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숲을 위해 나무를 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서식하는 숲, 보존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 보호수는 베지 않는다. 벨 나무목재 공급이
가능
한 숲 안에서 이제는 다 자라서 이산화탄소 흡수율이 떨어지면서도 목재로 활용할 수 있는 4~5영급의 나무를 벤다. 심을 나무산림청은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이 뛰어나고,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 ...
[특집] 새로운 세상 메타버스가 온다!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상품을 판매하는 등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익 구조’, 마지막으로 대체 불
가능
한 토큰인 ‘NFT의 존재 여부’를 꼽았어요. 이런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실제와 가상이 융합된 메타버스라 할 수 있는 거죠. 메타버스의 4가지 분류 메타버스는 크게 4가지로 나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 ...
[IBS 수학동아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유사정칙 곡선’이라는 새로운 기하학적 도구를 발견해 20년간 풀지 못한 ‘조임 불
가능
성 정리’ 문제를 풀었어요. 이런 유사정칙 곡선을 기술하는 방정식이 제가 박사과정 때 연구한 비선형 슈뢰딩거 방정식을 연구하는 방법론과 유사해서 해석학적인 시각을 갖춘 사교 기하학자로 성장할 수 ... ...
[인터뷰] 전기차 성능의 핵심 배터리의 미래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잘 되는 편이다. 아직은 특정 물질이 주도권을 가져가는 단계는 아니다. 모든 소재가
가능
성을 염두에 두고 예선전을 치르고 있다고 생각한다.지금 우리는 전고체 배터리의 시대로 넘어가는 중간 단계에 있다. LG에너지솔루션에서 리튬황배터리 드론을 개발하는 등 일부 개발 사례가 있는 상태다. ... ...
기술로 모빌리티 효율 극대화하다│위현종 쏘카 전략본부장(CSO)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지역에 작은 자율주행차를 배차시킨다면 이용요금을 많이 올리지 않으면서도 운영이
가능
하다. 이용자와 운영자가 모두 이익을 얻는 최적화된 서비스가 분명 있을 것이다. 물론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이 해낼 수 없는 부분도 있을 것이다. 이 부분에 정부와 지자체가 집중한다면 이전에는 해결하지 ... ...
기술과 안전, 맹목적 기대 경계해야│심지원 동국대 철학과 교수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안전은 곧 자율주행차로 실현할 수 있다는 환상에 기존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줄
가능
성이 있다. Q. 편리함만을 좇다 보면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을 것 같다.편리함이 좋은 가치라는 것은 부정하지 않는다. 전치형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는 저서 ‘사람의 자리’에서 ‘가벼운 기술에는 ... ...
친환경 물류부터 라스트 마일 배송까지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반대로 현재 외곽지역에 주로 위치하는 거대 물류센터가 소형화되며 도심 속으로 스며들
가능
성이 높다. 물류 이동의 효율이 높아지며 화물 교통량이 감소할 것이다. 이는 도시의 확장과 축소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 ...
[인터뷰] “도시 다양성·복잡성 살릴 모빌리티 실험 필요해”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수준에서 에너지를 소비하면서 시민이 행복하게 해야 한다. 모빌리티도 비슷하다. 감당
가능
한 수준에서 운영하면서도 시민을 행복하게 하는 데 기술이 적용돼야 하고, 서비스도 개발돼야 한다 ... ...
[시사 과학] 달리지 못하게 된 자동차의 사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가해지는 충격이 커져서 사망확률도 80%를 넘었지요. 반면에 시속 30㎞일 때는 크게 다칠
가능
성이 15.4%로 감소했어요.한국과학기술원 조천식녹색교통대학원 장기태 교수는 “거의 모든 선진국에서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해 스쿨존을 포함해 여러 교통안전 대책을 세우고 있다”고 설명했어요. ... ...
[만렙!디지털 리터러시] 이 뉴스, 믿어? 말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SNS로 간단히 질문을 남길 수도 있죠. 인터뷰 대상의 수가 많아질수록 사실을 찾을
가능
성이 높아집니다. 해법 ② #찾아보기 의심스러운 정보의 출처가 어딘지, 정보를 올린 사람이 누구인지 찾아보세요. 정보를 올린 사람이 누구인지 확실하지 않거나 활동이 뚜렷하지 않고, 이전에 올린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