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리"(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딱따구리도 뇌 손상을 입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안녕하세요. 나무줄기에 수직으로 붙어서 먹이를 구하거나, 구멍을 내서 보금자리를 만드는 딱따구리예요. 몸길이는 8~45cm 정도로 종마다 다양하며 60cm에 가까운 대형종도 있지요. 몸 빛깔은 검정색, 흰색, 붉은색, 녹색, 노란색, 갈색 등으로 다양하고, 수컷의 머리 꼭대기에 있는 깃털은 대부분 ... ...
- 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가 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개발한 자율주행자동차다. 5인승 자동차의 뒷자리에 덩그러니 혼자 남겨졌다. 시속 15km, 에트리카가 천천히 움직인다. 하지만 체감은 고속 질주다. 전방에 사람이 보일 때마다 ‘으헉’ ‘앗’ 같은 감탄사가 저절로 나온다. 아직 자율주행자동차에 운전을 ... ...
- 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목적으로 사용된 암호는 오늘날 전자상거래를 비롯한 디지털 정보 보안 기술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컴퓨터 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존의 암호체계를 위협하는 기술이 등장하고, 암호학자들이 그에 반격하는 과정이 되풀이되면서 디지털 산업 발전을 이끌어가는 모습은 무척 흥미롭다. 고대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동물의 머리부터 엉덩이까지를 하나의 축으로 보면, 축을 따라 다양한 기관들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척추 역시 목뼈, 등뼈, 허리뼈, 엉치뼈, 꼬리뼈로 나뉘어져 있죠. 이러한 세포와 기관의 위치를 결정하는 유전자들 중 하나가 바로 ‘혹스(hox)’입니다. 그런데 2000년대 후반부터 혹스 유전자의 ... ...
- [실전! 반려동물] 햄토리와 햄찌는 왜 자꾸 싸우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한 달에 한 번 문을 여는 반려동물 상담소! 세 번째 사연의 주인공은 귀여운 햄스터예요. “저희 집에서는 ‘햄토리’와 ‘햄찌’ 두 마리의 햄스터를 키우고 있어요. ... 두면 두 마리 모두 스트레스를 받아 문제행동을 할 수도 있어요. 따라서 독립적인 보금자리를 만들어 줘야 한답니다 ... ...
- [과학뉴스] 우리 은하 중심부에 블랙홀 1만 개과학동아 l2018년 05호
- 9년 쏘아 올린 ‘찬드라 X선 우주망원경’으로 우리 은하 중심에 있는 거대 블랙홀 ‘궁수자리 A*’에서 3광년 거리에 있는 작은 블랙홀 12개를 찾아냈다. 이 블랙홀은 지구에서 약 2만70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질량이 태양의 약 400만 배다. 연구팀은 은하계 중심 면적과 블랙홀의 분포를 수학식으로 ... ...
- [과학동아 X DBR] BTS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경영 교과서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실패를 해도 회사로부터, 팀으로부터 불이익을 당하지 않는다는 심리적 안정감이 자리 잡을 때 혁신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팀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3. 역할 중심의 리더십BTS에는 7명의 멤버가 있다. 이들 중에 나이로는 세 번째인 랩몬스터(RM·94년생)가 BTS의 리더 역할을 맡고 있다. 그는 때로는 ...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효숫자 : 근삿값을 구할 때 오차를 고려해도 신뢰할 수 있는 자리의 수를 말한다. 그간 제어 시스템 연구자들은 기계나 시스템을 얼마나 안정적으로 제어하는지에만 관심을 가졌을 뿐 보안에 대해서는 크게 신경 쓰지 않았다. 하지만 2010년 이란 원자력발전소가 해킹돼 ... ...
- [과학뉴스] 고마웠어,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현재 지구에서 약 1억5000만km 떨어져 있어 연료 보급이 불가능하다. 연료가 떨어지면 그 자리에서 임무가 종료된다. 찰리 소벡 NASA 케플러 프로젝트 책임자는 “케플러는 수명을 다하는 순간까지 관측한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할 것”이라고 말했다. 케플러의 후임은 NASA가 4월 16일 발사 예정인 ‘테스 ... ...
- 과학동아 주제가 ‘빛처럼(Virtual Love)’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멜로디를 과학동아 3월호에 처음 공개했다. 임 양은 이 멜로디를 들은 뒤 “사람의 뇌에 자리 잡은 ‘기억’이라는 주제를 떠올렸다”며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기억을 뉴런을 통해 측두엽과 전두엽으로 전달되는 뇌 과학적인 과정으로 표현했다”고 말했다. 그의 꿈은 뇌 인지과학자다. 화학과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