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들은 왜 암호화폐를 샀을까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최광희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디지털보안산업본부장 역시 “양자컴퓨터에 대응하기
위
한 체계적인 준비를 이미 시작한 상태”라고 말했다. 국내외 전문가들은 현재의 암호를 대체할 유력한 대안으로 양자내성암호를 꼽는다. ‘NP-하드’와 같은 어려운 수학 문제에 기반해 양자컴퓨터 공격에도 ... ...
더 작게 더 빽빽하게│ ‘초고집적 반도체’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아래에 있는 반도체가 열로 손상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렇다고 낮은 열로 만들면
위
에 있는 반도체의 제 성능이 안 나온다. 이에 최 교수는 “아래층으로 열이 전달되지 않는 레이저를 이용한 M3D 기술을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이처럼 TSV와 M3D 모두 풀어야 할 문제가 있는 가운데, 6월 7일 아시아 ... ...
[긱블X과학동아] 프X글스 리프터│나중의 편함을
위
해 지금의 귀찮음을 감수한다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아니라고 말하며 직접 시연에 들어갑니다. 일단 과자가 가득 담긴 통을 빈 과자 통
위
로 뒤집어 모든 과자를 쏟아냅니다. 그렇게 비워낸 과자 통 속에 원형 부품을 넣습니다. 그리곤 다시 과자가 든 통을 뒤집어 원형 부품이 담긴 과자 통에 과자가 차곡차곡 쌓이도록 쏟아 넣습니다. 그다음 기어를 ... ...
[과동 키즈] 쿠키처럼 달콤한 과학 이야기를 당신에게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마지막에 항상 하는 말, ‘과학을 쿠키처럼’의 의미를 묻는다. 우리가 학창시절 성적을
위
해 공부했던 과학은 때로는 아주 치열하고, 또 때로는 감동적인 과학자들의 생생한 역사를 담고 있다. 이 이야기를 달콤한 쿠키처럼 즐겁게 전하는 것이 내 소망이다. 앞으로도 과학쿠키를 사랑해주시는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청소 대신해 줌! 로봇 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좌우로 움직이고,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위
아래로 움직여요. 앞쪽에 놓인 장애물을 잡기
위
해 로봇 팔의 방향과 집게의 각도를 맞춰 움직일 수 있지요. 친구들과 시합을 통해 누가 더 빨리 장애물을 잡는지 게임으로도 즐겨 보세요! ... ...
[만렙!디지털 리터러시] 검색왕이 되는 치트키 알려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사용하세요. 미국 구글에서 만든 Kiddle이라는 검색엔진은 어린이의 디지털 안전을
위
해 검색 결과 중 유해한 단어나 이미지가 있으면 검색 결과에서 자동으로 빼주는 ‘안전 검색’ 기능을 적용했어요. 우리나라 역시 ‘주니어 네이버’를 운영 중이죠. 안전한 검색엔진을 활용해 다양한 정보를 만나 ... ...
야생을 잊은 노란 부리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더 하면 야생과 똑같은 부리를 만들 순 있었다. 하지만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것이 이런 인
위
적인 작업을 계속하는 것보다 우선한다고 판단했다. 야생에서 딱딱한 먹이를 깨 먹으면 부리는 자연스레 제 모양을 찾을 것이다. 코핑 2주 뒤 비행 능력을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무사히 자연으로 돌려보냈다. ... ...
[DGIST@융복합 파트너] 로봇공학전공, 초음파 영상에 '접묘법'을 들이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참여하는 국제공동연구팀은 현재 미국에서 AI가 분석한 영상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
한 임상시험도 진행하고 있다.유 교수는 “수많은 데이터를 수집해 초음파 영상 속 숨겨진 이야기를 듣는 방법을 찾아내겠다”고 말했다 ... ...
[기획] 폐기물의 마지막 종착지, 매립지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덮는다. 작은 폐기물 입자들이 공기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악취를 차단하기
위
해서다. 관계자는 “그날 매립을 종료할 때마다 일일 복토를 시행하기 때문에, 밤이 되면 매립지 주변에서 폐기물 악취가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이어 매일 흙으로 덮은 매립지가 일정 수 이상 늘어나면 다시 한 번 ... ...
사람 발길 닿지 않는 곳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2016년 벤터 교수가 발표한 인간발자국 지도를 기반으로 했다. 이 지도를 1만km2 면적 단
위
로 분할한 뒤 인간의 진출이 명확한 지역(4점 이상)을 제외하고 영향이 적다고 판단된 지역(0~3점)만 추렸다. 그 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등 여러 생물보존 연구팀들이 발표한 생물 멸종 현황 자료들을 종합해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