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d라이브러리
"
높이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에서 비처럼 눈이 온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얼음씨)에 물방울이 달라붙어 강수 현상을 만든다는 이론이다.구름의 온도는 구름 내부
높이
에 따라 다르지만 하층부를 제외한 중층부는 0℃이하로, 상층부는 영하 40~50℃까지도 떨어진다. 상층부는 물 분자가 기체나 액체로 있을 수 없고, 얼음 알갱이인 ‘빙정’으로 존재한다. 상층부보다 비교적 ... ...
'레버 휠체어' 어떤 지형에서도 달린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쌤. 제가 얼마 전에 휠체어를 타고 가다가 몇 cm
높이
의 작은 턱에 걸려서 오도 가도 못하게 된 사람을 봤어요. 얼른 가서 도왔죠. 큰 힘이 들지도 않았어요. 가슴이 뻥 뚫린 기분이었어요.휠체어 체험도 신청했어요. 휠체어에 앉아서 주위를 둘러보니 울퉁불퉁한 비포장도로며 작은 턱들이 예전과는 ... ...
가장 특별한 스페셜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전 세계 지적발달장애인 선수들이 참가하는 세계적인 스포츠 행사예요. 여기서는 더
높이
, 더 빨리 하는 것보다 ‘끝까지’ 하는 것이 진정한 승리랍니다.함 ‘ 께 하는 도전(Together We Can)’을 슬로건으로 삼은 특별한 올림픽, 스페셜올림픽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볼래요? 지적장애인을 위한 ... ...
2013 눈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높아진다.북반구에 몰아닥친 거친 눈보라2011년 겨울, 일본 서부지역에 어른 키가 넘는
높이
로 폭설이 쏟아졌다. 어선 190척이 침몰하고 12만 가구가 정전이 되는 큰 피해가 발생했다. 미국과 유럽, 중국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도 폭설로 전기가 끊기고 도로가 마비돼 천문학적인 규모의 재산피해가 ... ...
쓰나미 피해 키우는 건물 있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미국 남캘리포니아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50분의 1로 규모를 줄인 도시 모형을 만든 뒤 20cm
높이
의 쓰나미를 발생시키는 모의실험을 했다. 이는 실제로는 자연에서 200년에 한 번 꼴로 발생하는 쓰나미 규모다. 그런 뒤 건물 형태와 배치에 따른 유속 변화를 측정해 그 결과를 지난해 12월 3일 ... ...
북한은 왜 500km 고도에 위성을 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정말 ICBM을 개발하려 한다면 앞으로 계속 ‘인공위성’의 무게를 늘리고 정확도를
높이
는 실험을 할 것이다. 그것이 진짜 인공위성이건 위성을 가장한 것이건 그때마다 극심한 긴장감이 한반도를 억누를 것이다. 한반도에 평화가 오는 것은 이토록 힘든 것일까 ... ...
① 조규진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다리가 쫙 펼쳐지죠. 이 원리를 로봇에 적용했어요. 그랬더니 로봇 크기의 30배
높이
까지 뛰었죠. 이렇게 만드는 데 3년 정도 걸렸어요.융합이 많이 필요한 분야는 재밌긴 하지만 힘들죠. 그냥 섞는다고 융합이 되는 건 아니에요. 자기 나름의 강점이 있는 상태에서 다른 것을 적용해야 시너지 효과가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에라스무스 MC대 의료센터 교수 연구팀이 ‘Prdm16’이라는 유전자가 코의 넓이와
높이
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또 이 유전자의 특정 부위에 있는 염기 하나가 A(아데닌)인지, G(구아닌)인지에 따라 코의 형태는 크게 달라졌다.연구팀은 코 모양 외에도 광대뼈와 미간의 길이 같이 ... ...
PART 1. 누가 뉴턴을 죽였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만약 한 층
높이
가 3m라면 사람은 7층의 21m나 10층의 30m의
높이
에서는 살 수 있지만, 25m의
높이
에서는 살 수 없다.전자가 특정한 에너지 값만 갖는다는 것은 고전물리학으로 이해할 수 없었던 여러 가지 물리현상을 설명했다.먼저 건물에 가장 아래층이 존재하는 것처럼 전자의 에너지 준위에도 가장 ... ...
아늑한 겨울을 품은 외암마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지역에 얼마나 많은 돌이 있었는지 보여준다. 돌각담의
높이
는 일정하지 않지만 사람 눈
높이
보다 약간 아래다. 완벽하게 개방되지는 않으면서도 집끼리 배타적이지 않게 쌓아올렸다.이 회장은 주민들의 돌담 쌓는 기술은 최고라고 말한다. “지금도 담이 무너지면 마을 주민들이 직접 담을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