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세계"(으)로 총 4,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이저 1호, 혜성의 고향까지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보이저 1호가 태양권을 벗어나 별과 별 사이 공간인 성간 우주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인류 역사상 한 번도 닿아보지 못한 미지의 공간 앞에서 전 세계의 과학자들은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과연 보이저 1호는 태양권 너머에서 무엇을 만나게 될까.“인간이 만들어 낸 인공물 중 지구에서 가 ... ...
- 오크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이번 호 키워드는 ‘오크’입니다.오크 하면 딱 떠오르는 것은 판타지 영화 ‘반지의 제왕’일 것입니다. 영화에서 오크는 추악한 괴물로 등장해 인간계와 엘프계를 지배하려는 어둠의 힘을 추종하는 존재로 나옵니다. 난쟁이 호빗족을 중심으로 한 반지원정대를 끊임없이 괴롭히죠.인터넷에서 오 ...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지난 6월 말, ‘엽기적인’ 연구가 ‘사이언스’에 실렸다. 사진만 봐서는 건강식품을 만드는 장면 같다. 얇게 저민 육포 같이 생긴 물체가 투명한 포장지에 담겨 컨베이어벨트를 타고 이동하고 있다. 흰 가운을 입은 사람들이 모든 과정을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모습까지 있다.하지만 그 물체는 ... ...
- Bridge. 사람이 일으키는 대유행 전염병, 바이오테러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천연두는 대포보다 강력하다인간이 생물무기를 쓰기 시작한 건 무려 기원전 6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원시적인 방법이지만 병자의 분뇨로 적의 우물을 오염시키고, 또 창과 화살에 발라 썼다. 1346년 중앙아시아 의 타타르군은 카파(현 우크라이나의 페오도시야. 당시에는 제노바의 지배를 받았다 ... ...
- 바다 속 어디까지 가봤니?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수심 0m. 다이빙은 절대 혼자 하지 않는다스쿠버 다이빙 강사인 김갑수(39) 씨는 필리핀에 있는 보홀 섬으로 수시로 떠난다. 아름다운 산호초와 바다 생물을 만나기 위해서다. 다이빙 전용선에 각종 장비를 싣고 시동을 걸면 배 뒤꽁무니에서 물살이 하얗게 부서진다. 잠시 뒤, 다이빙 포인트에 멈춰 ... ...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사람 입장에서 바이러스의 방문은 언제나 달갑지 않다. 조금만 무리했다 싶으면 찾아오는 가벼운 몸살감기에서부터 눈병, 장염, 그리고 목숨을 위협하는 악명 높은 바이러스까지….그런데 반대로 바이러스 입장에서 보면 인간을 감염시키는 일이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다. 인간의 몸은 바이러스 ... ...
- 최강 홈런왕 미스터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시속 150km에 이르는 총알 투구, 펜스를 훌쩍 넘는 홈런과 더위를 잊게 만드는 시원한 함성…. 무더위가 찾아오는 8월이지만 야구장 속 열기는 더위를 잊고 즐기게 만든다. 지켜보고 있는 경기에서 이제까지 나오지 않았던 새로운 기록이 나오면 더 신난다. 영화 ‘미스터고’의 주인공, 고릴라 링링 ... ...
- UNIST의 힘은 세계 최고의 교수진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이차전지, 그래핀, 나노바이오 연구 두각UNIST가 특히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분야는 이차전지와 그래핀, 나노바이오다. 여러 번 충전해 쓸 수 있어 환경과 경제성 모두에 유리한 이차전지 분야에서는 미국 MIT, 스탠퍼드대와 함께 세계 3위권에 올라 있다. 이 분야의 대표주자는 조재필 친환경에너지공 ... ...
-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오늘은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발표한 지 60주년을 맞은 2013년 4월 25일입니다. 여러분이 계시는 이곳은 ‘섭섭박사 DNA 연구소’입니다. 현재 DNA 연구가 어디까지 왔고, 유전자 기술이 미래를 어떻게 바꿀지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도록 꾸민 곳입니다. 이번 미션은 연구 ... ...
- Part 1. 8월 바이러스 대습격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신종 조류 인플루엔자 (H7N9)2013년 3월 중국에서 발병한 신종 AI다. 2003년 처음 환자가 발생해 잘 알려진 H5N1 조류 인플루엔자와는 다른 종류다(표면 단백질이 다르다). 환자는 중국 등지에서 매달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H7N9은 최근 발견된 바이러스 중 가장 치명적이며, H5N1보다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