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뉴스
"
공동
"(으)로 총 10,143건 검색되었습니다.
배터리 없이도 빛나는 ‘소프트 미케노발광 복합체’ 원인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5.13
기대된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정순문 에너지환경연구부 연구원과 국민대
공동
연구팀이 미케노발광 복합체의 발생 원인인 마찰전기의 생성 원리를 규명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의 표지 논문으로 지난달 25일 게재됐다. 미케노발광 소자는 압력이나 ... ...
[K태양전지의 위기](상) '세계 최고'였던 차세대 태양전지 경쟁서 中·중동에 밀려
동아사이언스
l
2024.05.13
모습을 나타낸 그래픽.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낸 탠덤 태양전지 국제
공동
연구 사업 과제 공고를 확인한 국내 연구자들은 씁쓸함을 감추지 못했다. 제안요청서(RFP)에 담길 국제 선도그룹과의 '좋은 협력사례'로 사우디아라비아 킹 압둘라 과학기술대학(KAUST)이 언급됐다는 ... ...
치료 표적 없는 비흡연 폐암 치료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12
폐암 동물모델에 대한 사라카티닙의 치료 효과 분석을 위해 국립암센터와 전임상 시험을
공동
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연구를 이끈 이철주 연구원은 “다중오믹스 분석으로 난치암의 새로운 치료 표적을 발굴한 성공적 사례”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암 연구’ 최신호에 온라인 ... ...
동아사이언스-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환경 보호 교육 위한 업무협약 체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양 기관이 보유한 전문 인력과 인프라를
공동
활용할 계획"이라며, "앞으로 해양생물과 해양환경 보호를 위한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하고 교육하는 등 성과를 확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전경. ... ...
[과기원NOW] GIST-서울대, 메모리용 고성능 강유전체 확보 위한 공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윤명한 신소재공학부 교수와 박민혁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이 고성능 강유전체 산화물 확보를 위한 '저온 심자외선(DUV) 기반 결함 제어 및 결정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메커니즘을 활용하면 기존보다 100도 낮은 온도에서 강유전체 산화물을 ... ...
[사이언스게시판] 첨단 팹 연계‧활용 위한 나노종기원-NY Creates MOU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인력교류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MOU 체결은 지난해 한미 정상회담과 한미 과학기술
공동
위원회에서 반도체 분야 기술 교류 및 협력 증진의 필요성이 논의됨에 따라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 과기정통부는 9일 ’이공계 활성화 대책 전담팀(TF)‘ 3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 ...
영화 '혹성탈출' 유인원 실제 능력은…학습하고 상처도 치료하고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걸렸다"며 "오랑우탄의 행동이 의도적이었다"고 설명했다. 3월에는 네덜란드와 영국
공동
연구팀이 침팬지가 인간 고유 특성으로 알려졌던 '누적 문화 진화 능력'을 갖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누적 문화 진화는 집단 내에서 새로운 행동과 기술이 순차적으로 쌓여 문화를 형성하는 ... ...
위암 주요 원인 '헬리코박터균' 빛으로 공격해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나건 가톨릭대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안지용 서울아산병원 교수와
공동
연구를 통해 위 내의 점액층에서 헬리코박터균을 표적해 치료할 수 있는 광감각제 접합체를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광감각제란 자신이 흡수한 레이저 빛으로 주변 산소를 활성산소로 바꾸는 물질로 ... ...
자폐아가 일상의 작은 자극에도 괴로운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08
김성기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단장, 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자폐 모델 생쥐를 이용해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에서 나타나는 감각 과민이 대뇌피질의 특정 부위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시냅스 전달과 네트워크 연결성의 증가가 주요 원인임을 찾았다고 8일 밝혔다. ... ...
배터리·센서 결합 '스마트 섬유', 금속·세라믹으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08
교수, 정용록 한국원자력연구원 선임연구원, 정준호 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과
공동
연구를 통해 '스마트 섬유용 금속/세라믹 나노리본 얀 제조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지난 3월 국제학술지 '스몰'에 게재했다고 8일 밝혔다. 얀(yarn)은 섬유를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두고 꼬아 만든 긴 가닥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