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야깃거리
이야기거리
화제
화젯거리
뉴스
"
말거리
"(으)로 총 1,248건 검색되었습니다.
내년에 ‘자기부상 엘리베이터’ 나온다
2015.02.27
내년이면 수직·수평으로 난 통로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는 ‘슈퍼 엘리베이터’가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독일계 기업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는 건물 내부를 순환하는 ‘멀티 엘리베이터’를 개발한다고 지난해 말 밝혔다. 기존 엘리베이터는 케이블에 매달려 위아래로 이동하는 방식이다. 반 ... ...
어이없는 106중 연쇄추돌 어떻게 일어났나
2015.02.15
1일 오전 인천 영종대교 상부 도로에서 서울 방향으로 가던 차량 105대가 연쇄적으로 추돌해 도로 전체가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이날 사고는 가시거리가 10m 안팎에 불과할 정도로 안개가 짙게 낀 상태에서 최초 사고 뒤 뒤따르던 운전자들이 이를 미처 보지 못하고 연달아 부딪히며 발생했다. 이 사 ... ...
셀카봉 비켜~ ‘셀카 드론’ 나가신다!
2015.02.01
셀카 전문 드론 '닉시'가 출시를 앞두면서 셀카봉의 지위을 위협하고 있다 - Nixie Labs 제공 여행을 떠나면 남는 게 사진이라는 생각에 카메라 셔터를 눌러대기 십상이다. 하지만 풍경 사진은 찍을 때뿐 사람이 나온 사진만 다시 챙겨보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니 촬영자 본인이 나오지 않은 ... ...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은 과학이 그렸다?
2015.01.25
우리학교 제공 ◆별난 관장님의 색다른 과학시간 (김선빈 著, 우리학교 刊) 고흐는 ‘밤’을 어떻게 바라봤을까. 대표작 ‘별이 빛나는 밤’에서는 별빛이 일렁이는 천상의 모습을 표현했다. 한편 ‘밤의 카페테라스’에서는 사람들이 노란 불을 밝힌 카페에 앉아 차를 마시는 지상의 모습을 담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2015.01.25
과학동아(일러스트 김정훈) 제공 스파이더맨은 어떻게 해야 하나. 도시를 구하자니 여자친구가 삐치고, 여자친구와 시간을 보내면 시민이 위험해진다.슈퍼히어로조차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없는 답답한 현실! 양자역학을 연구하는 물리학자들도 비슷한 딜레마에 빠졌다. 바로 불확 ... ...
'머리 큰 아기' 엄마는 괴로워
2015.01.21
과학동아 제공 노래 ‘어머니의 마음’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나실 제 괴로움 다 잊으시고….” 아기를 낳는 일은 여자의 일생에서 가장 크고 긴 고통을 동반합니다. 현대 의학이 발달하기 전까지 아기를 낳는 일은 젊은 여자의 생명에 가장 큰 위협이었죠. 아기를 낳다가 죽는 경우가 허다 ... ...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
2015.01.19
신이 정수를 만들었다. 나머지는 인간의 창조물이다. - 레오폴트 크로네커 며칠 전 한 인터넷서점에서 독자들에게 추천할 책 네 권을 골라 간단한 설명과 함께 보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어떤 책을 고를까 생각하다 아무리 과학에 대한 글을 쓰면서 먹고 살더라도 과학책만 고르면 너무 삭막해보 ... ...
[광화문에서/김상연]아인슈타인의 실수
동아일보
l
2015.01.06
[동아일보] 4년 전 ‘이공계 특성화 대학’으로 불리는 몇 개 대학의 입시 기획기사를 준비한 적이 있다. 후배들이 열심히 써온 기사를 고치다가 의아한 점을 발견했다. 입학 책임자들이 하나같이 “뉴턴이나 아인슈타인 같은 인재라도 뽑지 않겠다”고 말하는 게 아닌가. 넙죽 절이라도 하고 모셔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물리방정식은 실험과의 일치보다 구조의 미가 더 중요하다. - 폴 디랙 주간 학술지 ‘네이처’는 매년 마지막호에 그 해에 ‘화제가 된 10명’을 선정하는데, 지난 2011년 선정된 사람가운데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로즈 레드필드 교수는 좀 특이한 경우였다. 뭔가 획기적인 발견을 해서가 아 ... ...
과학기술위성 3호 우주파편과 1km 차이로 ‘세이프’
2015.01.04
과학기술위성 3호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과학기술위성 3호가 우주파편과의 충돌 위기에서 벗어났다. 미래창조과학부는 4일 우주파편이 1km 이상 떨어져 과학기술위성 3호를 비껴지나갔으며 충돌 위험이 사라졌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위성 3호가 우주파편과의 충돌 가능성이 제기된 건 이번이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