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여섯 번째 대멸종] 한 종이 사라지면 생태계가 와르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비교하기도 해요. 단적인 예가 ‘도도새’와 ‘도도나무(Sideroxylon grandiflorum)’예요. 1977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생태학자 스텐리 템플 박사는 모리셔스에서 도도나무를 발견했어요. 13그루만이 남았었고 모두 300살 정도였죠. 이 나무는 자신의 열매를 도도새가 먹고 배설해야만 새로운 싹이 날 수 ... ...
- [만화뉴스] 쌍둥이? 사실은 살짝 달라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지난 1월 7일 아이슬란드의 유전자 분석 기업 ‘디코드 제네틱스’에서 일란성 쌍둥이 387쌍과 가족의 DNA를 분석한 결과, 일란성 쌍둥이의 DNA가 완벽히 같지 않았다고 발표했어요. 일란성 쌍둥이의 약 15%는 최대 100개의 유전적 차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죠. 연구팀은 이런 차이가 세포 내에서 ... ...
- [매스미디어] 듣도보도 못한 놈들의 우주 청소가 시작된다! 승리호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부품이나 고장난 인공위성, 각종 파편 등을 일컫는 정식 명칭이다. 우주 쓰레기는 초속 7~8km의 속도로 지구 궤도를 돌며 인공위성이나 우주선과 충돌할 위험이 있다. 2019년 10월 미국우주감시네트워크(USSA)는 지구 궤도에 3만 4000여 개에 가까운 지름 10cm 이상의 우주 쓰레기가 떠돌고 있다고 밝혔다 ...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자료를 분석해 지구에 반사된 태양빛이 파장대마다 24시간 주기로 변한다는 사실을 2018년 7월 ‘천체물리학 저널’에 발표했습니다. doi: 10.3847/1538-3881/aac6e2이 연구결과는 지구가 하나의 점으로밖에 보이지 않더라도 지구의 특성 중 하나인 자전을 정확하게 유추할 수 있음을 보여줬습니다. 위성에서 ... ...
- 해마다 찾아오는 동물 전염병, 살처분 대신 백신 접종 고려할 때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주사까지 다양합니다. 심지어 AI 백신도 이미 일부 맞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2007년부터 저병원성 AI 백신을 접종하고 있습니다. 윤 회장은 “당시에도 우려와 반대가 있었지만, 매우 성공적으로 질병을 통제한 사례로 남아있다”고 설명했습니다.그는 “국내에서는 AI 바이러스 없이 유전자만으로 ... ...
- [특집] 인터뷰. 윤승철 탐험가가 밝히는 무인도에서 살아남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어수동 탐험 기자 정만아입니다. 7일 동안 무인도에서 재밌는 시간을 보냈는데요, 이런 체험을 준비하는 진짜 탐험가의 생생한 무인도 살아남기 이야기가 궁금해 탐험가를 만나러 왔습니다. 무인도섬테마연구소의 윤승철 소장입니다. [어수동] 무인도 탐험은 어떻게 시작하게 되셨나요? 순전히 ... ...
- [통합과학 교과서] 갑자기 찾아온 추위가 무서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공기가 우리나라까지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우리나라 주변 기압 상황도 한몫했어요. 7일 우리나라 서쪽에는 바람이 시계 방향으로 부는 고기압이, 동쪽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바람이 부는 저기압이 있어요. 우리나라는 두 기압 사이에 있는데, 하필이면 두 기압의 바람 방향이 딱 맞아 떨어져 ... ...
- [특집] 딥러닝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한국어로 연설하는 영상을 제작했습니다. 2020년에는 MBC 다큐멘터리 ‘너를 만났다’에서 7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소녀 ‘나연’이의 목소리를 재현하기도 했습니다. 제 목표는 성우, 아나운서 같은 전문 연기자처럼 말할 수 있는 AI를 만드는 것입니다. 현재 말을 하는 AI는 많지만 사람처럼, 특히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동쪽을 향하고 있었다. 그린란드 동쪽의 해빙들은 변형이 많이 발생한 상태였고, 7월 31일에 소규모 붕괴도 있었다. 그럼에도 또 한 번의 운이 따랐던 건지, 부빙 위에 설치됐던 모든 주요 장비들은 안전했다.우리는 다섯 번째 탐험에서 또 한 번의 새로운 시도를 했다. 부빙 위에 있는 연못을 살펴보는 ... ...
- 코로나19 등교 찬반 논쟁보다 '안전한 등교' 논의해야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유행하고 두 번째 새 학년이 시작됐습니다. 교육부는 이에 앞서 방역수칙을 준수하는 조건으로 등교수업을 확대하 ... 언제 맞을지 아직 결정조차 되지 않았죠. 소아, 청소년 교육·보육시설 종사자 역시 7월 이후에야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습니다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