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맛의 만능 마술사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느낄 수 있지만, 그 감미로운 맛은 잔을 든 사람만의 몫이므로.후각과 미각에 대한 연구
결과
를 싣는 ‘케미컬 센스즈’ 최근호에는 짠맛과 단맛, 그리고 감칠맛을 동시에 강화시켜주는 새로운 풍미강화제가 발견됐다는 소식이 실렸다. 풍미강화제란 자신은 해당하는 맛을 갖고 있지 않지만 음식에 ... ...
쇠똥구리는 달빛으로 방향 잡는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갑자기 진행 방향을 90도로 꺾었다. 쇠똥구리가 달을 보지 못하게 만든 실험에서도 같은
결과
가 나왔다. 달빛은 대기에 있는 미세한 입자들에 부딪칠 때 산란되면서 편광 패턴을 만들어낸다. 연구팀은 쇠똥구리가 방향을 잡는데 달의 위치가 아니라 달빛의 편광을 이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했고,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미국과 옛소련은 우주개발 분야에서 경쟁하기 위해 기초과학에 엄청난 투자를 했다. 그
결과
스테인리스 진공용기가 만들어졌고 표면을 특수처리한 진공장비가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그후 여러 과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원리가 접목된 진공펌프들이 등장했다.1975년 우주모의실험실을 위해 제작된 ... ...
2 첨단기술 활약할 무대장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영상을 보내는 기술이 개발돼 있다. 미래에는 이 로봇내시경이 영상뿐만 아니라 진단
결과
까지 인체 밖으로 보내게 될 것이다. 또 인체 안에 머물면서 각 조직이나 기관의 상태를 모니터한다. 질병이 생긴 조직을 발견하면 이를 치료하기 위해 필요한 약물의 양도 조절할 수 있다.이와 같은 미래 ... ...
1 체온 2℃만 내려도 1백50살까지 산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냉동해 이를 다른 쥐에 이식하는 실험을 성공해 ‘네이처’에 게재한 뒤 또다시 이같은
결과
를 이뤄냈다.김 교수팀은 자궁경부암으로 항암치료와 자궁적출술을 받은 장모씨를 대상으로 냉동난소조직 이식술을 시행한
결과
, 정상적으로 난소 호르몬이 분비되는 쾌거를 이뤄냈다.냉동난소조직 ... ...
원자핵마저 얼어붙는 극저온 실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쏜다. 그러면 원자들이 두 레이저 빛과의 계속되는 충돌로 인해 속도가 줄어든다. 그
결과
원자들의 온도가 내려가는 것이다. 이를 x, y, z축의 3차원 공간에서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세쌍의 레이저를 이용하면 공간적으로 완벽히 한 지점에 원자를 멈추게 할 수 있다.이 같은 레이저 냉각법을 ... ...
형제자매 해치는 동물들의 기막힌 사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공격을 시도한다. 1978년 미국 가제트박사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발표한 관찰
결과
에 따르면 형 독수리는 3일 동안 동생을 1천5백69번이나 쪼아댔다고 한다. 이렇게 쪼임을 당한 동생은 결국 죽고 만다. 더욱 어처구니없는 것은 이 행동이 어미 독수리 앞에서 일어난다는 사실이다. 물론 어미는 ... ...
우주에서 벌어지는 기상천외한 실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우주왕복선 계획은 중단되겠지만 무중력 상태에서의 실험은 예측되는 많은 유용한
결과
때문이라도 계속될 것이다.무중력 상태라는 환경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상에서는 도저히 만들어낼 수 없는 특수한 환경이다. 그러므로 이 곳에서는 직접 실험을 해보지 않으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 도저히 ... ...
다차원 공간의 외로운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끌개로 이동하는 것이다. 그러니 이런 작동의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것은 가능해도
결과
를 예측하기는 힘들다.우리 사회의 현재 모습은 수없이 많은 안정적 가능성 중에 하나가 실현돼 있을 뿐이다.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은 이런 측면에서 큰 한계를 갖는다. 마치 유전알고리즘이 어떤 끌개에서 ... ...
세계 암연구에서 우뚝 선 토종과학자 김규원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그리고 세포주변의 산소농도가 상호작용해 뇌혈관의 생성과 분화가 일어난다는 연구
결과
가 네이처 메디슨 7월호의 최신 과학뉴스란에 자세히 소개됐다. 그의 생각이 국제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다.이런 맥락에서 김 교수는 대학원생들에 대한 지원이 여전히 국내보다 해외 유학생들에게 ... ...
이전
1164
1165
1166
1167
1168
1169
1170
1171
1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