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탄력
탄성
회복력
검댕
유연성
그을음
부드러움
뉴스
"
유연
"(으)로 총 1,207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두께가 겨우 원자 몇 개?
2014.08.24
성공했다. 이 교수는 “이번 향후 초고속‧고효율 광전자소자 개발 및 신개념 투명
유연
소자 응용 연구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네이처 나노네크놀로지’ 11일자에 실렸다. ... ...
살아 움직이는 것 같은 기계 구동장치 나온다
2014.08.06
고분자에서 사용되는 금속 전극 대신 마치 동물의 근육처럼 전기 신호가 흐르면서도
유연
한 고분자 전극을 적용해 완전한 유기 고분자로 이뤄진 인공근육을 만들었다. 인공근육 내부에서 이온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그물처럼 촘촘히 만들어 이온들이 내부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고안했다. ... ...
연구논문 2개에 동시에 이름 올린 중앙대 교수
과학동아
l
2014.07.30
맞처 변신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실리콘 소재 대신 플라스틱을 이용해
유연
한 반도체를 만들려는 시도가 계속됐다. 그러나 플라스틱 반도체는 전류가 안정적으로 흐르지 못하는 등 실리콘 반도체에 비해 성능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이 플라스틱을 만드는데는 환경 오염 물질인 ... ...
빛을 전기로 바꾸는 나노결정
과학동아
l
2014.07.30
태양빛을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원리를 설명할 예정이다. 또 옷에 붙일 수 있는
유연
한 태양전지와 건물 외벽에 간단히 페인트칠을 해 만드는 태양전지도 소개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이은경 경북대 교수가 ‘바코드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도입강연을 진행한다. 한국연구재단은 ‘금요일에 ... ...
[사이언스 브리핑]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外
과학동아
l
2014.07.22
원의 연구비를 지원한다. 이곳에서는
유연
한 고체전지와 고전압 흐름전지, 충전 가능한
유연
성 금속 공기전지 등이 연구된다. ◆한국과 유럽의 정상급 과학기술인 700여 명이 모이는 ‘2014 한유럽 한인과학기술 학술대회(EKC)’가 24~26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다. 2008년 시작해 7회 째를 맞는 EKC는 ... ...
여학생과 공학의 ‘궁합’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4.07.15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장석영 미래부 미래인재정책국장은 “섬세함과
유연
한 사고, 문화적 소양과 감성, 소통 능력 등 여성이 갖고 있는 ‘소프트 파워’는 창조적 융합 공학 시대에 각광받는 능력”이라면서 “여학생들이 이번 행사를 통해 여성 엔지니어로서의 꿈과 희망을 키울 수 ... ...
과학도에게 필요한 것은 도전정신과 목표 의식
동아사이언스
l
2014.06.17
연구소장(왼쪽에서 두 번째). - 손미원 연구소장 제공 “동아제약은 논리적이면서도
유연
한 분위기의 회사였어요. ‘이렇게 힘든 일을 여자가 할 수 있을까?’라는 의아함과 걱정은 있었어도, 여사원들을 차별하거나 부정적으로 대하진 않았죠." 그런 분위기 속에서 그녀는 연구에 매진할 수 ... ...
하반신 마비 환자가 ‘브라주카’를 뻥~
과학동아
l
2014.06.14
번쩍 들어올려 기쁨의 탄성을 질렀다. 시축 성공이었다. ①EEG : 전도성을 가진
유연
한 플라스틱 집합체를 두피에 붙여 수천 개의 뇌세포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인다. ②헤드기어 : 전극이 부착된 헤드기어에서 뇌파를 모아 컴퓨터로 보낸다. ③컴퓨터 : 뇌파를 해석해 웨어러블 로봇에 작동 명령을 ... ...
전자피부에서 접는 디스플레이까지
과학동아
l
2014.06.13
얇고 넓은 유기반도체를 한 번에 코팅하듯 만들 수 있는 기술과 펜으로 그림을 그리듯
유연
한 전자소자를 만드는 기술도 확보했다. ●영국은 휘는 전자종이, 일본은 구겨지는 전자소재 현재 이 분야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세계 각국의 경쟁은 치열하다. 문서나 동영상을 재생하는 ... ...
안전하고
유연
한 생체연료전지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2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김 교수는 “직물 제조가 가능할 만큼
유연
하고 체액 내에서도 전력생산 효율과 안정성이 뛰어나 고성능의 삽입형 의료기기 개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