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연대
시기
당시
당대
세상
부분
d라이브러리
"
시대
"(으)로 총 4,56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을 바꾼 재료? 미래를 바꿀 재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6
이런~. 우물 안에 재료들 같으니! 이 지구는 너무 좁아! 미래는 우주를 개척하는
시대
라구! 기호 4번, 우주의 비밀을 밝힐 우주 재료예요. 극저온과 고온, 또 초음속으로 비행하거나 대기권을 돌파하는 경우 만나는 가혹한 환경에도 우주선을 보호하면서 제 기능을 다 할 수 있는 끈기 있는 ... ...
작전명령 ④ 더 빠르고, 더 정확하게!
수학동아
l
201006
강국으로 컴퓨터와 관련된 산업이 매우 활발해. 폰 노이만이 없었다면 지금처럼 디지털
시대
가 빨리 오지 않았을지도 몰라. 폰 노이만은 1944년에 제1세대 디지털 컴퓨터 에니악(ENIAC) 개발에 참여한 사람이야. 노이만은 컴퓨터 하드웨어뿐 아니라 컴퓨터로 복잡한 수식을 계산할 수 있도록 ... ...
생명정보학, 게놈 데이터 더미에서 보석 캔다
과학동아
l
201006
최근 ‘개인게놈’이라는 말이 여기저기서 나오기 시작하면서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많다. 2000년 6월 인간게놈 초안이 완성됐다고 발표됐을 때 앞으로는 포스트게놈(post genome) 시 ... 보시려면?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생명정보학, 게놈 데이터 더미에서 보석 캔다개인게놈
시대
미리 ... ...
걸어 다니는 발전기
과학동아
l
201006
기술이 개발됐다. 이 기술이 실용화되면 걸으면서 휴대전자기기에 전기를 충전하는
시대
가 현실화될 전망이다.미국 루이지애나대 전기공학과 빌 카자카리 교수팀은 최근 신발 바닥에 압력을 전기로 바꾸는 압전장치를 넣어 전기를 충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초미세전기기계시스템 ... ...
첨단 바이오 자원으로 거듭나는 대나무
과학동아
l
201006
숯이 더 좋은 이유대나무는 사시사철 푸르다. 하지만 요즘 트렌드는 블랙이다. ‘소녀
시대
’ 같은 걸 그룹들이 이미지를 변신하기 위해 블랙으로 치장하는 것처럼 대나무도 특유의 푸름을 벗어 던지고 매력적인 ‘블랙’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바로 1000℃에 가까운 높은 열에서 구운 대나무 숯이다. ... ...
한국 과학에 ‘일러스트 르네상스’ 올까
과학동아
l
201006
새가 살아 있는 나무인 줄 알고 앉으려다가 부딪쳐 떨어졌다는 일화가 전해진다.조선
시대
여류화가인 신사임당은 과일이나 새를 주로 그렸다. 그의 유명한 작품에는 포도송이가 주렁주렁 달린 ‘묵포도도’와 검은 비단에 색실로 자연을 수놓은 여덟 폭짜리 병풍인 ‘초충도’가 있다. ... ...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
과학동아
l
201006
수 없다는 걸 알면서도 왜 이런 반응을 보이는 걸까. 토도로브 교수는 우리에게 원시
시대
의 버릇이 남아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낯선 사람을 만났을 때 순식간에 그 사람이 나에게 이로울지 해가 될지를 판단해야 했던 습관이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온다는 뜻이다.외모만으로 평가한 결과와 실제 ... ...
구글·애플·마이크로소프트의 모바일 OS 삼국지
과학동아
l
201006
운영체제(OS) 시장이 춘추전국
시대
를 맞았다. 통신사업자가 일방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공급하던 과거와 달리 사용자가 직접 개발에 참여하는 환경으로 탈바꿈했다. 이에 사용자들의 스마트폰 선택 기준도 크게 변했다. 어떤 모바일 OS가 탑재됐는지가 중요한 선택 기준으로 떠올랐다. 모바일 OS가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05
위의 기가 약할 때 누런 수탉에 고추장을 주재료로 넣어 잘 삶으라는 내용이다.결국 조선
시대
임금이 고추로 만든 요리는 맵고 자극적이기 때문에 먹지 않았다는 이야기는 전혀 근거가 없다. 권 박사는 ‘지봉유설’에 나온 고추가 외래품종인 남만초이며, 원래 풍습대로 술에 타 먹었다가 한국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05
끝내지 말고 충분히 다뤄야 합니다.”과학을 단순 지식이나 호기심 충족거리가 아니라
시대
를 바라보는 세계관의 하나, 문화적 가치로 복원하는 것은 당면 과제이다.한국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세계 10위권에 올랐지만, 정작 우리 사회에서 과학적인 사고 풍토를 찾기란 쉽지 않다. 한국 사회가 압축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