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석재
바위
암석
암벽
암반
돌멩이
스톤
d라이브러리
"
돌
"(으)로 총 1,376건 검색되었습니다.
무등천문대세워「별사랑 꿈」펼치자
과학동아
l
199201
일곱개의
돌
(둥그런 원반형)이 놓여있는데 이 모습이 북두칠성과 매우 흡사하다. 특히
돌
의 크기가 각별들의 광도와 거의 일치한다는 것. 이것이 사실이라면 우리의 선조들이 지금까지 알려진 것보다 훨씬 이전에 별의 광도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증명되는 셈이다.박종철회장을 중심으로 ... ...
악어
과학동아
l
199112
수면에 내놓고 떠 있다. 이같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뱃속에 2,3kg이나 되는
돌
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몸의 중심 바로 밑에 있어 폐의 부력과의 균형을 잡아주고 있는 것이다. 트위스트를 추면서 먹이사냥악어가 트위스트를 춘다면 다소 기이하게 생각하겠지만 그들의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12
좀더 실용적인 제품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다부진 포부를 밝히는 김씨는 조립식 벽
돌
에 이어 최근에는 '조립식 장롱'을 발명, 또다시 화제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모르면 손해보는 발명가에 대한 지원이처럼 사람들이 비웃는 작은 발명으로 첨단기술제품을 발명한 사람보다 성공한 경우는 수없이 ... ...
팽이 오래
돌
리기놀이의 챔피언이 되려면
과학동아
l
199112
않으면 그 방향이 제멋대로(공기의 저항을 받는 양만큼) 변하게 마련이다. 그러나 고리를
돌
리면서 던지면 순간적으로 고리의 양면에 걸린 힘, 즉 공기의 저항에 따른 힘이 달라져도 회전력을 통해 그 힘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방향으로 고리를 보낼 수 있다. 다른 답들도 생각하기 따라 ... ...
특집2 기억력 갖거나 수소 먹고 사는 특수기능 지닌 마법의 금속들
과학동아
l
199112
켤 때 힘을 주어 스위치를
돌
리면 '딱'하고 소리가 나면서 불이 켜진다. 스위치를
돌
리는 힘이 압전 세라믹스에 가해지면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 전기가 방전돼 불이 켜지는 것이다. 이처럼 기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거꾸로도 됨) 재료가 바로 압전세라믹스다.이 재료는 측정기에도 ... ...
(1) 끊임없이 변신하는 정보사회의 불청객
과학동아
l
199111
자료는 꼭 백업을 받아두어야 나중에 후회가 없다.■ 스톤(stoned) 바이러스컴퓨터가 가끔
돌
이 되게(stoned) 만드는 바이러스다. 기생처는 디스켓의 부트섹터이며 뉴질랜드에서 처음 발견돼 뉴질랜드 바이러스라고도 한다. 특징은 여덟번째 부팅때마다 "Your computer is now stoned. Legalise Mari juana"라는 ...
2.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른 우발적인 핵전쟁
과학동아
l
199111
비상경보로 인해 초비상사태로까지 이른 바 있다. 당시 관련당국은 긴급 비상체제에
돌
입했으며 원인이 규명된 후에는 담당자의 책임을 물어 다음날 바로 해직조치했다.소련에서도 이와 비슷한 경우가 있었다. 소련의 한 퇴역장군에 따르면 어느날 탐지위성이 주목할만한 신호를 감지했는데 이를 ... ...
(1) 2차원 평면에 살아움직이는 실물이
과학동아
l
199111
조약
돌
을 정점으로 밖으로 퍼져 나간다. 특정한 거리를 두고 같은 힘을 가진 조약
돌
을 호수위에 계속 던지면 같은 원리로 원을 그리며 수면파는 퍼져 나간다. 양지점에서 시작되는 수면파가 일정한 장소에서 만나게 되면 두 수면파 사이에 새로운 수면파가 형성된다. 빛도 파동과 기본원리는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11
비처럼 하늘에서 쏟아져 내렸다고 한다. 1분에 1천개 이상이 관측되기도 했다. 이 혜성이
돌
아오는 1999년엔 또 다른 장관이 펼쳐질 것이다. 그러나 좀 걱정이 되는 것은 이 혜성이 1886년부터 1966년까지는 한번도 나타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이번의 방문 여부도 장담할 수는 없을 것 같다 ... ...
인간의 오감(五感)을 능가하는 첨단 센서 기술
과학동아
l
199111
피부와 손발 등은 아주 예민한 촉각센서다. 보드라운 솜으로부터 딱딱하고 울퉁불퉁한
돌
덩이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손가락센서는 그 강도나 수축률 등을 감지하여 물체를 만지거나 집어올릴 때에 잡은 힘의 조절을 행하는 느낌소자로 작동한다. 이에 반해 인공촉각센서는 반도체나 유전체(誘電體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