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d라이브러리
"
DNA
"(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밭에서 열린 한여름의 과학축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또한 시민이 만드는 과학체험프로그램에서는 꼭두각시 빨대, 요술 거울, 춤추는 실타래,
DNA
팔찌 만들기, 거꾸로 도는 팽이 만들기 등 그 이름만 들어도 재미있는 과학이 쏟아져 나올 것 같은 주제들로 직접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했답니다. 꿈돌이가 이끄는 별나라 속으로과학축전이 열리는 엑스포 ... ...
에이버리의 유전물질
DNA
확인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중요한지 누구도 제대로 평가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차츰 에이버리의 연구는
DNA
가 유전자 구성 물질이라는 증거를 최초로 제시한 실험으로 인정받게 됐다. 에 이 버 리 는1877년 캐나다 노바스코샤주의 핼리팩스에서 목사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같은해 뉴욕으로 옮긴 뒤 뉴욕메일 ... ...
바이러스는 이유 있는 심술꾸러기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해충이었다. 병을 옮기는 해충을 살펴봤더니 바이러스가 원인이었다. 독일로 유학가서
DNA
를 다루는 분자생물학까지 전공하게 됐다. 이 교수는 “하다 보니 점점 깊숙이 들어갔다”고 말했다.예전만 해도 한국에서 바이러스를 연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바이러스를 키우기 위해서는 숙주를 ... ...
인간과 침팬지 차이는 엔도르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인간과 침팬지 사이를 갈랐을까.인간과 침팬지의
DNA
는 기껏해야 2% 밖에 다르지 않다. 그런데 어떻게 인간이 지금처럼 진화할 수 있었는지는 큰 수수께끼다. 최근 가능성 있는 답 하나가 공개됐다. 바로 엔도르핀의 차이다.미국 듀크대 그레고리 워레이 교수는 인간과 침팬지가 모두 갖고 있는 한 ... ...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차곡차곡 염기결합을 하고 있는
DNA
가 RNA를 만들기 위해 이중나선을 푼다. 이 때문에
DNA
의 다른 쪽에는 거꾸로 염기결합의 밀도가 높아지며 만원버스처럼 빽빽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것을 네가티브 슈퍼코일링이라고 한다 ... ...
벼룩 닮은 슈퍼 고무 탄생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인간이 만든 어떤 고무보다 잘 늘어나고 탄성이 좋다.연구팀은 2001년 초파리의
DNA
에서 발견된 레실린 유전자를 대장균에 삽입해 실험실에서 레실린 단백질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문제는 각각의 단백질을 연결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연구팀은 단백질 분자에 루테늄(Ru) 금속촉매를 넣고 하얀 빛을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DNA
라고도 한다 절단되지 않은 고리닫힘(閉環狀)
DNA
에는 비틀림이 있지만 고리열림
DNA
에는 비틀림이 없고 분자 전체로서 고리모양을 나타낸다 고리화합물이 고리를 열면서 중합체를 만드는 중합법 기구적으로는 대부분이 이온반응이고 라디칼반응은 거의 없다 트리옥산에서 폴리산화메틸렌, ... ...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이뤘다. 제임스 왓슨과 프란시스 크릭이 로잘린드 프랭클린의 X선 사진을 보지 못했다면
DNA
으 구조는 지금까지도 수수께끼로 남아있었을지 모를 일이다. 열 명의 말이나 열 장의 글보다 단 하나의 이미지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과학 분야에서 관찰한 사실이나 연구결과를 얼마나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자기장에 가둬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도록 고안한 용기염색체 말단에 존재하는
DNA
조각 세포분열 할 때마다 텔로미어가 떨어져 나가 더 이상 분열할 수 없게 되면 노화가 일어난다는 학설이 있다표면이 고르지 않은 물체에서 반사된 빛이 여러 방향으로 반사돼 나가는 현상으로 '난반사'라고도 ... ...
중국 두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6호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35세대 이동통신 기술이다염색체상의 어떤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DNA
단위 유전자 사이를 건너다닐 수 있기 때문에 '점핑 유전자'(jumping gene)라고 불리기도 한다단백질의 원료인 아미노산을 리보솜으로 운반하는 전달 RNA강물이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어귀에 퇴적물이 쌓여 삼각형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