수계에는 하수처리장 800여 곳에서 내뿜는 방류수가 매순간 모여든다. 2000만 명의 인구가 방류한 생활하수는 여러 과정을 거쳐 하천에 방류해도 좋을 정도로 깨끗해지지만, 이 과정에서도 걸러지지 못한 ‘인간의 흔적’이 한강 물에는 ... ...
- [논문탐독] 카메라 단 한 대로 보행자 찾는 자율주행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돕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완성된 신경망은 보행자가 기준 바닥보다 더 높거나 낮은 곳에 있어도, 보행자가 앉는 등 자세를 바꿔도 높은 정확도로 검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오르막길을 오르면서도 카메라가 보행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됐습니다.다음으로는 안전을 위해 검출 결과의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7화. 이건 악몽일 거야! 불가능한 방 탈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좋아. 그럼 하나 남은 구멍이 바로 처음 들어온 구멍일 거야. 거기로 가자!”하지만 그곳 역시 또 다른 방이었습니다.“으아, 이게 어떻게 된 거지?”“프로보한테 연락도 안 되고. 이대로 우리도 여기서 미라가 되는 건가”선장이 우울한 표정으로 중얼거렸습니다. 딱지는 선장의 그런 힘없는 ... ...
- [특집] 생물주권 때문이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찾았어요. 현미경으로 봐야 할 정도로 작은 생물, 심해, 동굴 등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사는 생물 등을 계속 찾고 있지요.민간에서는 생활협동조합 한살림이 1986년부터 ‘토박이씨앗살림’ 운동을 진행하고 있어요. 한살림은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재배됐던 토박이씨앗을 모아 농사에 활용하는 등 ... ...
- [한페이지 뉴스] 화성 5만 년 전에도 화산 폭발,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여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땅을 발견했다. 그 위에는 화산 퇴적물이 약 17.3km 너비로 분포해 있었다. 이는 화성 어떤 곳에서도 관측할 수 없는 지형으로, 오히려 달이나 수성 표면과 더 비슷했다. 연구팀은 추가로 물질의 특성과 구성 및 분포를 조사했고, 그 결과 약 5만 3000년 전 폭발한 화산 활동에서 비롯된 지형임을 밝혔다. ... ...
- 수중 생태계, 미학의 과학 아쿠아스케이프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강한 곳에 흙과 함께 심어야 한다. 이끼, 양치류 등 착생 식물은 빛이 적게 드는 그늘진 곳이나 동굴 속에 둔다. 착생 식물은 흙에 뿌리를 내리지 않아 바위나 유목 위에 붙여도 옆으로 퍼져나가며 잘 자라는 특성이 있어 비교적 다루기 쉽다. 이끼 역시 자라는 환경에 맞춰 서식 환경을 조성한다 ... ...
- [과동키즈] 어린 날에 바라보던 저 달은 여전한데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열심히 그것을 해결한 것도 처음이었다. 순수한 호기심과 지식에 대한 열정을 키워준 곳이 동아리였기에, 가능하다면 대학 졸업장에 전공이 아닌 동아리 이름을 적어 놓고 싶을 정도였다. 좋아서 하는 일들 사이로 찾아온 슬럼프졸업하고서도 음악 활동을 계속했다. 자작곡이 어느 정도 모였을 즈음 ... ...
- [이슈] 수학으로 보글보글~ 소문난 파스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원리는 간단합니다. 납작한 파스타에 홈을 군데군데 냅니다. 홈이 있는 곳은 평평한 곳보다 물이 흡수되는 데에 더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반죽이 익으면서 홈이 있는 쪽으로 오그라들어 입체가 되지요. 오른쪽 두 사진을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 반죽은 긴 막대 모양으로 만들고, 빗금을 쳐서 ... ...
- [가상 인터뷰] 화성에서 필요한 산소, 직접 만들어 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아나베나 시아노박테리아’가 광합성으로 산소를 만들었다고 밝혔어.Q. 화성 같은 곳에서도 산소를 만들 수 있다고?A. 연구팀은 먼저 유리와 강철로 만든 1L짜리 실험 장치 ‘애트모스’를 제작했어. 애트모스는 대기 성분과 기압을 따라 만들 수 있는 장치야. 연구팀은 일부는 지구의 대기 환경을, ... ...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논쟁, ‘투명성’에 주목해야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따르면 삼중수소 농도는 수심과 별 관련이 없다. 가장 얕은 곳과 깊은 곳의 삼중수소 농도는 리터 당 최대 0.1Bq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데, 조사지역에 따라 변화 패턴이 다르다.하나 앞으로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것은 30년 이상의 지속적인 방출이 미칠 영향이다. 송 책임연구원은 “단기적으로 보면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