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뉴스
"
생물학
"(으)로 총 2,359건 검색되었습니다.
공기 중 바이러스 현장서 진단하는 일회용 키트 플랫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12
포집하고 바로 분석이 가능한 플랫폼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같은 공기 중 부유 중인
생물학
적 위해 인자를 현장 진단해 실내 공기 오염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응용할 수 있다”며 “과거 조류독감 감지 키트 기술을 이전한 기업과 코로나19 감지 기술에도 이를 응용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 ...
신종 코로나, 숙주 세포 단백질 생성 막는 기전 찾았다
연합뉴스
l
2020.11.10
등 병원체를 방어하는 면역 반응에 심각한 지장이 생긴다. 이 연구 결과는 최근 세포
생물학
저널인 '몰레큘라 셀(Molecular Cell)'에 논문으로 실렸다. 9일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는 Nsp1을 이용해 숙주세포의 관련 유전자 ... ...
[표지로 읽는 과학] 노벨위원회 예상 적중한 극저온전자현미경
동아사이언스
l
2020.11.07
하나가 MRC분자
생물학
연구소에서 발표됐다는 점도 흥미롭다. 쇼르스 스헤러스 MRC분자
생물학
연구소 그룹리더가 이끄는 연구팀은 인간의 막 단백질인 β3 가바(GABAA) 수용체를 새로운 에너지 필터와 카메라 등을 이용해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결과 1.7Å의 해상도의 이미지를 얻는 데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바이러스, 라마에서 배운 합성나노항체로 막는다
2020.11.05
코로나 치료법을 개발했다. 바이러스 잡는 최적의 나노항체 선별 독일 함부르크 유럽분자
생물학
연구소(EMBL)의 크리스천 로우 박사 연구진은 기존의 합성나노항체들 가운데 코로나 바이러스가 인체에 감염되지 못하게 막을 수 있는 것을 찾았다. 먼저 연구진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RBD를 ... ...
'과학기술 미래인재 콘퍼런스' 개막…"미래인재 양성 소통의 장"
연합뉴스
l
2020.11.05
AI) 학계 권위자이자 '딥러닝 레볼루션'의 저자인 테런스 J. 세즈노스키 미국 소크
생물학
연구소 교수가 기조강연을 하고 각계 전문가들의 강연과 토론이 이어진다. 개막 후 이어진 '미래인재포럼'에서는 'K-뉴딜을 선도하는 혁신인재 양성'을 주제로 강연과 토론이 이루어졌다. 세즈노스키 교수는 ... ...
[백신 업데이트]코로나19 백신 임상 3상 후보 10종…한 달째 안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1.04
백신을 개발해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며(위 사진), 이스라엘의 바이즈만연구소와 이스라엘
생물학
연구소가 공동 개발중인 또다른 벡터 방식 백신 후보물질은 임상 1/2상에 돌입했다. 임상의 최종단계인 3상에 든 후보물질의 수는 여전히 10종으로 한 달째 제자리걸음 중이다. 유망한 후보물질이 ... ...
"네안데르탈인, 현생 인류와 10만년 넘는 소모전서 패해 멸종"
연합뉴스
l
2020.11.04
익숙해 현생 인류와의 싸움에서 전략적 우위에 있었으며, 큰 눈과 다부진 체격을 가져
생물학
적으로도 싸움에 유리했을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두 세력 간의 교착상태를 깨는 무언가가 진행돼 결국 현생 인류가 승자로 전쟁이 끝나고 네안데르탈인은 화석으로만 남게 됐다. 롱리치 부교수는 더 ... ...
인류 ISS 입성 20주년…무중력 실험 가능한 천상의 실험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3
중 특히나 ISS가 기여한 부분은 과학 실험이다. ISS는 세계 최대의 우주실험실로 불리며
생물학
과 물리학, 화학 등의 분야에서 우리의 이해를 바꿔 놓은 선구적인 각종 과학 실험들을 진행해왔다. NASA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현재까지 108개 국가의 3000여개에 달하는 과학 실험이 ISS에서 진행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획득했다(사람도 여기에 해당). 생쥐와 사람 옵신의 파장대별 민감도 그래프다. 실험
생물학
저널 제공 19세기 프랑스의 저명한 동물학자 폴 베르는 물벼룩을 대상으로 몇 가지 실험을 한 뒤 모든 동물은 사람과 같은 스펙트럼의 빛을 본다고 경솔하게 주장했다. 1881년 영국의 박물학자 존 러벅은 ... ...
美 대선 앞두고 트럼프에 등 돌린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2
지지율은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네이처는 또 설문조사에서 응답자들에게 사회과학,
생물학
, 물리 또는 컴퓨터 사이언스 등 큰 범주에서 자신의 전공 분야를 선택하도록 했다. 전공 분야별로 사회 과학자들의 조 바이든 후보 지지율은 90% 이상인 반면 물리 및 컴퓨터 사이언스 전공자들의 조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