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어린이과학동아
"
물질
"(으)로 총 1,165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의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13
만나게 하면 전기가 만들어지는데 이 전기로 바퀴를 돌리지요. 이런 자동차를 수소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라고 부른답니다. 오염
물질
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 매우 좋아요. 자동차 안도 싹 바뀌어요. 지금은 사람이 직접 운전해야 하잖아요. 미래에는 자동차가 인공지능을갖고 있어요. 목적지만 불러 주면 알아서 척척 원하는 곳까지 갈 거예요. 그럼 ...
태양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313
폭발로부터 방출된 플레어와 코로나
물질
이 지구에 도달하여 지구와 가까운 우주 환경을 급격히 변화시키지요. 예를 들면 코로나
물질
방출이 지구 자기권과 충돌하면 순간적으로 지구 자기장이 뒤흔들리면서 지자기 폭풍을 일으키기도 하고 지구 상층 대기권에까지 도달하면서 오로라를 발생시키기도 해요. 이러한 환경 변화를‘우주 날씨’라고 하지요. ...
수정, 그 위대한 경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228
세포막에서 전기반응이 일어나 다른 경쟁 정자들은 난자의 세포막에서 떨어지게 되고 시간이 지나면 난자의 겉을 둘러싸고 있는
물질
이 딱딱하게 굳어 다른 정자가 들어오지 못하게 합니다. 수정란은 처음에는 하나의 세포이지만 처음에는 2개, 다음에는 4개, 또 다시 8개로 계속 세포분열을 하는데요. 이것이 바로 배아랍니다. 배아는 자궁으로 움직여 수정된 ...
사랑이 시작되는 눈맞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228
해요. 난자는 0.2㎜ 정도의 크기로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지만 사람의 세포 중에서는 가장 큰 세포입니다. 핵 외에도 영양
물질
이 되는 세포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지요. 이렇게 배란이 된 난자는 24시간 정도만 살아 있을 수 있어요. 또한 배란이 된 후 수정이 되지 못한 난자와 아기를 위한 양분을 저장했던 자궁 내막이 벗겨져 몸 밖으로 나오는 ...
북극과 남극에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229
바다표범과 늑대의 가죽으로 장화를 만들었다. 결국 피어리는 이누이트 사람들의 도움으로 북극점에 도달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물질
문명의 발달로 현재 이누이트에게서 얼음으로 만든 이글루에 살던 예전의 생활 방식은 거의 찾아 볼 수 없게 되었다. * 에스키모는'날고기를 먹는 사람'이란 뜻으로, 이누이트가 1년 내내 얼음으로 덮인 북극에서 부족하 ...
얼음 속에 갇힌 설인을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111
쉽게 녹는답니다. 어는점이 내려가면 물이 어는 데 그만큼 더 낮은 온도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지요. 소금 이외에 염화칼슘이라는
물질
도 같은 원리를 이용해 얼음을 빨리 녹게 하기 때문에 제설제로 많이 사용한답니다. 얼음 + 소금 = 낮은 온도얼음에 소금을 뿌리면 얼음은 더 잘 녹지만 온도도 무척 낮아집니다. 그 이유는 바로 얼음이 녹으면서 주위의 ...
공룡에 관한 여덟가지 미스터리(4)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031
●알칼로이드 중독설 중생대 말에 나타난 새로운 종류의 식물 중에는 알칼로이드라는 유독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있었는데, 이 유독
물질
을 먹게 되어서 공룡이 멸종하게 되었다는 주장입니다. ●기타 그 밖에 공룡이 뀌는 방귀 때문에 지구에 온실효과가 나타나면서, 결국 기후변화로 인해 멸종하게 되었다는 방귀설도 있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멸종되었다는 ...
자연의 색을 돌려 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015
해요. 봉숭아로 손톱을 물들일 때 백반을 빻아 함께 넣는 것도 같은 원리랍니다. 백반에는 알루미늄이온이 포함되어 있는데 천에 염색
물질
이 강하게 결합하도록 도와 줍 니다. {BIMG_c11}우리는 양파와 노란 손수건 팀! 양파를 먹고 난 뒤 버리는 껍질을 이용하 면 노란색으로 예쁘게 염색할 수 있어. 단풍잎처럼 빨간 손수건은 소목을 이용했어! ...
환경과 생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912
Q : 바퀴의 가장 무서운 천적은? A : 바퀴에게도 천적은 있다. 하지만 어떤 바퀴들은 공격하는 개미나 딱정벌레에게‘키논’이라는 화학
물질
을 뿜어 기절시킨다. 약한 새끼들은 공격자에게 다리를 붙잡히면 다리를 끊어 버리는데 끊어진 다리는 나중에 다시 생겨난다. 그래도 바퀴의 가장 무서운 천적은 인간이 아닐까 ... ...
무인도 탈출 작전! SOS~!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912
마른 나무끼리 빠른 속도로 비비면 열이 발생한다. 그러나 나무에 불이 붙기 위해서는 발화점 이상의 온도가 되어야 한다. 발화점이란
물질
을 공기 중에서 가열할 때 불이 붙는 가장 낮은 온도를 말하는데 나무의 발화점은 400~450℃이다. 성냥에 불을 붙였을 때 머리 부분의 인이 먼저 타는 이유는 인의 발화점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은 마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