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잘못"(으)로 총 1,8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이 독재하는 나라2018.04.07
-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Twenge & Campbell, 2009). 부풀려진 자아관으로 인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못하고, 관계에서 거절이라도 겪게 되면 어떻게 너 따위가 나를 거절할 수 있냐며 큰 공격성을 보이는 사람으로 클 수도 있다는 것이다. 과하게 자신을 비하하지도, 그렇다고 심하게 부풀리지도 ... ...
- "인류 유전자 지역별로 달라" VS "유전자로 '인종차별' 안돼"동아사이언스 l2018.04.06
- 3월 31일 의학, 사회학, 과학사 전문가 등 67명의 학자가 “라이시 교수는 인종에 대해 잘못된 개념을 전파하고 있다” “유전학자는 (인종 등) 범주(카테고리)를 연구에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된다” 등의 내용이 담긴 성명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이번 논쟁은 갑작스러운 게 아니다. 2014년 2월 미국 ... ...
- 독성물질 보톨리눔, 염기서열 분석 의무화 해야과학동아 l2018.04.05
- 독소 단백질을 소량 사용하면 얼굴의 주름을 펴는 등 미용 효과를 낼 수 있지만, 잘못 사용하면 호흡 곤란이 올 수 있다. - GIB 제공 마찬가지로 보툴리눔 균에서는 독소를 만들어내는 기능이 아주 중요하다. 우리가 사용하는 보툴리눔 균은 모두 독소를 생성하기 때문에, 이 기능에 관여하는 ... ...
- [스타트업 성공의 가설] 악플 안녕~소셜댓글 정착시킨 시지온의 성공방정식2018.04.02
- 대해 물었는데 답변은 온통 댓글에 관한 것들이었어요. 설문 결과를 보고 가설이 잘못됐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어요. 댓글은 댓글이고 토론은 토론이었어요. 댓글 문제는 토론이 아니라 댓글로 해결해야 했어요. 대중이 원하는 서비스를 만들었어야 했는데 저희가 원하는 서비스를 만든 거에요. 그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2018.03.31
- 정신상태 + 피해자를 통제, 감시하려는 치밀한 노력의 발현인 경우가 많으며 ‘한 순간의 잘못’, ‘우발적’ 등의 변명은 해선 안 되며 통해서도 안 된다는 것이다. 여기에 한 사회에서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을 용인하는 정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명백한 폭력을 ‘사랑 싸움’이라거나 ‘둘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생명, 급진적 격변 vs 점진적 변화? 2018.03.25
- 장바티스트 라마르크입니다. 아마 중고등학교 때 이름을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보통 잘못된 진화론을 제시한 학자 정도로 가볍게 넘어갑니다. 그런데 이는 라마르크 입장에서는 좀 억울한 일입니다. 라마르크는 종의 기원이 나오기 무려 70년 전에 진화론의 핵심 개념을 제안했습니다. 비록 ... ...
- [궁금한 이슈 why] 저커버그 결국 사과하기까지...페이스북 데이터 스캔들 총정리동아사이언스 l2018.03.22
- 코건은 어떤 잘못을 했나요? 코건의 회사 GSR이 앱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모은 것은 잘못이 아닙니다. 하지만 사용자에 제3자 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 없이 캠브리지 애널리틱스에 데이터를 넘긴 것은 문제가 됩니다. 두 회사는 페이스북의 데이터를 주고받은게 아니라 페이스북을 기반으로 ... ...
- [성은 스펙트럼이다] ③ 성별로 떠나는 여행2018.03.21
- 수술은 피부 등을 째거나 병을 고치는 일 혹은 결함을 근본적으로 고치는 일이다. 결국은 잘못된 무언가를 고치는 일이다. 고치기 위해 이들의 정체성을 숨겨야만 했다. 태어날 때부터 가지는 정체성이 부정당했다. 수술로 인해 본인이 부정당하는 아이러니다. 인터섹스라는 정체성은 본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가, 왜 피해자를 비난할까?2018.03.17
- 떳떳한 태도를 보이게 만든다. 누군가 ‘성범죄는 나쁘지만 이건 좀 다르지. 피해자도 잘못했네. 한 순간의 실수로 가해자가 안 됐네’라고 한다면 당신 덕분에 오늘도 성범죄가 늘어간다고 이야기해보자. [1] Check, J. V. P., & Malamuth, N. M. (1983). Sex-rolestereotypingand reactions to depictions of stranger versus ... ...
- KAIST, 소유욕 만드는 뇌 신경회로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8.03.15
- 물건 등을 획득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물건에 대한 지나친 욕구를 조절하지 못하고 잘못된 습관이나 질환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쓸모없는 물건을 버리지 못 하고 집안에 모으는 수집 강박증이나 쇼핑 중독 등 물건에 대한 과도한 집착은 정신 질환의 일종으로 분류돼 있다. 하지만 그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