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스페셜
"
기능
"(으)로 총 1,674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매약 아닌데…외국서 퇴출수순 약품 151만건 치매환자에 처방
연합뉴스
l
2019.10.14
퇴출 수순을 밟고 있는 성분이다. 치매치료제로 공인된 적이 없어 외국에서는 뇌 대사
기능
개선제로 나이가 들어 기억력 감퇴, 무기력, 어눌함을 느끼는 환자에게 쓰도록 허가됐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콜린알포세레이트가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돼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4명 중 1명에게 처방되고 ... ...
[인류와 질병] 콜레스테롤과 감염, 그리고 치매
2019.10.12
침착 정도와 질병의 심각성과 별 관련이 없다는 것이다. 게다가 베타 아밀로이드가 항균
기능
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혹시 아밀로이드 반은 알츠하이머 치매의 원인이 아니라 결과인 것은 아닐까 의심되는 대목이다. 감염과 유전 치매의 원인은 유전일까. APOE 4 유전자를 가진 경우 수십 배까지 ... ...
사외이사 KAIST 교수들은 거수기? "안건 찬성률 99.8%"
동아사이언스
l
2019.10.10
의원은 “이사회 안건에 대해 99.8%의 찬성률을 보인다는 것은 경영진에 대한 견제와 감시
기능
이 전혀 작동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사외이사들이 그저 들러리 서는 역할만 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KAIST 교수를 사외이사로 영입한 기업 경영진들은 KAIST ... ...
명상단체·창조과학 정면 비판 김우재 교수 모욕·명예훼손 일부 '죄 없음'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않는 '명상의 뇌과학'이나 뇌 활용 교육 프로그램, ‘고등감각인지’라는 새로운 인지
기능
도 연구한다. 이승헌 한국뇌과학연구원장은 뇌호흡 단체 단월드의 설립자이자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 총장을 맡고 있다. 과학계 내부의 비판이 거세지자 강연자로 참석하려던 김경진 전 한국뇌연구원장,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산소 감지하는 세포 '분자스위치' 암 치료 새 장 열다
2019.10.08
케일린 교수는 이 과정에서 VHL이 HIF에 '유비퀴틴 체인'을 달아 단백질 분해를 유도하는
기능
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유비퀴틴은 76개의 아미노산 사슬로 이뤄진 단백질인데, 다른 단백질에 붙어 분해를 촉진한다. 그 결과 정상 세포에서 VHL을 만난 HIF는 수 분안에 바로 분해되고 만다. ... ...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3인은 누구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존스홉킨스대 교수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3명의 의과학자들은 유기체에서 산소가 어떤
기능
을 하는지에 대한 인류의 이해를 높이며 빈혈과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들을 치료할 수 있는 길을 연 것으로 평가된다. 윌리엄 케일린 미국 하버드 의대 교수는 1957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났다. 1979년 ... ...
노벨의학상 과학자들, 호흡 복잡성 규명하고 빈혈·암 치료 길 열어(종합)
2019.10.07
2019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에 선정된 3명의 의과학자들은 유기체에서 산소가 어떤
기능
을 하는지에 대한 인류의 이해를 높이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 유기체 내에서 산소의 양에 따라 세포가 어떤 변화를 겪는지는 수백년 동안 규명되지 않았다.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들은 유기체 ... ...
Wnt·자가면역질환·광유전학·HGP 등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누가 받나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MIT) 생물학과 교수는 "지금까지 의학계에 공헌하고 있는 크기를 봤을 때 1960년대 흉선의
기능
과 면역세포인 T세포와 B세포를 발견한 쟈크 밀러 호주 월터-엘리자 홀 의학연구소 면역학과 명예교수가 노벨상을 받지 못했다는 것은 믿기 힘든 이야기"라고 말했다. 밀러 명예교수는 해마다 노벨상 수상자 ... ...
신용현 의원 "라돈 침대 사태 부른 모나자이트 3.35t 행방불명"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모나자이트’ 3.35t이 아직까지 행방이 묘연한 것으로 드러났다. 모나자이트는
기능
성 침구에서 음이온을 내기 위해 사용됐지만 1급 발암 물질인 라돈을 기체로 내뿜는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소비자에게 공포를 불러온 방사성 물질이다. 관련부처인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년 넘게 ... ...
사고로 몸 마비된 28세 청년, 뇌파로 작동하는 로봇옷 입고 다시 걸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6
사람의 뇌와 두피 사이에는 두 개의 측정장치를 삽입한다. 이 장치들은 감각과 운동
기능
을 조절하는 뇌의 피질 영역 부근에 위치해 관련 뇌 신호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티보는 실제 외골격로봇을 입고 실험에 나서기 전 비디오 게임을 통해 2년간 걷는 것과 물건을 집는 가상의 연습을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