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고
d라이브러리
"
다시 생각함
"(으)로 총 6,12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오빠에게서 방을 사수하라!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정해야 해. 게임이론가의 대안은 거부권이야. 분배 방법이 맘에 안 들면 거부하고
다시
협상하도록 말야. 오른쪽을 참고해서 가장 맘에 드는 방식으로 협상을 해봐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KIOST)이 올해 6월 서류와 면접을 통해 선발했다. 한국에서 괌으로, 괌에서
다시
웨노섬으로 16시간이나 걸린 고된 여정에도 바다를 앞에 둔 연구단의 눈빛은 반짝 거렸다 ... 있는 박사님들의 모습을 보니 나 또한 그런 사람이 되고 싶다”며 “먼 훗날 꼭 이곳을
다시
방문할 수 있도록 훌륭한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때 섭섭하게도(?) 전력 공급이 정상화되면서 원고 쓰기를 멈췄지만, 2년 뒤 안식년을 맞아
다시
집필을 시작했다. 몇 년간 서랍 속에서 잠자던 원고 뭉치는 1976년에서야 비로소 세상에 나왔다. 바로 리처드 도킨스의 명저 ‘이기적 유전자’였다. 당시는 열등한 유전자를 박멸한다는 나치 우생학의 ... ...
자동완성으로 보는 너에게 수학이란?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80%로 늘어났다고 생각할 수 있어요. 이때 검색 엔진은 학 뒤에 무엇이 나올지 확률을
다시
계산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가중치를 두고 평균을 구하는 방법이 있어요. 말뭉치에 30%, 검색어에 70%의 가중치를 뒀다고 합시다. 그러면 말뭉치 데이터에서 학 뒤에 규가 나올 확률 10%에 30%의 가중치를, ... ...
Part 1. 여성화장실 줄만 너무 길어요!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1보다 커질 때가 있어. 사람이 몰리는 시간대지. 이때 길어진 줄은 사람이 뜸해지면
다시
짧아질 거야. 교수팀은 변기 수가 대기 시간에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봤어. 그러려면 시간당 화장실을 찾는 사람 수와 그들이 화장실에 머무는 시간을 예측해야 해. 교수팀은 시간당 들어오는 사람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다가온 위기!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도망친 사람들이 알렸는지, 아까보다 훨씬 더 큰 경보가 울렸다.“흠. 이제 경비병력을
다시
이쪽으로 돌리겠군. 빨리 움직이자고!” 맨 뒤에 서 있던 하림의 등을 누군가 총구로 쿡 찔렀다. 자기도 모르게 걸음이 빨라졌다. 마고의 본체가 있는 방까지는 오래 걸리지 않았다.도착하자 그 앞에 ... ...
[Issue] 100% CG 침팬지 ‘시저’의 귀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계산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IN TERVIEW “CG 하려고 ‘수학의 정석’
다시
공부” Q. 랭글랜즈 감독은 대학에서 컴퓨터시각화를 공부했지만 임 감독의 경우 미술과 ... 할 수밖에 없었다. ‘수학의 정석’이라는 책을 고등학교 때 가장 싫어했는데, 그 책을
다시
구해서 수학을 ... ...
Part 2. 5人 5色 인터뷰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사업을 진행하면 오래 지속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도시재생 사업을 진행한 뒤에 또
다시
쇠퇴한 경우도 많다. 이 경우 도시재생 전보다 빈 공간이 더 많아지기도 한다. 김 ... 될지 궁금합니다. 흙에서 놀고 동물과 함께하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싶어요. 물론 또
다시
저의 성장도 도모해야겠죠 ... ...
[Origin]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의 탄생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유일한 아쉬움은 원고가 너무 길다는 점이었다. 저자가 분량을 크게 축약한 수정본을
다시
보내기만 한다면 그대로 저널에 실어도 되겠다고 ‘네이처’ 편집장에게 심사의견서를 보냈다. 1969년 2월 ‘네이처’가 분량을 줄이는 조건으로 게재를 승인했다는 희소식이 프라이스에게 전해졌다. 그 후 ... ...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이 문제를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파고들었다. 그 결과 페렐만은 특이점을 잘라냈다가
다시
봉합하는 수술을 하면 된다는 기발한 아이디어로 문제를 해결했다. 위상수학에서는 모양을 바꾸지 않고 잘랐다가
다시
붙여도 상관이 없다. 결국 페렐만은 리치 흐름으로 기하화 추측의 8가지 문제를 모두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