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나온다! 전격분석 항바이러스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코로나19 팬데믹, 도대체 언제 끝나지?”다들 궁금해 하지만 아무도 정답을 알 수 없는 이 질문에 희망이 될 소식이 하나 도착했습니다. 1월 13일, ... 항바이러스제Part1. [기획] 먹는 약, 코로나19에 희망 될까?Part2. [기획] 항바이러스제, 꼭 필요하다고?Part3. [기획] 항바이러스제는 발전 ... ...
- [스티브쌤코딩-마인크래프트] 파쿠르 게임 2탄 복불복 요소를 넣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게임 속에 불확실함을 주어 재미를 더해줘요. 이번 시간에는 정확하고 빠른 이동 기술이 필요한 파쿠르 게임에 복불복 요소를 더해서 만들어 볼게요. 첫 번째 파쿠르 월드 만들기 여러 색깔 블록을 무작위 좌표에 놓아 월드를 만들어 볼게요. 블록 아래에는 용암이 있어 플레이어가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수학의 본질은 자유!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모임을 열자고 제안했지요. 1890년 제가 독일 수학회 회장이 됐을 때도 수학자 대회가 필요하다고 여러 수학자를 설득했어요. 올해는 러시아에서 세계 수학자 대회가 열린다지요? 제 생각이 현실이 되어 후대에 이어지고 있다니 정말 기쁘네요 ... ...
- [특집] 우주선을 타고 날아서 슝~!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우주선을 착륙시키고, 행성을 탐사하고…. 흠, 우주선이 모든 걸 할 수 있으려면 어떤 게 필요할까? 혹시 잘못해서 우주선이 폭발해 버리면 어떡하지?! 소행성과 몸통 박치기!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해 11월 다트(DART)라는 이름의 우주선을 발사했어요. 다트의 임무는 지구로부터 약 1100만km ... ...
- [수학으로 발사! 누리호] 지구를 떠나자! 한국형 발사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바꿔 돌아요. 속도가 훨씬 더 빨라지면 결국 지구의 중력권을 벗어나게 되는데, 이때 필요한 최소의 속도를 ‘탈출 속도’라고 부른답니다. 탈출 속도는 발사체가 가진 ‘역학적 에너지’의 총량으로 구할 수 있어요. 역학적 에너지는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합을 말해요. 역학적 에너지가 ... ...
- [나도 수학쌤, 문장제 문제] #4. 크고 작은건 대봐야 안다! 부등식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딱 떨어지는 숫자가 아닌 ‘범위’를 구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이런 상황에서 필요한 것이 ‘일차부등식’이에요. 오늘은 중학교 2학년 문자와 식 단원 ‘일차부등식과 연립일차방정식’에서 다루는 일차부등식의 활용 문제를 풀어 볼게요! 부등식은 두 수나 식 사이의 대소 관계를 ... ...
- [IPCC 제6차 평가보고서 해설서] 가난한 사람에게 더 가혹한 기후위기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줄이는 노력과 동시에, 재난 관리처럼 기후변화 위험도를 줄이는 노력을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잘 보여 준다. WG2 제6차 평가보고서는 전 세계 각국의 기후변화 정책 수립과 올해 11월 열리는 제27회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UNFCCC) ‘파리협정 이행점검’에 근거로 활용될 예정이다. ... ...
- 겁쟁이, 꼬맹이, 또는 변덕쟁이... 암흑물질을 낚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이론이 다양한 관측결과를 통해 정설로 받아들여진 것처럼. 그러니 우리에게 필요한 건 지금까지 본 적 없던, 새로운 물질의 정체에 대한 이론과 이를 받쳐 줄 증거다. 무엇을 낚을 것인가?“우주 전체 질량-에너지 분포의 27%를 차지할 것. 수명이 우주의 나이보다 훨씬 긴 안정된 물질일 것. ... ...
- [논문탐독] 서로의 몸을 이해하다 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더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논문을 다른 더 큰 질문들과 연결해 이해하려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하나의 논문을 선택해 읽어 내려가는 일은 그 학자들이 탐구해 온 질문의 세계에 발을 들여 놓는 의미이기도 합니다.물론 그 학문 분야의 질문을 잘 모르더라도 이 논문을 읽을 수 없는 것은 ... ...
- [이달의 과학사] 1946년 2월 14일 컴퓨터의 선구자, ‘에니악’ 공개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활용되지는 않았지만, 에니악은 우주선 연구, 풍동 설계, 일기 예보 등 복잡한 계산이 필요한 분야에 널리 쓰였지요.에니악은 최초의 컴퓨터로 유명하지만, 사실 컴퓨터 역사가들은 최초의 컴퓨터가 실제로 무엇인지에 대해 계속 논쟁 중입니다. 1939년 미국 아이오와주립대학교의 아타나소프 교수가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