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르네 헨 교수는 동물 실험을 통해 우울증이 뉴런 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냈다”며 “그래서 우울증이나 뇌전증을 앓았던 사람의 뇌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했을 것”이라고 말했다.선 교수는 UCSF 연구팀과 컬럼비아대 연구팀의 논문을 비교한 결과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 ...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자연스럽게 제기했다. 1901년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지오바니 조르지는 미터, 킬로그램, 초 단위계에 전기의 기본 단위도 추가하자고 제안했다. 1939년 전기자문위원회(CCE,현재의 CCEM)는 당시에 사용되던 암페어(A), 쿨롱(C), 옴(Ω), 볼트(V) 중 암페어를 기본 단위로 채택했다. 1948년 제9차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받은 미네소타대는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현대적인 과학기구의 원형을 개발했다. 초기에는 항공공학자들이 아니라 우주선(cosmic ray)을 연구하는 천문학자들이 과학기구의 개발을 주도했다. 1960년대에는 1.8t(톤)의 탑재 중량을 지구 상공 최고 30km까지 올리는 수준으로 발전했다. 이 시기에 이르러 ... ...
- ASMR 효과, 직접 실험해 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보는 것. 신 기자의 경우는 미니 테스트였지만, 본 실험은 50분 동안 진행한다. 처음 5초 동안에는 실험 과제를 간단히 소개하고 이후 1분가량 자극 영상을 보여준다. 이때 자극 영상은 3가지 영상 중 하나가 랜덤으로 재생된다. 한 가지는 대조군 영상으로 ‘송은이, 김숙의 비밀보장’ 같은 흥미 유발 ... ...
- [과학동아 X DBR] BTS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경영 교과서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갖는 글로벌 가치를 지향하고, 최고의 품질 이상의 경험을 제공하며, 모바일 시대의 초연결성을 제대로 구현했다는 등 여러 가지 성공 요인이 여기저기서 분석되고 있지만 이 모든 BTS 현상은 역시 ‘사람’과 ‘일하는 방식’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즉 재능 있는 밀레니얼세대 멤버들과 이들의 ... ...
- 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호기심을 발전시켜오지 못했다면 동형암호는 등장하지 못했을 것이다. 수학, 나아가 기초연구를 지원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향숙_hsl@ewha.ac.kr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대 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제24대 대한수학회장을 맡고 있다. 오랫동안 공개키 ... ...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진로가 매우 다양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그는 “기계공학은 많은 공학 분야의 기초가 될 뿐 아니라 의학 등 다양한 분야와 연계돼 있어서 진로가 매우 넓다는 게 장점”이라며 “산업 분야에도 연관되지 않는 업종이 거의 없는 만큼 취업도 잘 된다”고 말했다 ... ...
- [가상인터뷰] 딱따구리도 뇌 손상을 입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것을 막지요.그다음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나무를 쪼아요. 초속 6~7m의 속도로 1초에 10~20번 부리를 앞뒤로 움직이지요. 날카로운 부리로 구멍을 뚫는데 성공하면 가시가 달린 가늘고 긴 혀를 구멍 속에 넣어 혀끝으로 애벌레를 끌어내서 먹는답니다. 일리: 나무를 쫄 때 머리가 아프진 않니 ... ...
- [Culture] 너의 목소리가 잘 보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8kHz로 녹음한 음성 파일을 2배인 16kHz로 재생하면, 전체 재생시간은 절반으로 단축되고 초당 재생해야 할 음성데이터는 2배로 증가해 목소리 톤이 높아지는 식으로 변조된다”고 설명했다. 이런 원리를 역으로 적용하면 톤이 원래보다 높은 파일에서 주파수를 낮추는 방식으로 원래와 가까운 상태로 ... ...
- [Origin] 외계행성 찾으러 가즈아~ 케플러 대신할 테스 발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수색하고 있다.KMTNet은 지름 1.6m인 거울을 장착한 광시야 망원경과 3억4000만 화소의 초대형 천문탐색용 카메라인 CCD로 구성된 관측시스템이다. 칠레, 남아프리카공화국, 호주 등 남반구에 있는 3개 국가 관측소에 설치돼 있어, 우리은하 중심부를 24시간 연속으로 관측하고 있다.KMTNet은 2016년 지구에서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