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발
신비
미스터리
d라이브러리
"
신기
"(으)로 총 1,833건 검색되었습니다.
학교에 가다! 2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이용해 난답니다. 날개를 안쪽으로 더 많이 휠수록 부머랭이 더 빨리 돌아온다는 게
신기
해요~!부머랭을 수직으로 세워서 던져야 해!양력! 친구들은 어떤 생각을?오늘 수업 즐거웠나요? 이제 오늘 배운 양력에 대해 모둠별로 자유롭게 정리한 다음, 친구들에게 발표하는 시간을 가져 봐요! 특히 ... ...
지구가 뿔났다? 아이슬란드 화산 대폭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화산보다 먼저 폭발했다고 했지? 그 두 화산 폭발이 서로 관련 있었어!
신기
하지 않니? 이번이 끝이 아니야!"‘에이야팔랴외퀼’ 화산에서 ‘핌보로우할스’ 화산보다 조금 더 떨어진 동쪽에는 ‘카틀라’라는 큰 화산이 있어요. 화산 깊숙한 아래에 마그마가 고여 있는 곳을 ‘마그마챔버’라고 ... ...
Part 4. 세 번째 한글 자음 'ㅇ'은 숫자 0과 비슷해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수학적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든 문자 같아. 숫자 0과 자음 ㅇ이 닮은 점이 있다는 것도
신기
하고! 앞으로 한글 공부를 더 열심히 해야겠어. 뜨리마까시~! (고마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을 닮은 한글 첫 번째 대칭과 회전으로 만든 한글 두 번째 조합으로 만든 한글 글자는 몇 개일까? ... ...
특명! 호주의 보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거 있지? 난 캥거루의 신비한 모습에 보물에 대해선 깜빡 잊고 말았어.“꼬리가 정말
신기
하다~. 캥거루야! 네 꼬리는 왜 이렇게 생겼니?”“길고 근육이 많은 나의 꼬리는 내가 깡충깡충 뛸 때 균형을 잡아 준단다. 물론 걷거나 서 있을 때도 몸을 지탱하는 데 꼬리를 이용해.”캥거루와 한참 ... ...
꿈꾸미와 함께 떠나는 과학관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떨어지지 않고 서 있는 꾀꼬리를 만드는 친구도 있었어(❷). 종이 꽃이 피어나는 모습이
신기
하지?거름종이에 있는 섬유소의 틈은 아주 작은 관처럼 생겨서 물을 잘 빨아들여. 이때 잉크에 포함된 여러 색소가 물에 녹아 이동하는데, 색소마다 이동하는 속도가 달라. 그 결과 한가지 색으로 보이던 ... ...
Part 7. 필즈상 수상자와의 만남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위해 부랴부랴 달려갔지. 그런데 정말로 잔디밭에 빌라니 교수님께서 계셨어. 어찌나
신기
하고 가슴 설레던지. 사실 시상식장에서 뵈었지만 그때는 사람도 많았고 멀리서 봐서 그런지 이런 느낌은 아니었어. 또 이렇게 가까이에서 이야기를 나누게 될지는 상상도 못했거든.교수님은 프랑스 수학계의 ... ...
도로 해부하기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수 있게 한다.도로 잘라 보기갑자기 내린 비로 골목길 여기저기에 작은 웅덩이가 생겼다.
신기
하게도 큰 도로로 나가니 물웅덩이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평평하게만 보이는 도로에 무슨 비밀이라도 숨겨진 걸까?도로에 빗물이 고이면 차가 미끄러지기 쉽다. 그래서 도로를 만들 때 중앙선 부분을 ... ...
변화를 분석하는 도구, 미적분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함수로 되돌아 온다.비슷한 시기에 서로 다른 두 나라에서 미적분을 발견했다는 점은
신기
한 일이다. 그래서 오랜 기간 동안 미적분 발견의 주인공을 두고 영국과 독일이 대립했고, 학자들 사이에서도 많은 논란이 있었다.미적분을 먼저 발견하고 역학에 이용한 사람은 뉴턴이지만 불행히도 뉴턴은 ... ...
수학으로 물든 제주도! 2010 제주수학축제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플라스틱 막대기가 모여 다각형이 되고, 다각형이 모여 커다란 입체도형이 되니,
신기
하고 놀라울 수밖에.제주수학축제 제주수학축제는 언제 시작한 걸까? 제주수학축제를 준비하신 선생님의 이야기를 들어 보았어. 올해로 10년째 수학축제를 준비하고 계시다던 김익 선생님은 “제주 수학 축제는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다. 다시 끝없이 펼쳐진 호주 내륙 아웃백의 평원을 달렸다. 지평선 끝에 걸린 나무들이
신기
루와 어울려 아른거렸다. 구름과의 한판 승부는 200km를 달린 지점에서 원정대의 승리로 끝났다. 하늘은 하얀 솜이불을 걷어내고 온통 파란색으로 물들었다. 어제와 비슷한 노상 관측지를 물색했지만 마땅한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