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중
뒤
아래
이후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하
"(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의 필즈상'올해 수상자는?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타이완과학원 수학연구소 노세은 박사를 선정했습니다. 상산 젊은 수학자상은 35세
이하
의 젊은 한국 수학자에게 주어져 ‘한국의 필즈상’으로 볼 수 있다.권순식 교수는 편미분방정식을 수식이나 기호를 이용해 연구하는 비선형 분산방정식 연구에서 이룬 업적을, 노세은 박사는 고전 양자 기체 ... ...
말보다 정직한 ‘몸의 언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지구환경과학과 정기영 교수는 어뢰 추진체에서 발견된 물질의 성분을 분석한 뒤 100℃
이하
의 온도에서 만들어지는 ‘비결정성 알루미늄황산염수화물’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이 물질이 고온고압의 폭발로 만들어진 ‘비결정성 알루미늄산화물’이라는 합조단의 주장을 뒤집는 내용이다. 만약 정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물질 대사라 한다. 물질대사를 위해 꼭 필요한 것이 액체 상태의 물이다. 물은 1기압 0℃
이하
에서 고체 상태로 존재하고 100℃ 이상에는 기체로 존재한다. 물의 기원은 지구 생성 초기 지구와 충돌한 혜성 및 소행성에 함유된 것들과 지구 구성 초기 물질이 갖고 있는 물이 모인 것으로 추정된다. ... ...
제10회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발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여성과학기술자로 세종대 천문우주학과 김성은 교수,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이하
표준연) 신용현 책임연구원, 경희대 생명과학대 김지영 교수가 선정됐다. 시상식은 12월 중순쯤 개최될 예정이다. 동아사이언스와 한국연구재단이 공동으로 주관하는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 ...
기대와 숙제를 동시에 남긴 2010 F1 코리아 그랑프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예상치 못한 반전과 기술로 F1 경기의 진면목을 볼 수 있었던 2010 코리아 그랑프리(
이하
영암 대회)의 이모저모를 알아보자.비 맞은 새 서킷이 최대 변수영암 대회만큼 외부 요인이 경기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경기도 없을 것 같다. 영암 대회의 최대 변수는 궂은 날씨와 익숙하지 않은 서킷(F1용 경기 ... ...
바다동물특공대 석유 오염 사고를 해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반드시 쓰는 기본적인 방제 기술이지만, 걷어낼 수 있는 석유이 양이 전체의 10%
이하
로 적다는 단점이 있어. 게다가 자원봉사자들의 건강을 위한 대책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어. 현재 이런 방제 방법에 대한 더 자세한 연구가 진행 중이야 자연에 맡기는 틸링 기술틸링은 쉽게 말하면 모래를 ... ...
최강 수학도시는 어딜까?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장려상을 수여한다고 합니다.도시대표는 각 도시의 인구 10만 명당 1명(소숫점
이하
는 버림)입니다. 당연히 도시대표는 시험을 치렀을 때 점수로 순위를 매겨 선발됩니다. 도시점수는 도시대표 인원의 평균 점수죠. 대표 수가 너무 작으면 대표성이 떨어질 수 있어 50만 명 미만의 도시는 5명을 대표로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되면 한반도 전역이 영하권으로 떨어진다. 김치는 소금이 포함돼 있어 보통 영하 5℃
이하
로 내려가야 얼기 시작한다. 하지만 더 추운 날씨에도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우리 조상들은 김칫독을 땅에 묻었다.김칫독을 땅에 묻는 전통방식은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 11월 말이나 12월 초, 초겨울 정도에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심장의 기능 이상이 직접적인 원인이다. 체온이 27℃
이하
에서는 혼수상태로 빠지고, 26℃
이하
에서는 대부분의 사람이 살아 있기 어렵다.이런 저체온증이 꼭 험난한 오지나 사고현장에서만 일어나지는 않는다. 한여름에도 물에 빠지거나, 보온에 신경쓰지 못하면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 저체온에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핫스폿’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자연 상태의 빛으로는 그 빛이 가진 파장 길이의 절반
이하
로는 핫스폿을 만들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파장이 600nm인 가시광선으로는 핫스폿의 지름을 300nm보다 작게 만들 수 없지요.”핫스폿을 작게 만들면 광신호를 더 미세하게 기록하고 재생할 수 있어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