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항공"(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션’ 제작진도 몰랐던 차세대 우주복과학동아 l2015년 12호
- 030년대 유인 화성탐사를 준비하고 있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화성을 탐사할 때 우주인들이 착용할 우주복 초기모델의 실물(아래 사진)을 10월 2일 최초로 공개했다. ‘Z-2’라고 불리는 이 우주복은 지난해 23만3431명이 참여한 온라인 투표에서 1위로 선정된 디자인을 적용한 우주복이다.NASA는 Z-2를 ...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대학원 모든 학과의 중퇴·졸업 비율, 학위수여기간을 공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항공우주공학과는 2010년 박사과정에 8명이 입학해 2명이 1년 만에 그만뒀다. 1명은 5년 만에 졸업했고, 3명은 6년 만에 졸업했으며, 2명은 아직 학교를 다니고 있다.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이런 식으로 재학생·졸업생 ... ...
- 슈퍼엘니뇨, 남극의 해빙을 없애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역대 최고 기록도 갈아치웠다. 그런데 올해는 이 해빙 면적이 이례적으로 줄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10월 6일 남극의 해빙 면적이 1883만km2로 올해 중 가장 넓었지만 작년 최대 면적보다는 133만km2(7%) 줄었다고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NASA는 1년 중 해빙 면적이 가장 넓어지는 시기도 평균( ... ...
- 포스가 깨어났다, 과학으로 영접하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넘어선다.스타워즈에서 영감을 받아 실제로 만든 로봇도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항공우주학과 데이비드 밀러 교수는 지난 1999년 학생들에게 스타워즈 5편의 한 장면을 보여주면서 “이런 로봇을 만들어 보자”고 제안했다. 그가 보여준 로봇은 공중에 둥둥 떠다니는 작고 동그란 드로이드로, ... ...
- 실험실에 찾아온 크리스마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과학(Science as Art)’에서 2등을 수상한 작품. 미국 일리노이대 어바나-샴페인캠퍼스(UIUC)항공우주공학과의 아담 스틸 연구원이 초소수성 나노재료를 찍은 사진에 크리스 크링글 연구원이 예쁘게 색을 칠했다.➌ 꽃보다 세포세상 어디에서도 구할 수 없는 특별한 크리스마스 장식품. 미국 피츠버그대 ... ...
- [과학뉴스] 술과 설탕 내뿜는 혜성?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처음이다.프랑스 파리 천문대 산하 우주연구 및 천체 물리 계측 연구소(LESIA)와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이 포함된 국제공동연구팀은 ‘러브조이 혜성(학명 C/2014 Q2)’의 대기를 분석했다. 러브조이는 작년 8월 호주의 아마추어 천문가 테리 러브조이가 발견한 혜성으로, 올해 1월 30일께 8000년 만에 태양 ... ...
- “거북선은 3층, 큰 대포는 앞에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알려진 것이 없어 2층설, 3층설 등 다양한 이론이 난립해왔다. 그런데 최근 채연석 전 항공우주연구원 원장이 거북선 내부를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로켓을 공부했던 그가 어떻게 거북선 연구를 시작하게 됐으며, 과학적으로 밝혀진 거북선의 모습은 어떤 모습일까.Q 거북선은 2층인가, ... ...
- 반짝이는 점을 가진 왜소행성 세레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탐사선을 보냈죠. 세레스의 표면을 관찰한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니에요. 지난 달에도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돈(Dawn)’ 탐사선에서 찍은 세레스 표면 사진을 공개한 적이 있었답니다. 하지만 세레스와 탐사선 사이의 거리가 멀어 빛나는 부분이 흐릿하게 보였어요.그러던 중 지난 5월 9일, 돈 ... ...
- 진짜 우주 vs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중 진짜 우주 사진은 무엇일까.미국항공우주국(NASA)은 9월 22일 홈페이지를 통해 다음과 같은 6장의 사진을 공개했다. 3장은 진짜 우주를 촬영한 사진이고 3장은 우주비행사의 피부에서 살아가는 미생물이다.NASA는 2015년 연중 과제 중 하나로 우주에서 생활하는 우주비행사의 미생물이 1년 동안 어떻게 ...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미세먼지 배출 기준(1km 당 4mg)과 비교해도 크게 다르지 않은 수치다. 민경덕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강화된 환경 규제를 맞추기 위해 자동차업계는 엔진과 후처리 장치 기술을 꾸준히 발전시켜왔다”며 “클린 디젤이 아예 없다고 말하는 건 디젤의 입장에서도 억울한 면이 있다”고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