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즈음
최신
근간
요사이
근래
근대
요즘
뉴스
"
최근
"(으)로 총 15,506건 검색되었습니다.
뉴욕도 한국도 위험하다...예측할 수 없어 피해 큰 '판 내 지진'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큰 지진은 규모 5.4로 추정되는 1884년 지진이다. 무려 140년 전이다. 조 센터장은 “한국은
최근
규모 5 이상의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상태이기 때문에 가까운 미래에 지진이 일어날 수 있는 지역”이라고 했다. 지난해 11월 경주에서 일어난 규모 4.0 지진을 비롯해 지난해 한반도에서 일어난 규모 3 ... ...
獨 막스플랑크 회장 "한국에도 막스플랑크 센터 세울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1948년 설립되어 39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세계를 선도하는 기초과학 연구기관이다.
최근
IBS의 차미영 CI(Chief Investigator)가 막스플랑크 연구소(MPI) 단장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막스플랑크 센터는 MPG가 세계적 해외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연구를 위해 설치·운영하는 기관으로 현재 9개국에서 17개 ... ...
젊어진 ‘미세아교세포’로 치매 치료 가능성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과도하게 축적되고 그로 인해 시냅스가 사라지면서 결국 기억을 잃게 되는 병이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뇌 속 미세아교세포가 노화되면서 플라크를 먹어 치우는 탐식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신경염증 및 뇌인지 기능 장애가 유도된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세아교세포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약탈적 학술지 퇴출시키려면
2024.04.11
거세게 항의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MDPI 최고경영자의 서울 방문도
최근
대한수학회와 연구재단, 그리고 일부 대학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거부감을 잠재우기 위한 목적이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더욱이 MDPI가 발간하는 모든 학술지가 약탈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에 문제가 더욱 ... ...
하이브리드 소듐 전지 개발…"수 초 만에 급속 충전"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Na)은 기존 전지에 널리 쓰이는 리튬(Li) 대비 지구상에 500배 이상 많아 전지의 재료로
최근
주목받았다. 리튬이온 전지에 비해 출력이 낮고 충전 시간이 길다는 점이 소듐이온 배터리의 근본적 한계였다.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전지용 음극과 축전기용 양극을 결합해 큰 저장 용량과 빠른 ... ...
난청 치료 길 열어…베일 싸인 '귓속 단백질' 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 논문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구조&분자 생물학’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왼쪽부터) 조윤제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 신진우 박사, 박준현 통합과정생. 포스텍 제공 ... ...
폐경 전 ‘홍조, 발한’ 등 갱년기 증상 겪으면 우울증 심해져
동아사이언스
l
2024.04.09
교수 연구팀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정신질환저널’에
최근
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강북삼성병원 종합건진센터를 방문한 42세~52세의 폐경 전 갱년기 여성 2800여 명을 대상으로 평균 6.1년의 추적 분석을 실시했다. 안면홍조 및 야간발한 ... ...
전기차 배터리 열 폭주 예방 '스마트 단열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열 등 자연적인 에너지원을 수확해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활용하는 기술이다.
최근
증가하는 전력수요와 전기자동차의 보급으로 리튬 이온 배터리 열이 폭주하고 이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배터리 열이 폭주하면 막대한 양의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열 ... ...
식물 세포 활동에 필요한 통기조직 발달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통해 통기 조직의 발달을 조절함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높은 단백질 함량으로
최근
주목받는 개구리밥의 생활사에 중요한 부양 조절 메커니즘을 확인해 효율적으로 재배하는 기술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
의정 갈등 해소될까…정부 "의대 증원 변경 불가능한 건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소속 교수 336명 중 253명을 대상으로 3월 29일부터 4월 7일까지 시행된 설문조사에 따르면
최근
1개월 기준 의대 교수들의 근무시간은 주 60~72시간이 24.5%, 주 52~60시간이 20.9%, 주 72~80시간이 15.4%다. 24시간 근무 후 다음날 12시간 휴식이 보장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80.2%가 ‘보장되지 않는다’고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