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으)로 총 3,608건 검색되었습니다.
- 3D 프린터로 만든 제품, 독성 주의!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장난감, 우주선…, 세상에 못 만드는 것이 없는 기술로 각광받던 3D 프린팅 기술이 안전성 논란에 휩싸였다. 미국 UC리버사이드 윌리엄 그로버 교수팀은 STL(stereolithography) 방식과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으로 제작한 물건에서 독성이 검출됐다고 ‘환경 과학과 기술’ 11월 4일자에 발표했다 ...
- Patr1. 폰노이만 vs 비(非)폰노이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가지게 됐다. 병렬성은 과연 어떤 의미가 있을까. 슈퍼 컴퓨터와 비교해본다.※ 편집자 주_슈퍼 컴퓨터는 성능 순위 1위를 기록한(2015년 11월 기준) 중국 국방과학기술대학의 ‘톈허 2호(위 사진)’를 기준으로 한다. 5세대 컴퓨터 중 하나인 뉴로모픽 컴퓨터는 2014년 출시한 IBM사의 ‘트루노스(Truenorth ...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장면이 나오는 미디어를 접하지 않도록 부모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호주 경제평화연구소가 11월 17일 발표한 세계 테러리즘 보고서에 따르면, 테러 희생자 수는 15년 전에 비해 10배나 증가했다. 2001년 9·11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이 선포됐지만, 이대로라면 21세기는 테러의 시대가 ... ...
- 슈퍼엘니뇨, 남극의 해빙을 없애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상승하면서 해빙은 덜 형성되고 대신 갈라져 나가는 유빙이 증가한 것이다. 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월트 메이어 연구원은 “장기적 관점으로는 남극의 해빙면적이 다시 늘어날 전망”이라고 밝혔다 ... ...
- 과학동아몰에서 추천하는 크리스마스 선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울면 안 돼, 울면 안 돼. 과학동아몰은 우는 아이에게 선물을 안 주~신대♬. 노래가 절로 흘러나오는 즐거운 크리스마스다. 송년회와 신년회에 시달리느라 아직 조카들의 선물을 고르지 못했다면 과학동아몰에서 한번 찾아보는 것은 어떨까. ...
- 생물 피해로부터 천 년 문화재 지키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인체나 문화재에는 해가 없는 물질을 찾았습니다. 올해 10월 미래창조과학부가 주최한 ‘2015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100선’에 선정돼 우수성도 인정받았고, 한국과 일본에서는 특허도 받았지요. 정 연구관과 서 연구사는 “비용이 많이 드는 화학 약제를 대체,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 [Knowledge] 땅에 적응한 하늘의 파충류, 익룡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꼬리가 길었고 뒷다리 사이에 피부막을 가졌다. 그러면서 동시에 프테로닥틸루스처럼 주둥이가 길쭉했다. 두 종 사이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그런데 꼬리가 아니라 머리가 더 진화했다는 점이 미스터리였다. 원시 익룡이 땅으로 내려와 걷기 위해 꼬리가 짧아져서 진화한 익룡이 됐다면, 우선 ...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영국 드라마 ‘셜록’에서는 신발 밑창에 묻은 진흙에 섞여 있는 꽃가루만으로 신발 주인이 어느 지역에서 왔는지 추리해내는 장면이 나온다. 흥미롭게도 국제학술지 ‘미생물군집(Microbiome)’ 5월 12일자에는 마치 셜록을 흉내 낸 것 같은 연구 결과가 소개됐다.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 사이먼 렉스 ... ...
- 등검은말벌 대한민국을 공격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등검은말벌이 처음 발견됐고, 2009년엔 파리를 포함한 프랑스 32개 주, 2013년엔 67개 주에서 발견됐다. 프랑스를 기점으로 2010년엔 스페인, 2011년엔 포르투갈, 벨기에, 2012년엔 이탈리아, 2014년엔 독일까지 전부 퍼졌다.일본도 예외는 아니다. 일본은 2012년 부산항에서 가까운 대마도에서 등검은말벌이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57.2g씩 늘었다. 초고속 압축 진화다. 식물도 피해갈 수 없다식물도 마찬가지다. 우리 주식인 벼를 살펴보자. 이점호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과장은 “벼를 비롯한 작물 육종의 가장 큰 성과는 바로 키를 줄인 것”이라며 “전세계 모든 작물은 기계수확하기 편리한 방향으로 육종이 이뤄졌다”고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