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잘못"(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착각하는 뇌 너 믿어도 되니?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0호
- 얼굴무늬의 도형에 반응한다고 해. 이렇게 얼굴이 아닌데도 얼굴로 보는 착각은 뇌가 잘못돼서 그런 것이 아니라 살아가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야. ❶ 인터넷에서 화제가 된 인면어.❷ 노린재 등의 무늬일 뿐이지만 사람얼굴로 보인다.❸ 1976년 나사의 화성탐사선 바이킹이 찍은 화성 사진에 ... ...
- 오락가락 변덕쟁이 가을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0호
- 비라고 했어. 하루에 무릎이 잠길 만큼 비가 쏟아져서 큰 피해가 생겼지. 하지만 이건 내 잘못이 아니야!열병에 걸린 지구요즘 내가 더 변덕스러워진 이유는 지구 온난화 때문이야. 지난 14년간 제주도 남쪽 바닷물의 온도가 1℃나 올라갔어. 태평양과 한국 주변의 해수면온도가 높아지면 태풍에게 ... ...
- 과학자들의 수다 최초과학자 3인은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9호
- ‘어린이과학동아’를 만드는 종이나 잉크도 다 화학이고 말야. 잠깐! 내가 길을 잘못 든 건가? 여길 빠져 나가야 초대장을 쓰든지 말든지 하겠군. 헉! 코뿔소가 쫓아온다. 엄마야~, 나 살려~!자연계를 분류한다 린네 1707~1778년, 스웨덴의 식물학자꿈에서 길을 잃을 염려는 없으니 안심하게, 고 기자. ... ...
- 뜨아! 꿀벌 초토화 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9호
- 부지런히 꿀을 모았을 거란 생각에 웃음이 절로 나왔다.“벌통이 보일 때쯤 뭔가 잘못됐다는 걸 알 수 있었어. 윙윙~ 거리던 벌소리가 나질 않고 너무 조용하더라구.”가까이 가 본 양봉달 씨는 그대로 주저앉고 말았다. 꿀벌들이 벌통 주변 여기저기에 떨어져 죽어있는 것이 아닌가! 게다가 벌통 ... ...
- 독도는 새똥이 살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7호
- 그렇다고 육지에서 흙을 가져오면 자칫 흙 속에 숨어 있는 외래식물을 함께 들여오는 잘못을 저지를 수 있다.그래서 괭이갈매기의 역할이 중요하다. 아직 새똥이 많이 쌓이진 않았지만, 새똥이 쌓이고 쌓이면 분명 독도에도 나무들이 살아가는 데 충분한 흙이 만들어질 수 있다. 그 때는 새들의 ... ...
- 시골 곰개미의 도시 탐색기 내 친구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4호
- 여기가 어디지?”지금 와서 생각하니 그 트럭을 믿은 게 잘못이었어. 푹푹 찌는 한여름 더위가 기승을 부리던 그 날, 난 서늘한 트럭 짐칸에 누워 있었어. 그러다 스르륵 잠이 들었지 뭐야. 눈을 떴을 땐, 바람이 씽씽 불고 있었어. 태풍이라도 왔나 싶었지만, 그게 아니라 트럭이 고속도로를 달리고 ... ...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2호
- 않으며, 특정 품종의 쥐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현상으로 밝혀졌기 때문이야. 결국 잘못된 노벨상이라는 불명예스런 이야기를 듣게 됐지. 불행인지 다행인지 피비거는 이미 늙어 죽어서 이런 이야기를 듣지 않아도 됐단다.기생충이 아니라 공생충?“에일리언처럼 무섭게 생긴 것이 내 몸 속에서 내 ... ...
- 암정복 꿈꾸는 '생명설계도' 지킴이과학동아 l2007년 12호
- 참 신기했어요. 이중나선구조를 이룬 책장에 꽂혀 있는 수십억 권의 책 가운데 어떤 책이 잘못 꽂혀 있는지 어떻게 알아내는지 밝히고 싶었습니다.”최 단장은 핵자기공명장치(NMR)를 이용해 연구를 거듭한 끝에 XPC와 XPA-RPA 단백질복합체가 ‘탐색팀’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흥미로운 점은 ... ...
- 말랑말랑한 젤리가 위험하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2호
- ”결국 이번 사건은 돈을 벌기 위해 아이들의 안전을 생각하지 않은 이기적인 어른들의 잘못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사건을 일으킨 대만산 젤리의 수입과 판매는 금지되었다.“젤리를 좋아하는 어린이들은 되도록 젤리를 잘게 나누어 먹고, 급하게 먹지 않아야겠어요.”“그런데 닥터고글, ... ...
- 단군세기의 행성직렬 기록은 조작됐다!과학동아 l2007년 12호
- 한나라가 흥하려 할 때 오성이 정수(井宿)에 모였다는 기록을 다시 검토해 이 기록은 잘못된 것이며 실제로는 기록보다 3개월 전에 오성취합이 일어났다고 주장했다. 최호의 예를 보면 5세기경에 이미 행성들의 운동을 되짚어 계산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알수 있다. 고려시대에도 오성취합을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