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높이"(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글로벌호크, 한반도에 뜰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만들거나, 공중에 중계용 무인기를 띄워서 운용 반경을 넓히기도 한다.무인기의 속도를 높이고 체공 시간 및 탑재 중량을 늘리는 것. 현재 무인기 세계의 화두다. 2030년 중반이 되면 과연 어떤 무인기가 하늘을 날고 있을까. 최근 미국 국방부가 공개한 보고서 ‘무인시스템통합로드맵 2011-2036’에 ... ...
- 빙하가 숨겨 놓은 얼음 세계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들어가는 데 성공했다.동굴 입구는 수직으로 난 틈새다. 탐험대는 동굴에 들어가기 위해 높이가 20m나 되는 얼음 절벽을 내려가기도 했다. 얼음 동굴은 일반적인 동굴과 많이 다르다. 온도가 매우 낮고, 표면이 미끄러워 금속 스파이크가 달린 신발을 신어야 한다. 빙하가 녹으면서 얼음 사이에 드러나 ... ...
-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비행할 수 있다. 헬리오스는 약 30km 상공까지 올라가 비로켓추진 비행기로 가장 높이 비행한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2003년 6월 헬리오스는 하와이에서 6개월 이상 장기 체공하는 비행 시험 도중 8km 상공에서 추락해 운명을 다했다.바톤을 넘겨받은 고고도 태양열 비행체는 영국 방위산업체 ... ...
- 2013, 수학으로 머피의 법칙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식탁 위에서 떨어뜨린 토스트는 바닥에 닿을 때까지 몇 바퀴를 회전할까? 중력과 식탁의 높이를 고려해 실제로 계산해 보면, 반 바퀴 돌고 바닥에 닿는다는 결론이 나온다.(고도의 물리학 공식을 적용해 계산하므로 생략한다.)즉, 잼을 바른 토스트는 약 반 바퀴를 회전하고 떨어져, 잼 바른 쪽이 ... ...
- PART 1. 누가 뉴턴을 죽였는가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만약 한 층 높이가 3m라면 사람은 7층의 21m나 10층의 30m의 높이에서는 살 수 있지만, 25m의 높이에서는 살 수 없다.전자가 특정한 에너지 값만 갖는다는 것은 고전물리학으로 이해할 수 없었던 여러 가지 물리현상을 설명했다.먼저 건물에 가장 아래층이 존재하는 것처럼 전자의 에너지 준위에도 가장 ... ...
- 아늑한 겨울을 품은 외암마을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지역에 얼마나 많은 돌이 있었는지 보여준다. 돌각담의 높이는 일정하지 않지만 사람 눈높이보다 약간 아래다. 완벽하게 개방되지는 않으면서도 집끼리 배타적이지 않게 쌓아올렸다.이 회장은 주민들의 돌담 쌓는 기술은 최고라고 말한다. “지금도 담이 무너지면 마을 주민들이 직접 담을 ... ...
- ① 조규진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다리가 쫙 펼쳐지죠. 이 원리를 로봇에 적용했어요. 그랬더니 로봇 크기의 30배 높이까지 뛰었죠. 이렇게 만드는 데 3년 정도 걸렸어요.융합이 많이 필요한 분야는 재밌긴 하지만 힘들죠. 그냥 섞는다고 융합이 되는 건 아니에요. 자기 나름의 강점이 있는 상태에서 다른 것을 적용해야 시너지 효과가 ... ...
- 2013 눈길을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높아진다.북반구에 몰아닥친 거친 눈보라2011년 겨울, 일본 서부지역에 어른 키가 넘는 높이로 폭설이 쏟아졌다. 어선 190척이 침몰하고 12만 가구가 정전이 되는 큰 피해가 발생했다. 미국과 유럽, 중국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도 폭설로 전기가 끊기고 도로가 마비돼 천문학적인 규모의 재산피해가 ... ...
- 충전하고 날아라! 플라이어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윙윙~! 누가 더 멀리, 오래 날릴 수 있는지 대결해 보자~! 4한걸음 더 생각하기누가 더 높이, 정확히 날릴까?!우와, 이제 집 안에서 날릴 수 있게 됐어요~! 어디 한번 날려 볼까?어? 이상해요. 왜 섭섭박사님 비행기만 오래오래 나는 거죠?특별한 비결을 가르쳐 주지. 비행기를 날릴 때 15도 위로 ...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에라스무스 MC대 의료센터 교수 연구팀이 ‘Prdm16’이라는 유전자가 코의 넓이와 높이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또 이 유전자의 특정 부위에 있는 염기 하나가 A(아데닌)인지, G(구아닌)인지에 따라 코의 형태는 크게 달라졌다.연구팀은 코 모양 외에도 광대뼈와 미간의 길이 같이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