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비즈니스
비지니스
실업
기업
업무
상업
d라이브러리
"
사업
"(으)로 총 2,55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온실가스 감축과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세계 공동
사업
인 청정개발체제(CDM)가 점차 확장되고 있다. 각 나라는 자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대기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다른 곳에 저장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북반구의 열대 대양상에서 북동 무역풍의 영향을 ... ...
무소음 항공기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30~40cm 위치의 매연이 태양광선을 차단하는 정도와 이 표를 비교하는 것이다공장 ·
사업
장 등의 매연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매연이나,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등의 유해물질이 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조치 매연이나 배기가스로 인한 영향은 가옥이나 세탁물의 오염, 식물의 ... ...
파킨슨도 깜짝 놀랄 초파리 연구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수준이 아니라 개체 수준의 연구라 신뢰도가 높았다.정 교수는 2001년부터 창의적연구진흥
사업
의 지원을 받아 파킨슨병뿐만 아니라 당뇨나 비만 같은 대사성 질환과 암의 유전적 요인을 밝혀왔다. 그 결과 지난 2년간 네이처 같은 저명한 학술지에 논문 7편을 발표할 정도의 성과를 거뒀다.“수만 ... ...
반도체에 심은 양자컴퓨터 씨앗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필요한 큐빗간 상호작용효과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안 교수는 1998년 창의적연구진흥
사업
으로 양자컴퓨터 연구를 시작하며 핵자기공명 방식의 한계를 넘을 수 있는 큐빗의 새로운 재료를 찾았다. 확장할 수 있는 큐빗의 수에 제한이 없고 우리나라에서 쉽게 상용화 할 수 있는 재료. 그가 찾은 ... ...
특집Ⅱ 노벨상 수상자가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얼굴을 내밀면 기부금이 쏟아지는 귄터 블로벨 박사(1999년 생리의학상)처럼 자선
사업
을 하기 쉽다.끝으로 성격이 나빠진다. 미국 생화학자 캐리 멀리스 박사(1993년 화학상)는 다른 학자가 자기 학설을 비판하자 “노벨상을 받고 나서 반박하라”는 독설을 내뱉었다고 한다.특히 멀리스 박사는 ... ...
맨눈 관측의 달인, 망원경 압도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Johannes Hevelius)다.헤벨리우스는 폴란드의 단치히에서 양조장을 경영하던 부유한
사업
가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레이덴대에서 법률학을 배웠고, 시행정관과 시의원을 지냈다. 1639년 장엄한 일식을 목격한 계기로 천문학에 푹 빠졌고 사재를 털어 개인천문대를 세웠다.당시의 천체망원경은 경통 ... ...
우주정거장서 국산 귀마개 끼고 잔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개발, 우주공간에서 염력 및 텔레파시 실험 등이 눈길을 끌었다.최기혁 항우연 우주인
사업
단장은 “평가회의에서 선정한 몇 가지 과학실험을 갖고 10월 말 러시아를 방문해 협의할 예정”이라며 “ISS에서 사용할 소음방지용 귀마개도 유망한 후보 가운데 하나”라고 말했다.한국 우주인이 1주일간 ... ...
유럽 환경지킴이 3色 스토리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9월 19일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 9박 10일 간 유럽 3개국의 환경생태도시를 방문하는 탐방단의 일정은 먼저 독일에서 시작됐다. 최근 생 ... 지역주민과 합의하는데 성공했다. 이탈리아 정부는 나폴리와 로마 간 고속전철 건설
사업
의 타당성 검토 단계부터 지역주민의 의견을 적극 수렴했다 ... ...
아는 만큼 받는다! 이공계 장학금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외국인 유학생 등을 대상으로 장학금 지원뿐만 아니라 교육여건 개선을 위한 다양한
사업
을 2007년부터 본격적으로 수행할 예정 이어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과학발전과 경제 성장은 흐름을 같이 하는데, 우수한 인재가 의대나 법대에만 몰리는 현실이 안타깝다. 이런 상황에서 자신의 꿈과 비전을 ... ...
4. 총성 없는 우주전쟁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탄자를 위성에 장착해 실험하려던 애초 계획을 포기하고 결국 센서만 장착하는 반쪽짜리
사업
으로 줄여야 했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의 진주만 공격과 같은 계기가 생기기 전에는 미국이 먼저 우주를 무장시키는데 앞장서서는 안된다는 주장이 지지를 얻고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