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스템"(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강화된 온실효과가 기후변화의 주범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약 70%를 흡수하고 나머지는 반사한다. 20%는 대기에 50%는 지표에 흡수된다. 지구기후시스템은 에너지 평형을 이루기 위해 흡수한 에너지를 우주로 방출하려고 한다. 그러나 지구 복사 에너지는 태양 복사와 달리 잘 투과되지 않는다. 가까운 대기층의 수증기에 흡수되고 다시 지표로 방출된다. 만약 ... ...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알아야 주변에 숨은 포켓몬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GPS(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가 활약한다.GPS의 목표는 세 개의 인공위성으로 스마트폰의 공간 좌표 (x,y,z)를 찾는 것이다. 인공위성이 사방으로 신호를 보내면 그중 일부가 스마트폰의 수신기에 들어간다. 신호가 이동한 시간에 ... ...
- [Issue] 미세먼지 의문을 털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미세먼지를 피하고자 한다면 예보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미세먼지 예보는 실시간 공개시스템 ‘에어코리아’ 홈페이지(airkorea.or.kr)와 모바일 앱 ‘우리동내 대기질’을 통해 볼 수 있다. 서울시 거주자는 서울특별시 대기환경정보 사이트(cleanair.seoul.go.kr)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예보는 미세먼지 ...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우리가 살고 있는 온대지역도 연안의 지형이 바뀌고 있다. 이는 갯벌의 지형과 생태계 시스템이 달라지는 결과를 낳는다.빙하의 흔적에서 기후변화 역사 읽다필자가 이끄는 연구팀은 이번 조사에서 해저 지형과 지층을 탐사하면서 빙하가 후퇴하면서 남긴 흔적을 추적했다. 약 2만1000년 전 마지막 ... ...
- [Future] ‘마음의 창’을 열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높이는 것도 시간문제다. 아거스II를 만든 세컨드사이트 사는 240개의 전극이 있는 시스템 출시를 준비하고 있고, 독일의 레티나임플란트 사는 1500개의 전극이 달린 시스템(1500화소)의 임상실험을 진행 중이다.아직 생체공학자들이 넘어야 할 난관도 많다. 가장 큰 문제는, 전류가 빛처럼 직진하지 ... ...
- [소프트웨어] SW교육에 공유를 심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함께 쓴다. 학생들은 과제를 공동의 온라인 학습 공간에 올린다. 학급 운영을 도와주는 시스템 ‘엔트리 LMS’로 만든 공동 학습의 장이다. 담당 교사들은 ‘JANDI’라는 애플리케이션(앱)을 활용해 온라인 소통 플랫폼을 마련했다. 오프라인에서도 스터디를 꾸려 2주에 한 번씩 꾸준히 만난다.최 ... ...
- [과학뉴스] 인공지능이 ‘승정원일기’ 번역할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서비스 촉진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고전번역원의 ‘인공지능 기반 고전 문헌 자동 번역 시스템 구축 사업’을 선정했다.이번에 개발하는 인공지능은 ‘신경망 기계번역(NMT)’으로 최근 구글과 네이버가 도입한 기술이다. 단어나 구문이 아닌 문장을 통째로 번역해 자연스러운 번역이 가능하다. ... ...
- [Issue] 반려앵무새, 사이테스 신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2016년에 새로운 사이테스 시스템을 위한 전략을 수립했으며, 2018년쯤에는 새로운 신고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분양하는 사람이 사이테스에 대해 몰라서 신고하지 않으면 분양받은 사람 역시 양수 신고를 하기 어렵다는 점도 문제다. 분양한 사람이 불법을 저지르고 있다는 것을 ...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주장이다. 이같은 주장을 펼치는 최용상 이화여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지구시스템모델을 개발할 때는 대기, 지면, 식생 등 각 분야의 모델을 부분적으로 개발한 뒤 합치는데, 이때 요소 간 상호작용이 의도치 않게 바뀌어 기후민감도가 바뀌는 일이 종종 생긴다”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린첸 ... ...
- [과학뉴스] 스마트폰 패턴잠금, 슬쩍만 봐도 해킹?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중 95%을 해킹했다는 연구 결과를 2월 27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네트워크및분산시스템보안심포지엄 2017’에서 발표했다.연구팀이 만든 기술은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다른 사람이 패턴 잠금을 해제하는 모습만 촬영하면 된다. 예컨대 지하철이나 카페 맞은 편에 앉은 사람이 스마트폰을 만지고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