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9"(으)로 총 8,429건 검색되었습니다.
- 창원대, 제조혁신 주역 ‘스마트산단’의 스페셜리스트 꿈꾼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생활기록부 내용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라고 귀띔했다. 조 교수는 2019년 제조업의 자동화, 디지털화를 연구하는 독일 기업 지멘스의 스마트공장을 방문한 기억을 떠올리며 “각 공정 단계가 전 자동화돼 데이터들이 속속 모이는 모습을 보고 스마트공장으로의 전환이 거부할 수 ... ...
- [이공계 잡터뷰] 약국 근무 약사의 하루, 상담부터 공부까지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수 있는 약사의 배합 실수를 없앨 수 있어 최근에는 소형 약국에서도 널리 사용한다.오전 9시가 지나 약국을 열면 인근 병원에서 처방전을 받거나 간단한 감기약, 해열제 등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이 찾아온다. 약사의 가장 중요한 업무는 단지 필요한 약을 판매하는 것이 아닌 ‘복약지도’라고 신 ... ...
- [기획] 미래의 ‘정상 체온’이 위험에 빠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늙어!사람과 달리 외부온도에 따라 체온이 바뀌는 ‘변온동물’의 미래는 어떨까요? 9월 16일, 스페인 오비에도대학교 생물다양성연구소 게르만 오리자올라가 이끈 국제공동연구팀은 기후변화가 어류, 양서류, 파충류 등 변온동물의 노화를 앞당기는 데 영향을 미친다고 발표했어요. 기온이 높을 ... ...
- [기획] 체온이 떨어지고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5.9℃? 35.7℃? 체온계가 고장 났나?!”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요즘 체온을 재는 일이 일상이 됐어. 그런데 막상 체온을 재면 사람의 정상 체온으로 알려진 37℃보다 낮은 경우가 허다하지. 엥? 그런데 체온계는 정상이라고? 그럼 혹시 내가 냉혈인간이라도 된 건가? 진짜 내 몸에 무슨 문제라도 생긴 건 ... ...
- [기획] ‘정상 체온’은 어떻게 결정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상관없이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온동물’이에요. 예를 들어 새는 42℃, 돼지는 39℃, 사람은 약 37℃를 유지하며 살고 있어요. 같은 정온동물이어도 체온이 다른 이유는 뭘까요? 2007년, 영국 남극조사단 앤드류 클라크 연구팀은 “체온은 동물의 체질량 같은 신체의 특성과 생물학적 습성의 ... ...
- [특집] 후비적~, 귀지가 내 스트레스를 알려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채취한 코르티솔의 양이 가장 많았어요. 머리카락의 코르티솔 호르몬 농도는 1ml당 약 9.7pg*이었지만, 왼쪽 귀지는 169.1pg, 오른쪽 귀지는 124.7pg이었어요. 코르티솔 호르몬 수치를 측정하는 데 필요한 시간도 적었어요. 머리카락으로는 31시간 57분이 걸렸지만, 연구팀의 장치를 이용했던 오른쪽 ... ...
- 지구를 위한 작은 실천 따·분·행!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롯데케미칼이 함께하는 따분행 프로젝트가 지난 9월 28일부터 11월 15일까지 약 7주간 진행됐어요. 기자단 친구들은 10월 6일 플라스틱 분리배출에 대한 온라인 강연을 듣고, 7주간 열심히 분리배출을 실천했지요! 환경 보전 활동, 분리 배출부터!“플라스틱, 따로 분리하면 행복해져요!”10월 6일 ... ...
- [과학뉴스] ‘유로파’, 빛을 받지 않아도 빛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1월 9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의 무르티 구디파티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이 모의실험을 통해 유로파가 태양 빛을 받지 않고도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어요. 유로파는 목성의 위성 중 하나로, 표면이 소금기가 있는 얼음으로 덮여 있어요.연구팀은 유로파가 ... ...
- [통합과학교과서] 눈이 부셔, 팅커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시카고의 필드 박물관 등지에 보관된 3개의 오리너구리 표본에 200~400nm(나노미터, nm는 10-9m) 파장의 자외선을 비추어 보았어요. 그랬더니 오리너구리의 몸을 덮고 있는 진한 갈색 털이 500~600nm 파장의 빛인 파란색과 초록색을 띠기 시작한 거예요.파울라 스패스 애니히 교수팀이 동물의 형광을 발견한 ... ...
- [만화뉴스] 축구공? 주사위? 정답은 분자 그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이용해 만드는 과정을 간단하게 줄인 거예요. 분자 주령구의 크기는 5.3nm(나노미터, 10-9m)로, 지금까지 보고된 분자 그릇 중 가장 커요. 기존 분자 그릇은 보통 2nm 이하였지요. 연구에 참여한 김기문 IBS 단장은 “약물을 담아 체내 전달하는 운반체나 광촉매 등 분자 주령구를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을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