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선"(으)로 총 3,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커피·만년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2년 09호
- 5mm 속도로 펜을 움직일 때 수식에 대입하면 선의 두께가 0.82mm가 나온다. 실제 만년필로 선을 그렸을 때 측정한 두께는 0.7mm로 이론값과 꽤 가깝다.한편 펜촉을 종이에 대고 가만히 있을 경우 종이에 번지는 반점의 크기를 예측한 수식도 유도했는데 앞의 조건과 같을 경우 펜촉을 2초간 대고 있을 경우 ... ...
- “오로라 뜨는 밤엔 태양풍을 조심하세요”과학동아 l2012년 09호
- 토의하고 이번 주의 우주날씨를 예측하는 회의를 갖는다. 태양, 태양풍, 우주방사선, 지구전리층, 오로라 등 우주환경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저마다 분석한 의견들을 내놓는다. 예를 들어 2012년 7월 18일자의 예보일지는 내가 직접 작성한 것이다. 이 날은 전날인 7월 17일 ... ...
- 상어를 지켜줘!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상어이고, 플랑크톤을 주로 먹으며 아가미에 플랑크톤을 거르는 장치가 있다. 입 위에 흰 선이 있는데, 몸이 검기 때문에 흰무늬가 매우 두드러져 보인다.메가마우스상어만 가진 흰무늬의 역할은 무엇일까. 일본 홋카이도대의 나카야 카즈히로(仲谷一宏) 교수는 다음과 같은 견해를 제시했다.첫째, ... ...
- 컴퓨터가 부리는 독심술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콘텐츠를 바꿔주는 ‘스마트’한 인지재활 장치도 개발할 수 있다. 이미 일본 등의 기술 선진국에서는 사용자의 마음을 반영하는 가전기기를 개발하기 위해 뇌공학자들에게 큰 투자를 하고 있다.인간은 표정이나 목소리를 통해 상대방의 감정을 느끼고 나의 감정을 표현한다. 언젠가 인간의 감정을 ... ...
- 2012 토슨 브릿지학회 수학아트전 예술로 변한 수학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예술가들이 수학의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기 위해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이용해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도자기와 실, 비즈로 하는 공예부터 오리가미까지 예술로 변한 수학의 아름다움을 만끽해 보자 ... ...
- 있다? 없다? 거북선 실종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이순신 장군. 썰렁홈즈에게 명령을 내린다. 깜짝 놀란 썰렁홈즈는 그 날부터 거북선을 찾느라 바닷속을 헤매고 있다는데…. 으앙~! 이순신 장군님 미워~ ... ...
- 말랑말랑 젤리 방탄복 나온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강도는 강철보다도 단단한 탄소나노튜브 실을 이미 개발했다. 미국, 중국 등 군사기술 선진국은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기술이 있다. 한국표준연구원의 남승훈 책임연구원팀은 두께 1μm(마이크로미터, 1μm=100만 분의 1m) 이하인 탄소나노튜브 실을 개발했는데, 강도가 강철의 100배 정도 높다. ... ...
- 사방으로 직선을 뻗어라과학동아 l2012년 08호
- Q 보기와 같이 숫자가 적힌 표가 있습니다. 다음 규칙을 따라서 아래 표 속에 선을 채워 보세요. 1) 숫자가 적힌 각 칸의 네 방향으로 선을 그을 ... 지나가는 칸의 개수를 모두 더한 값은 선이 시작되는 칸에 적힌 수와 같아야한다. 3) 빈 칸이 없어야하며 선은 서로 겹치거나 가로지를 수 없다. ... ...
- 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로버환경모니터링스테이션(REMS)이 요동치기 시작했다. 이 장치는 매일 대기압, 습도, 자외선지수, 풍속, 방향, 지온, 기온 등 내 주위 모든 환경을 측정해 주는 고마운 녀석이다. 그런데 지금 왜 갑자기 요동을 치는 걸까. 순간 멀리서 붉은색 점이 보였다. 그 점은 점점 더 가까워지면서 커졌다. 화성 ... ...
- 극한광으로 보는 나노세계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있다.“나노의 세계를 가장 먼저 자유자재로 볼 수 있는 국가가 곧 과학기술을 선도하게 될 것이다.”노 센터장은 CELA의 의의를 이렇게 강조했다. 극한광을 통해 나노세계를 자유자재로 보려는 CELA의 노력이 국내 여러 나노기술 분야와 융합해 커다란 도약을 하길 기대해 본다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