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쇼킹 사이언스] 바람이 돌을 움직인다고?! 항해하는 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돌의 움직임을 3년 동안 관찰해 직접 확인했거든요. 연구팀은 60여 개의 돌에 위치 추적 장치를 붙이고, 날씨를 관측하는 장비 15개로 돌 주변의 날씨를 꾸준히 조사했어요. 그 결과 데스밸리의 땅은 겨울철에 얼었다가 살짝 녹아 진흙이 되는데, 그 때 돌이 진흙위를 1분에 5m정도 움직인다는 사실을 ... ...
- [과학뉴스] ‘마술종이’로 감쪽같이 사라지는 전자소자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마술종이의 재료다. 최 교수팀은 니트로셀룰로스 종이 위에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전자 장치의 기본이 되는 반도체용 트랜지스터를 제작했다.특히 무선 조작이 가능한 전기 히터를 새겨 넣어 원하는 시점에 히터의 열로 종이 기판을 파괴할 수 있게 했다. 최 교수는 “군사적으로 보안이 필요한 ...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영국 연구팀이 인간의 뇌를 모방해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나노미터(100만 분의 1mm)크기의 인공시스템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영국 사우스햄튼대 전자컴퓨터과학과 알렉스 서브 교수팀은 뇌의 복잡하고 정교한 네트워크를 흉내 내는 데 금속산화물 ‘멤리스터’를 이용했다. 멤리스터는 ‘메모리 ... ...
- [과학뉴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향수의 비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농축한 뒤,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유향의 냄새 성분을 분리했다. 그리고 핵자기공명장치를 이용해 물질의 분자 구조를 분석하자, 자연에서 한 번도 발견되지 않았던 두 개의 분자가 발견됐다. 연구팀은 이 분자에 ‘유향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이전까지는 이 물질의 농도가 너무 적어 기계로 ...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새로운 장비도 눈에 띄었다. 광물의 미세구조와 유기물 분석을 담당하는 분석장치인 ‘셜록(SHERLOC)’이다. 현장의 숨겨진 단서를 찾아 사건을 해결하는 탐정 셜록처럼 마스2020의 셜록 역시 아직 모르는 화성의 이면을 밝혀줄 터다. 또 다른 장비 ‘목시(MOXIE)’는 ‘화성 산소 현지 자원 활용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뭐라고 답하실지 알고 있습니다. 조금 전에 작가님의 뇌파를 읽었거든요. 뇌파검사장치가 소파에 심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작가님께서도 생각을 정리할, 말하자면 이미 내린 결론을 언어로 풀어낼 시간이 필요하시겠지요.” 센서스 코무니스 대표가 테이블에 놓인 태블릿 PC를 흘끗 보면서 말했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과학 집단의 경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살짝 쓸어내리면 지문이 나타난답니다. 이처럼 자석은 나침반이나 가방, 필통의 잠금장치부터 지문 채취까지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어요.자석은 철이나 니켈, 코발트 등을 끌어당기는 ‘자성’을 지닌 물체를 말해요. 자석은 모양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모두 N극과 S극을 가지고 있어요. 자석 두 개를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그 자체로 흥미로운 역사를 지니고 있다. 최근에는 자성체의 새로운 정보 저장 장치로 떠오르고 있다.홀데인의 또 다른 비중 있는 업적은 앞서 말한 정수 양자 홀 효과와 관련된다. 본래 양자 홀 효과는 아주 섬세하게 가공한 반도체 계면(서로 다른 물질이 만나는 경계)에 수직 방향으로 매우 강한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덴마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우리나라는 58위에 올랐습니다.이번 행복 순위는 국내총생산(GDP), 사회보장 장치, 수명, 자유로운 선택의 가능성, 관용, 부정부패에 대한 인식 등 총 여섯 가지의 주요 가치를 바탕으로 매겨졌습니다. 또 각국에서 행복이 어떻게 분배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평등과 그로 인한 영향을 측정하는 ... ...
- [과학뉴스] 마비 환자, 로봇 팔로 새 감각 얻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장애를 갖고 있었다. 연구팀은 그의 뇌에서 손 동작과 감각을 인식하는 부분에 소형 전자장치를 심었다.코플랜드는 자기 의지대로 로봇 팔을 움직였고 로봇 손가락이 사물에 닿을 때마다 촉감을 느꼈다. 눈을 가리고 로봇팔의 어느 손가락이 사물에 닿았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한 결과, 정확도가 84%나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