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웅녀, 사기꾼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먼저 세포핵 속에 있던 DNA가 자신의 정보를 담은 mRNA를 복제해요. mRNA는 DNA와 비슷한 모양이지만 한 가닥으로 이뤄져 있지요. 이 과정을 ‘전사’라고 불러요. 이어서 mRNA가 세포핵 밖으로 나오면 세포 소기관인 리보솜이 mRNA의 유전 정보에 따라 단백질을 만들어요. 이를 ‘번역’이라 한답니다. #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누가 요즘 손으로 그림을 그려? 드로잉머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그림을 그릴 때 ‘귀찮다’는 생각을 해 본 사람, 손! 특히 조금이라도 흐트러져서는 안 되는 직선을 그리거나 경계선을 넘어가서는 안 되는 포스터 작품을 만들 때 나 ... 바늘이 ‘리사주 곡선’이라 불리는 선을 그려요. 무게추의 속도 등에 따라 곡선의 모양을 달리 할 수 있답니다 ... ...
- [질문하면 답해 ZOOM] 껌 씹을 때 찬물을 마시면 왜 딱딱해지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혀밑샘이라 하지요. 귀밑샘은 양쪽 귀밑에 있어요. 침샘 중 가장 크고, 타원형의 잎 모양처럼 생겼어요. 여기서 만들어진 침은 양쪽 뺨 쪽에서 분비돼요. 턱밑샘과 혀밑샘은 각각 턱 밑과 혀 밑에서 침을 분비해 혀 밑으로 내보내지요. 턱밑샘은 호두알 정도의 크기고, 혀밑샘은 세 개의 침샘 중 가장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뇌를 속이는 착시 현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프랭크 포스가 만든 ‘이중 중심축 착시(아래 사진)’예요. 작품 영상에는 물고기 모양의 선이 왼쪽으로 회전해요. 선 사이에 세로 방향의 중심축을 칠하면 왼쪽으로 도는 게 더 명확하게 보이죠. 그런데 어떻게 보면 물고기가 오른쪽으로 회전하기도 하고, 가로 방향의 중심축을 칠하면 회전 방향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우주의 별을 따다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그 결과, 목성의 4~13배 질량의 외계 행성이 별 주변을 돌면서 원반의 물질을 나선 팔 모양으로 모았다는 결과가 나왔어요. 천문학자들이 촬영한 원시 행성계 원반의 가장 밝은 부분에서 행성이 만들어지는 중이란 거죠. 안토니 보칼레티 박사는 “AB Aurigae는 행성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 ...
- [과동 키즈] 과학과 소설 두 세계를 가로지르는 일 '김초엽 SF작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런 반응들을 보면, 나는 분명 오랜 시간 두 세계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며 살아왔던 모양이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그건 혼란스러웠지만 꽤 즐거운 경험이었다. 그리고 그 경험들은 두 세계가 사실은 분리돼 있지 않다는 것을 알아가는 긴 과정이기도 했다. 주기율표가 안내한 화학의 세계열다섯 ... ...
- 움짤, 과학자도 사랑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태아 쥐의 뉴런*이 성장하는 동안 ‘액틴’의 모습을 담았지요. ‘액틴’은 세포가 모양을 유지하거나 근육이 수축하고 이완하는 등의 세포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에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이론천체물리학자 제레미 슈니트만 연구원도 지난해 블랙홀 ‘M87*’이 공간을 얼마나 ... ...
-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측면에서 타원 모양으로 촬영된 은하의 사진에서 지름이 짧은 부분을 늘려서 원 모양에 가깝게 만들고 위에서 촬영한 것처럼 수정합니다. 지구에서 바라본 우주의 은하들은 이렇게 위치에 따라 촬영 각도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원에 가까운 모습으로 변환해야 나선을 확인하고 그리기 편합니다.이 ... ...
- 손난로 유니버스, 최강자를 가려보자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측정할 때 썼던 온도계에도 녹이 슬어 있었습니다. 소금과 활성탄이 정말 ‘열일’한 모양입니다. 과산화수소 분해열 이용하는 채소 손난로 흔들이 손난로에 대항하는 신흥 강자는 바로 채소 손난로입니다. 흔들이 손난로보다 준비물이 더 간단합니다. 채소 100g과 과탄산소듐(흔히 과탄산소다라고 ... ...
- [긱블 X 과학동아] 올해 최고의 메이커는 누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있습니다. 3D 프린팅 출력물에 스톤 스프레이를 도색하면 보기에만 얼룩덜룩 돌 모양이 아니라 만졌을 때 질감도 돌과 비슷해집니다. 천장에는 LED, 밑바닥에는 LED 빛을 반사할 거울을 달았습니다. 어두운 곳에 LED 조명을 켜면 위아래서 나오는 화려한 조명이 본존불을 감쌉니다. 동찬 님은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