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59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과학, 다가올 50년]"이론가와 실험가의 대화가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낼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보이는 대부분의 것들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갖추게 됐다는 것이다. 그는 "LHC로 가장
작은
거리에서부터 우주 전체의 크기까지 조사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또 "궁극적으로 시공간과 양자역학이 연결돼 있는지도 알 수 있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7월 28일 최종현학술원 주최로 열린 ... ...
[첨단과학, 다가올 50년]'눈에 보이지 않는 과학' 나노·양자 연구 곧 실험실 밖에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전류를 찌그러뜨리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소모되고 열이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아주
작은
반도체 소자를 만들어도 실제 생활에서 사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배터리가 너무 빨리 닳게 된다. 염 교수는 “미래과학에선 지금 사용되는 것과는 혁명적으로 다른 장치가 요구된다”며 “분명한 것은 ... ...
[첨단과학, 다가올 50년]"지금 보는 우주는 빙산 일각, 차세대 망원경들 놀라운 성과 낼 것 "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생각한 뒤에 관측을 통해 블랙홀의 존재를 입증했다”고 회상했다. 게즈 교수의 출발은
작은
은하였다. 이곳에선 가스 덩어리와 분출물이 엄청난 속도로 움직였다. 그는 "이를 보고 그는 블랙홀의 존재가 에너지 생산의 원임임을 추측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앤드리아 게즈 미국 로스앤젤리스 ... ...
[첨단과학, 다가올 50년]가장 큰 현미경으로 가장
작은
것 분석하기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일이 있다”며 “과학자들은 그뒤 열린 과학을 지향하며 협력하고 경쟁하면서 훨씬
작은
시설로 반세기 만에 깜짝 놀랄만한 성과를 이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더 높은 에너지 가속기가 등장하고 이 분야 연구가 앞으로도 더 나아갈 것은 분명하다”며 “빅뱅의 시간에 더 가깝게 ... ...
[표지로 읽는 과학]바다에서 발견된 수분매개자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제공 온몸이 반투명 껍질에 싸인
작은
벌레 한 마리가 붉은색을 띠는 나뭇가지에 앉아있다. 붉은 나뭇가지 정체는 바닷속 해조류의 절반을 차지하는 홍조류다. 그 위에 앉아있는 벌레 정체는 절지동물의 하나인 등각류다. 몸의 껍질에는 홍조류 생식세포인 수배우자(부동정자)가 붙어있다. ... ...
[인터뷰] 암 극복한 소년, 정보과학의 노벨상을 받다 “실패는 할 수 있다. 그 다음이 문제”
수학동아
l
2022.07.30
거예요.” 어떻게 극복했냐는 질문에는 “시간이 답”이라고 답했습니다. 대부분의 크고
작은
고난들은 시간이 지나고 나면 그리 큰일이 아니게 되니 어제보다 나아졌다는 생각으로 하루하루 살아가는 것이 방법이라며 말입니다. 이후 암을 완전히 극복한 그는 수학에 두각을 나타냈고, 15살부터 ... ...
내달 2일 우주망원경 전문가와 소행성 충돌 연구자들 부산에 모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9
궤도 변화를 탐지할 유럽우주국(ESA)의 헤라(HERA) 등의 임무를 다룬다. 심포지엄보다
작은
형태의 포커스 미팅에서는 현미경 수준의 연구가 거대한 우주론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들을 수 있다. 특히 일본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의 연구 책임자인 세이치로 와타나베 일본 나고야대 교수가 ... ...
조기발견 어려운 ‘미만형 위암’ 치료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6
사실을 알아냈다. 미만형 위암은 암 세포가 위에 덩어리 형태가 아닌 암세포가
작은
깨알같이 위 점막 아래에서 퍼지는 질병이다. 이 유전자 기전이 새롭게 밝혀지면서 맞춤형 위암 치료의 가능성에 한걸음 다가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체 맞춤의료연구단과 연세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 탄생 200주년
2022.07.26
지베렐린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GA 3-산화효소를 지정했다. 분석 결과 열성인 키가
작은
변이형은 유전자의 염기 하나가 구아닌(G)에서 아데닌(A)으로 바뀌어 그 산물인 효소 단백질의 229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A)에서 트레오닌(T)으로 바뀌면서 구조가 틀어지며 기능이 떨어져 지베렐린이 제대로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 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7.26
연구진은 카드뮴 원자 14개와 셀레늄 원자 13개로 이뤄진 현재까지 규명된 가장
작은
반도체클러스터를 단일 사이즈로 만드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했다. 이를 위해 기존 반도체 나노클러스터를 둘러싼 리간드에 주목했다. 리간드는 중심 금속 원자에 결합해 화합물을 형성하는 이온 또는 분자를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