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d라이브러리
"
규모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산불이 할퀴어도 씨앗은 남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자연의 흐름에 맡긴다. 2000년 4월 7일 강원도 고성에서 일어났던 우리나라 역사상 최대
규모
산불에는 200명이 넘는 전문가의 조사 끝에 인공복구 52%, 자연복원 48%을 적용했다.화마가 지나가도 숲은 살아있다산불 피해를 복구하는 동안에도 자연복원에 대한 이의 제기가 많았다. 새까맣게 타버린 ... ...
세라믹 없으면 스마트폰도 없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나갔다”고 밝혔다. 실제로 지금 코닝에서 쓰고 있는 세라믹 전해질 연구 시설도 그대로
규모
만 키우면 산업에 적용할 수 있다.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첨단세라믹 소재 기술을 확보하려면 우리나라도 원천기술 개발과 연구인력 확보에 투자할 필요가 있다. 첨단 스마트폰은 잘 만들면서 정작 ... ...
➍ 서갑양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여러 가지 스케일(
규모
)이라는 의미입니다. 자연계는 단일 스케일이 아니에요. 나노단위부터 마이크로까지 다양합니다. 나무를 보면 굵은 줄기가 있고 작은 가지, 잎까지 각 스케일이 다 의미가 있죠. 곤충의 날개도 그렇고요. 이런 것을 연구하려면 멀티 스케일로 해야 하죠. 도마뱀은 벽을 자유롭게 ... ...
PART 4. 구글 in Scienc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거대한 흙무더기를 발견한 것. 고고학자들은 기존 피라미드의 3배 가까이 되는
규모
일 것으로 추측했다.고고학계는 지금까지 한 번도 세상에 드러나지 않았던 고대 피라미드가 구글 어스에 의해 발견됐다며 발굴 작업에 대대적으로 착수했다. 구글 어스의 활약은 지구에만 그치지 않는다. 지난 201 ... ...
생각의 힘으로 우주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지원을 받은 넬슨 박사는 개개인 대신 대중의 무의식이 가진 힘을 증명하기 위한 대
규모
실험으로 글로벌 의식 프로젝트(GCP)를 실행했다. 1998년부터 연구팀은 미국과 유럽 등 세계 70여 곳에 REG를 설치하고 매 초 단위로 얻는 데이터를 프린스턴대 서버에 모았다.11년 뒤인 2009년, 연구팀은 대선, Y2K,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어떻게 변하는지를 측정하는 게 중요한데, 로켓은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사운딩 로켓은
규모
가 작아서 발사 장소도 상대적으로 자유로워 가능한 한 과학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발사할 수 있다. 비행기에서도 발사가 가능하다.신속하게 발사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태양 표면에서 폭발이 일어나면 ... ...
PART 3. 중력이 수상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둘을 비교해 아인슈타인이 우주 어디서나 똑같다고 가정했던 중력상수가 정말 우주
규모
에서도 변하지 않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계획은 2018년부터 실제 관측을 시작할 수 있도록 미국에 제안서가 들어간 상태다. 2013년 중반경에는 최종 결정이 날 전망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이 관측계획이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폭발한 소행성 이후 가장 큰 것”이라며 “이 같은 폭발은 100년에 한 번 일어날 정도의
규모
였다”고 평가했다. 문 연구원은 “사실 1년에 한 번꼴로 10m급 소행성이 지구 대기 상층부와 충돌하고 있다”고 말했다. 별 탈 없이 지나가는 이유는 대부분 대기에서 불에 타거나 사막 아니면 바다에 ... ...
한국형 발사체와 은하 3호는 이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하지만 발사장이나 시험시설 등을 고려해 볼 때 이런 대
규모
고추력 로켓이 우리에게 적합한지는 의문이다. 오히려 한국형 발사체 이후에는 비슷한 크기에 성능을 2~3배로 높이는 연구가 바람직하다. 선진국은 추진제로 액체수소와 액체산소를 사용하는 극저온 엔진을 ... ...
➌ 박형동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조력발전을 합니다. 대표적인 시화호 조력발전소는 가동 중인 조력발전소 가운데 가장
규모
가 큽니다.조력발전에는 에너지 저장이 중요합니다. 배터리 문제죠. 리튬배터리를 많이 쓰는데, 바다 속에 많은 리튬을 캐내서 농축시킬 때 에너지와 약품이 쓰입니다. 풍력터빈 하나를 만들 때도 터빈의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