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뉴스
"
결합
"(으)로 총 3,93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포스텍, A 리튬이온전지 용량·수명 예측 AI 개발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5.18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약물 후보 분자를 발굴하기 위해 표적 단백질과
결합
하는 리간드를 예측하는 AI 모델이 개발되고 있으나 새로운 단백질 구조에는 낮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연구팀은 AI 모델의 복잡도를 줄이는 한편 물리 시뮬레이션을 통해 부족한 데이터를 보강해 기존 대비 ... ...
이달부터 분기별 1만명 항체검사…숨은 감염자 찾아 방역정책 반영
동아사이언스
l
2022.05.17
맞았다는 것”이라며 “백신으로는 만들어지지 않는 단백질이 있다. 바이러스 유전자와
결합
된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로, 이 단백질은 자연감염 됐을 때만 확인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 단장은 항체검사 목적에 대해 “정부가 인지하지 못한 자연감염의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 파악해 ... ...
자기장으로 뇌 속 알츠하이머 치매 원인 단백질 분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6
저주파 자기장을 쏘고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분해 여부를 실험한 결과 단백질
결합
력이 약화돼 분해되는 모습이 관찰됐다. 신경 독성 역시 중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의료분야로 확장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기술”이라며 “향후 알츠하이머 형질변환 마우스 등을 이용한 ... ...
원자력연, SMR 핵연료 가공 허가
동아사이언스
l
2022.05.13
수정의결했다. 이 안건은 신한울 1호기 운영허가 시 부가된 조건 중 피동촉매형 수소재
결합
기(PAR) 실험 최종보고서 제출기한을 지난 2022년 3월에서 오늘 2022년 6월까지로 변경하는 것으로 안건 내용을 일부 수정하는 내용이다. 원안위는 월성원전 부지 내 고농도 삼중수소 검출과 관련해 월성원전 ... ...
IBM "2025년 4000큐비트 양자프로세서 내놓을 것…양자컴 실용화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22.05.13
기능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존의 컴퓨터 시스템을 양자 프로세서와
결합
해 확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여러 칩을 긴밀하게 연결해 더 큰 단일 프로세서를 만들기 위해 칩 수준의 단거리 연결 장치를 배치할 계획이다. 또 진정한 확장성을 실현하기 위해 각 양자 프로세서 간에 양자 통신 ... ...
한달 앞 다가온 누리호 2차 발사..."결함 잡고 후속발사로 신뢰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3
이달 16일 3단에 실릴 성능검증위성이 조립동에 도착하고 1~2단 조립이 끝나 3단과
결합
까지 끝나면 내달 12일쯤에는 모든 발사 준비가 끝날 것으로 예상된다. 발사 하루전인 내달 14일 이송장치에 실려 나로우주센터 가장 남쪽에 자리한 발사대로 옮겨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발사관리위원회는 당일 ... ...
[과학게시판]지질연·합천군, 합천운석충돌구 관광자원화 업무협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5.12
2, … , n}의 부분집합 X가 있다면, 행렬에서 X에 속한 열만 뽑아서 그 열벡터를 가지고 선형
결합
해 만들 수 있는 벡터 공간의 차원을 r(X)라는 함수로 써봅시다. 매트로이드에서는 이것을 ‘X의 랭크’라고 부릅니다. 이때 aₖ를 랭크가 k이면서 원소의 개수가 짝수인 X의 개수와 랭크가 k이면서 원소의 ... ...
[르포]누리호 2차 발사 앞으로 한달 "독자개발 덕에 결함 해결 오히려 빨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1
이달 10일 전남 고흥 외나로도 나로우주센터 발사체종합조립동에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관계사 관계자들이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1단과 2 ... 일환으로 실제 비행시험을 한다고 지켜봐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누리호 1단과 2단
결합
은 이달 15일 전까지 끝마칠 예정이다. 항우연 ... ...
고성능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개발자 이정용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2.05.11
이종 반도체 경계면에서 빛에 의해 생성된 엑시톤의 짧은 확산 거리와 그로 인한 재
결합
문제가 전하전송을 저해하는 주된 원인임을 밝혔다. 엑시톤은 음 전하 전자와 양 전하 정공이 합쳐진 형태로 엑시톤의 움직임은 태양전지 성능과 직결된다. 이 교수팀은 이종 반도체 사이에 계단형 ... ...
익명의 50대 기부자, KAIST에 300억원 재산 기부
동아사이언스
l
2022.05.09
거침없었다. KAIST는 익명의 50대 남성이 “나의 기부가 KAIST의 젊음이라는 강력한 무기와
결합
해 국가 발전뿐 아니라 전 인류사회에 이바지하는 성과를 창출하는 초석이 됐으면 좋겠다”며 300억 원 상당의 부동산을 KAIST에 기부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기부자는 KAIST에 300억 원 이상을 기부한 이들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