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문화과학"(으)로 총 1,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열역학의 시인 일리아 프리고진 타계과학동아 l2003년 07호
- 1977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그리고 16개 국어로 번역된 베스트셀러인 ‘혼돈으로부터의 질서’의 저자로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일리아 프리고진(Ilya Prigogine). 그가 2003년 5월 28일 86세를 일기로 벨기에 브뤼셀에서 운명했다. 그의 삶과 업적을 조명해보자.어린 시절 꿈은 피아니스트프리고진은 1917 ... ...
- 특수효과로 누리는 재난영화 전성시대과학동아 l2003년 07호
- 비디오가 보급되지 않았던 시절, ‘주말의 명화’는 영화라는 문화를 접할 수 있었던 유일한 창구였다. 그 시절 겨울방학이 되면 어김없이 상영하던 ‘타워 링’이라는 영화가 있었다. 거대한 빌딩을 집어삼킨 시뻘건 불길과 생존을 위한 처절한 사투를 바라보면서 ‘불 구경만큼 재미있는 구경이 ... ...
- 머리카락 한올로 범인 나이 알아낸다과학동아 l2003년 07호
- 영국에 명탐정 셜록 홈스가 있다면, 프랑스에는 괴도신사 아르센 뤼팽이 있다. 깔끔한 실크 모자와 외눈안경, 단단한 지팡이와 근사한 망토 차림의 멋쟁이 신사. 졸부들의 값비싼 보석이나 미술품을 훔치고, 살인은 절대 하지 않으며, 도둑질을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린 현대판 로빈후드. 머리는 누 ... ...
- 러시아 우주비행선은 국제우주정거장의 생명줄과학동아 l2003년 06호
-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있는 6차 원정대의 승무원 3명은 우주왕복선 아틀란티스호를 타고 지구로 돌아와야 했었다. 하지만 컬럼비아호 참사로 우주왕복선의 비행이 취소되자 지금은 러시아의 소유즈 우주선(TMA-1)을 통해 지구로 귀환해야 한다. 이보다 작은 2인용 소유즈 TMA-2는 연료를 절약하기 위해 ... ...
- 2 말하고 생각하는 능력이 다른 이유과학동아 l2003년 06호
- 21세기 인간게놈프로젝트를 통해 인간의 유전체는 초파리와 선충 등의 하등생물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는 점이 규명됐다. 이 사실은 사회적으로 큰 충격을 던졌다. 인간은 무엇인가? 왜 인간은 다른 생물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지적, 감성적 특성을 보이며 도구와 언어를 사용하는가? 다른 생물과의 ... ...
- 과학과 인문학 사이 다리 놓은 과학기술학자 송상용과학동아 l2003년 06호
- “한쪽 극에는 문학적 지식인이 그리고 다른 한쪽 극에는 과학자, 특히 그 대표로 물리학자가 있다. 이 둘 사이는 몰이해, 때로는 적의와 혐오로 틈이 크게 갈라지고 있다. 더욱이 도무지 서로를 이해하려 들지 않는다.”1959년 물리학자이자 소설가인 스노우는 과학과 인문학 사이의 의사소통 단절 ... ...
- 과학 전도사들의 눈높이 강연 2백 47회 달성과학동아 l2003년 06호
- 조금 전까지 컵 안에서 찰랑거리던 물이 감쪽같이 사라졌다. 물이 어디로 사라졌을까 어리둥절해 하는 학생들은 전석천 교사의 능청스러운 미소에 무엇인가를 알아챘다는 듯 웃음을 터뜨리기 시작했다. ‘아~ 어떤 과학적 반응이 컵 속에서 일어났구나.’ 학생들은 1시간 남짓 진행된 사이언스 쇼 ... ...
- 우주비행사 되는데 자연과학자 유리과학동아 l2003년 05호
- 과학의 달 4월 일본 최초의 우주비행사 모리 마모루(毛利衛, 55) 박사가 한국과학문화재단의 초청으로 우리나라를 찾아왔다. 현재 일본 과학미래관 관장이기도 한 모리 박사는 한국에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일본에서는 국가적인 영웅이자 대중적인 스타로 주목받아온 인물이다. 최근에는 NHK가 그 ... ...
- 병적도박과 알코올 중독 같은 생리현상과학동아 l2003년 05호
- 제주도의 호텔 카지노. 최근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던 TV 드라마 ‘올인’의 배경이다. 올인(all-in)은 도박을 할 때 자신이 가진 모든 돈을 한번에 배팅하는 것을 뜻한다. 드라마에서 주인공 김인하가 거액의 돈이 오가는 카지노에서 천부적인 재능을 발휘하는 장면을 보면 한번쯤 “올인!”을 외 ... ...
- 5mm 톡토기에서 진화를 추적하는 생물학자 이병훈과학동아 l2003년 05호
- “몸길이가 고작 5mm밖에 안되는 톡토기를 연구하면서 점점 확장돼온 생물학 지식을 통해 제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를 어렴풋하게 알게 됐습니다. 만약 생물학을 공부하지 않았다면 인간이 과연 무엇인지에 대한 어떤 깨달음도 없이 무지몽매한 인생을 살아왔을지도 모릅니다.”전북대 생물과학부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