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간"(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 CERN의 미래 가속기, FCC 지을까, 말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우주는 무엇으로 이뤄졌을까? 물리학자들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지난 100년간 고에너지 가속기를 건설했고, 여기서 빛이 생기기 전의 우주를 재현했다. 현재 세계 최대 규모의 가속기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둘레 27km인 거대강입자가속기(LHC·Large Hadron Collider)다. LHC는 2012년 ‘신의 ... ...
- 코로나19 치료에 덱사메타손 득일까? 실일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과도한 경우에만 단기간 사용하도록 권고된다. 인체 대사와 항상성에 영향을 줘 장기간 사용할 경우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골다공증, 고혈압, 부종 등이 대표적이다. 게다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에게 스테로이드제를 처방하는 건 또 다른 위험이 따른다. 케네스 베일리 영국 ... ...
- 수족관 탈출! 바다로 풍덩! 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일을 겪을까?Part3. [돌아가다] 고래를 보고 싶다면 바다로!Part4. [쉬러가다] 바다 쉼터로 간 흰고래 ★ 도움장수진(해양동물생태보전연구소(MARC) 대표), 조약골(핫핑크돌핀스 공동대표), 천명선(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인문사회학 교수), Andy Bool(SEA LIFE Trust 대표), SEA LIFE TRUST Beluga ...
- [쉬러가다] 바다 쉼터로 간 흰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제작된 들것, 수조, 수온을 유지할 4t의 얼음 등 많은 준비물이 필요했지. 그러고도 30여 시간 동안 트럭, 비행기, 배를 4번이나 갈아탄 후에야 아이슬란드에 도착할 수 있었단다. Q 요즘은 어떻게 지내고 있어?실내 수족관과 아이슬란드 앞바다의 환경은 매우 달라. 그래서 이곳에 도착했다고 바로 ... ...
- 2009년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주기적으로 유행하는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증식된 바이러스가 다른 숙주세포로 옮겨갈 때 기존에 감염된 숙주세포와 바이러스 입자 간의 결합을 끊어주는 역할을 한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유전정보를 RNA에 담아 놓은 RNA 바이러스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8개의 RNA 분절로 이뤄져있어 복제 시 재조합이 일어날 수 있다. 이는 그만큼 ...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준에서는 바이러스도 생물의 정의를 만족하는 만큼 생물로 인정될 수 있다.이외에도 그간 무수히 많은 생물의 정의가 나왔다. 그리고 지금까지 섣불리 하나로 종합하지 못할 만큼 ‘생물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은 난제라고 볼 수 있다. 당연히 바이러스가 생물인가에 대한 질문 역시 결론이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체내에서 휴면 상태로 있다가 우주로 나가 활성화될 가능성을 조사했다.그 결과 조사 기간 중 180일 이상 우주에서 체류한 우주인 6명의 체액에서 재활성화된 VZV가 발견됐는데, 모두 증상은 경미한 것으로 나타났다.흥미로운 점은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우주인도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VZV가 ... ...
- STEP ③ 유전체 복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가혹한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확률이 높고 결과적으로 종을 보존할 수 있다.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진 바이러스는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대충 많이’ 만드는 전략을 구사한다. 이중 살아남는 바이러스만이 전파될 것이다. 그야말로 적자생존의 세계다. 대표적인 예로 ...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항체를 생산해 항원을 없애는 형질세포로 전환되고, 나머지는 항원 정보를 기억해 장기간 생존하는 기억 B림프구로 분화한다. 동일한 항원이 2차로 침입할 경우 기억 B림프구가 작용해 곧바로 항체를 생산한다 ...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발달과 조절을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을 제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그는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무수히 많은 물질을 인식할 수 있는 무수히 많은 항체를 몸속에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중 자주 쓰는 항체는 더 많이 살아남고, 덜 쓰는 항체는 적게 살아남는다는 것이다. 예르네의 이론은 이후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