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지"(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하학 입은 패션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원단의 낭비를 없앤 패션까지 살펴봤는데 기하학과 패션이 어우러지는 모습이 참 신기하지 않았나요? 2호가 벌써부터 기대될 겁니다. 자, 그럼 2호에 담을 소재를 찾으러 저는 이만 취재를 하러 떠나야겠습니다. 그럼 다음에 만나요~. 언제 다시 만날지는 비밀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삼각비’는 직각삼각형의 세 변 중 두 변의 비율을 나타내는 개념이지요. 다시 강조하지만, 비율은 값보다 기준이 되는 양에 비해 얼마나 있는지가 핵심입니다. 헷갈리면 몸속 지방의 양이 같아도 몸집이 크면 적정 체중이고 작으면 비만일 수 있다는 걸 떠올리세요.자, 비율을 잘~ 쓰길 바라면서,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우주에 끝이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끝이 있다는 거지요. 그러면 화살은 우주의 끝에 부딪혀 되돌아올 수 있을 거예요. 하지만 우리가 실제로 우주의 끝에 갈 순 없어요. 우주가 점점 더 빨리 팽창하고 있기 때문이지요. 현재 알려진 우주의 크기는 빅뱅 이후 방출된 빛들이 지구에 다다르는 것을 관측하고, 이를 통해 계산한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개구리발톱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꽃받침은 활짝 벌어지지 않는데, 이 모습이 발가락을 모으고 있는 듯한 모습이거든요. 하지만 무엇보다 개구리 발가락과 닮은 건 열매예요. 끝이 뾰족한 열매는 3~4 갈래로 갈라져 개구리의 앞발가락과 닮았답니다. 올 봄, 개구리발톱을 발견한다면 그 모습을 자세히 들여다 보세요. 어떤 부분이 ... ...
- Part 2. 조직력으로 승부한다!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것을 뜻하는 단어예요. 개미나 벌 같은 생물은 여럿이 작은 힘을 모아 큰일을 해내곤 하지요. 이런 군집의 특성을 로봇에 적용한 것이 군집로봇이랍니다. 영국 링컨대학교 로봇과학자들은 개미들의 의사소통 수단인 ‘페로몬’을 모방해 군집로봇을 만들기도 했어요. 실제 개미는 암컷과 수컷이 ... ...
- [Culture] ‘팔뚝 요정’이 들려주는 팔씨름의 과학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두껍게 발달할 수 있지만(근육의 단면적이 넓어 큰 힘을 낼 수 있다) 평소 운동을 하지 않으면 소용없다. 뼈가 얇아도 훈련을 통해 전완근을 키울 수 있다. 몸무게가 많이 나가면 유리한 것은 사실이다. 보통 체중이 많이 나가면 근육도 많고 체중이 더 많이 실리기 때문이다. 실제로 역도 같은 ... ...
- [Culture] 세상의 모든 사이비과학에 경고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불린다. “과거에는 ‘첨단’ ‘고급’ 등의 단어가 소비자를 사로잡는 경우가 많았죠. 하지만 경제가 발전하고 ‘웰빙’이라는 가치를 추구하면서 건강에 대한 효능을 강조하는 과장광고가 왕왕 등장하고 있습니다. 마케팅 과열로 생긴 현대 사회의 괴담에 유사과학이 사용되는 셈이죠.” 필명 ... ...
- [인터뷰] 연세대 신입생 대표 염규민 “강점인 수리논술 집중해 부족한 내신 극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물질을 합성하는 분야를 연구해 보고 싶다”고 말했다. 염 씨는 “아직 3개월밖에 생활하지 못했지만 연세대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은 RC(Residential College)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세대는 모든 신입생들이 1년간 인천 송도에 위치한 국제캠퍼스에서 기숙사 생활을 하며 수업을 듣고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하지만 스터디를 반복하면서 긴장하지 않고 설명할 수 있게 됐고, 실제 면접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문제를 풀 수 있었다. 박 씨는 “돌이켜보면 입시 준비에 스트레스를 받을 수도 있었지만, 합격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은 떨쳐버리고 최선을 다했던 게 도움이 된 것 같다”고 말했다. ‘덕질’ ... ...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또 누가 이 문제로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할지 궁금합니다. 누구든 도전하면 아무도 생각하지 못한 아이디어로 χ<7이나 χ>5를 증명할 수 있지 않을까요? 엄상일 교수는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KAIST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