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빌딩
건축물
건조물
집
사옥
옥사
구조물
d라이브러리
"
건물
"(으)로 총 2,119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연아 선수와 함께하는 2010친환경 동계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아낄 수 있게 한 거구나. 그러고 보니 개회식이 열렸던 BC플레이스도 1983년에 지어진
건물
을 리모델링한 거라고 했어. 게다가 대부분의 경기장들이 *친환경건축물 인증에서 높은 등급을 받았다고 했지. 또 선수 숙소는 올림픽이 끝난 뒤 어린이 보육원이나 일반 주택으로 다시 재활용할 예정이라고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연구팀도 2005년 서울 동대문구 일대 3개 동의 지진 위험률을 조사한 결과 이들 지역의
건물
10채 중 7채가 지진에 취약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특히 도로와 골목이 좁고 부족한 곳일수록 지진으로 화재가 났을 때 큰 피해를 입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상황은 동대문구와 유사한 환경을 가진 서울 ... ...
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있는 모래와 함량 미달의 철근으로 지어 규모 7.0의 지진에도 힘없이 무너져 내렸다.
건물
이 무너지면서 사상자가 크게 늘었다. 한마디로 인재가 부른 참극이었다.아이티 지진의 진원이 인구 밀집지역과 가까웠던 점도 사망자가 크게 난 이유이다. 진원은 지구 내부에서 지진이 처음 발생한 지점이고 ... ...
왜 4를 싫어하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2 많은 병원과 빌딩에서 4층을 F로 표시해. 심지어 3층 다음에 4층 없이 5층이라고 쓰는
건물
도 있지.3 올해 발사될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5호. 내년엔 아리랑 3호가 발사될 예정이야. 2012년 발사예정인 아리랑호는 4호 대신 3A호라는 이름이 붙었어. 통신방송위성인 무궁화호도 3호 다음에 5호가 ... ...
수학이라면 지진도 문제 없어!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연구원들은 기상청과 국립 기상연구소를 오가며 일할 수 있다고 해. 서울관측소(기상청
건물
지하)에서 2월 9일 경기도 시흥 부근에서 일어난 지진을 관측한 지진파형이다. 지진파에는 P파와 S파가 있다. P파는 지진이 발생했을 때 암석을 통해 가장 빨리 도달하는 파고, S파는 두 번째로 도달하는 ... ...
'조명'받는 LED 조명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그러나 130m쯤 떨어진 서울역 광장에서 보면 이들이 내뿜은 빛들이 간격을 메우며 마치
건물
벽면 전체에서 빛이 나는 것 같은 효과가 난다. 양 팀장은 “현재 한강 다리의 조명도 대부분 LED소자”라며 “LED조명을 이용해 도시의 미관을 밝히는 작업이 앞으로 전 세계 도시에서 펼쳐질 것”이라고 ... ...
건축공학의 새 패러다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에너지 절약 기술과 함께 궁극적으로
건물
에 필요한 에너지를 외부에서 공급받지 않고
건물
에서 자체 생산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활용 기술을 연구한다. 연구실을 졸업하고 현업에 종사하는 필자처럼 우리 연구실 졸업생들은 학교, 연구소, 산업계 각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대학원 ... ...
번개실험으로 살펴보는 정전기 방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매우 위험하다면, 번개가 치면 일단 피하고 봐야할 것이다. 그런데 어디로 피하면 될까.
건물
내부에 있다면 굳이 밖으로 나올 필요는 없다. 하지만 실외에 있는데 번개가 치고 있다면 얼른 대피장소를 찾아야 한다. 자동차는 번개로부터 가장 안전한 곳 중 하나다. 자동차는 전기가 잘 통하는 ... ...
천 년 전 경주의 밤하늘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4.16m 되는 곳의 몸통 허리 부분에 한 변이 1m인 정사각형 창문이 달려 있다. 일반
건물
과 달리 창문의 위치가 높아 출입이 어렵다. 이런 이유로 첨성대가 관측소가 아니라 기원을 올리는 제단이라는 주장이 많다. 이에 일부 학자들은 천체관측이 신성한 임무로 여겨져 일반인의 출입을 제한하기 ... ...
창의성 높이는 공간 만드는 신경건축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실험 결과 천장 높이가 3m나 되는 방 안에서 문제를 풀 때 상대적으로 천장이 낮은
건물
에서 문제를 풀 때보다 창의적인 문제를 두 배 이상 더 잘 풀었으며, 2.4m 높이에선 창의적인 문제는 잘 못 풀었지만 집중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를 더 잘 푸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장이 높아지면 창의적인 사고가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