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세대"(으)로 총 1,261건 검색되었습니다.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동아사이언스 l2014.04.14
- 쓴 논평이다. 요즘 학생들은 어떻게 배우는지 모르겠지만, 필자가 중고교를 다니던 한 세대 전만해도 호모 하빌리스,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의 순서대로 호모속(屬) 인류의 진화를 배웠다. 두개골 화석을 바탕으로 만든 호모 하빌리스 상상도.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4.04.08
- 관측했다. 그러나 이 형체가 고리라는 걸 확인한 건 크리스티안 하위헌스(필자 같은 구세대는 ‘호이겐스’가 익숙하다)로 1655년의 일이다. 그리고 1857년 제임스 맥스웰은 토성의 고리가 고체로 이뤄진 하나의 물체가 아니라 작은 입자들로 이뤄져 있음을 이론적으로 증명했다. 1989년 보이저 2호가 ... ...
- 고(古)게놈학 30년, 인류의 역사를 다시 쓰다동아사이언스 l2014.04.01
- 고품질의 네안데르탈인 뼈를 얻는데 성공했고 2003년 454라이프사이언시스가 개발한 차세대 염기서열분석기를 이용할 수 있었다. 당시 이 회사는 네안데르탈인의 게놈을 해독하는 비용으로 500만 달러(약 50억 원)를 제시했고 패보는 큰 기대를 안 하고 이를 막스플랑크학회에 알렸는데(500만이 든다고) ... ...
- [만화] 곤충이 미래의 식량?!KISTI l2014.03.14
- 지 20일 만에 몸무게가 1,000배나 늘어날 만큼 빨리 자란단다. 더구나 대량 생산도 쉽고 세대가 짧아서 여러 번 사육하는 것도 가능해요.” “와, 대박! 그런데 징그러운 건 어떡해요? 영화 설국열차에도 바퀴벌레로 만든 에너지 바가 나오잖아요. 사람들이 그거 보면서 막 우웩우웩 하더라고요. 난 ... ...
- 산기협, 2014년도 기술경영인상 수상자 선정KOITA l2014.02.25
- 감소시켜 고급 후판 생산에 크게 기여했다. 또한 고망간강 혁신 프로젝트 등 포스코 차세대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연구소장 부문 공동수상자인 ㈜고감도의 안향자 연구소장은 공간디자인 전문가로 기업의 특성에 맞는 창의적인 업무공간을 개발하여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일조한 공로로 ... ...
- 13대 미래성장동력 선정 "융·복합으로 산업 고도화"KOITA l2014.02.13
- 개 산업이 선정됐다. 정부는 창조경제시대의 전략산업으로 이들 외에도 △해양플랜트 △5세대(G) 이동통신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실감형 콘텐츠 △재난안전관리 스마트 시스템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등 9대 전략산업과 지능형반도체, 미래 융·복합소재, 지능형 사물인터넷, ... ...
- 새와 사람동아사이언스 l2014.02.11
- 사진작가 데이비드 티플링도 39개 나라에서 새들을 렌즈에 담았다고 한다. 아날로그 세대에 속하는 필자는 소장가치가 있다고 판단해, 7만원이라는 적지 않은 가격임에도 책을 주문했다. 십여 일 뒤 집에 도착한 책을 펼치면서 구입하길 잘 했다는 뿌듯함이 몰려왔다. 책은 203과(科) 1만500여 종인 ... ...
- 로봇이 인간을 대체할 수 있을까?KISTI l2014.01.29
- 넘어서는 차세대 사업을 모색하기 위한 실험대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데 그 차세대 사업이라는 것들이 하나같이 범상치 않다. 지표면과 우주공간을 연결하는 궤도 엘리베이터, 보관된 식품을 모니터링해서 부족한 물품은 자동으로 주문하는 냉장고, 사람이 조종하지 않아도 알아서 움직이는 ... ...
- 2014 갑오년 기념, 말의 진화 이야기KISTI l2014.01.06
- 몽골에서도 가축화된 말과 피가 섞이지 않았고 사람에게 잡혀 동물원으로 팔려와 수 세대가 지나 다시 몽골 초원으로 간 여정에서도 혈통을 유지했다는 말이다. 인터넷에서 보니 서울대공원 동물원에도 프르제발스키 말이 몇 마리 있는 듯하다. ‘말의 해’를 맞아 언제 한 번 보러가야겠다 ... ...
- [채널A] 올해 우주기술 ‘풍성’…우리 힘으로 로켓 쏜다채널A l2013.12.31
- 우주로 날아오른 나로호. 국내 최초로 야간이나 악천후에도 지구를 관측할 수 있는 차세대 위성 ‘아리랑 5호’의 발사 성공에 이어, 첫 적외선 관측위성인 ‘과학기술위성 3호’까지 궤도에 무사히 안착하며 우리 우주과학기술은 올 한해 한 단계 더 도약했습니다. 이제 남은 과제는 우리 힘으로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